본문 바로가기
홍인기교육정책 칼럼

[고령화 속도가 문제다]

by 조은아빠9 2022. 10. 24.
728x90
 
통계청은 2003년부터 매년 「노인의 날(10. 2.)」에 맞추어 고령인구, 고령화 속도, 자산․부채, 경제활동 상태, 소득분배 및 의식변화 등 고령자 관련 통계를 수집·정리하여 「고령자 통계」를 발표하고 있다.
나는 100만명이 마지막으로 태어난 1971년에 태어났다. 내가 고령인구가 되는 2065년 우리나라는 초초고령 사회(고령인구 30%)로 진입한다.
문제는 속도이다. 고령인구가 7%에서 14%(고령사회, 2018년)가 되는데 우리나라는 18년 걸렸다. 속도면에서 주요 국가 1위이다. 고령인구가 14%에서 20%(초고령사회, 2025년)로 되는데 7년이 걸린다. 고령인구가 20%에서 30%가 되는데 10년(초초고령사회, 2035년)이 소요된다. 통계청 자료를 제가공해 보면 OECD 주요 국가가 14%에서 20%(초고령사회)로 되는데 평균 25.9년이 걸리고, 고령인구가 20%에서 30%가 되는데 평균 36.3년이 걸린다 속도면에서 세계 1위가 분명하고 OECD 주요 국가가 평균보다 3.6배가 빠르다.
너무 빠른 변화는 사회시스템이 인국변화속도로를 따라잡지 못해 제대로 고령인구를 지원하지 못해 많은 문제를 만들어 낼 것이다. 대표적인게 연금문제이다. 노인빈곤률이 40%대를 유지하고 있기에 자살률이 높아질 가능성이 생긴다.
대전환을 이야기한다. 인구문제가 가장 확실한 대전환 요소이다. 이미 정해져 있다.
*그림 자료출처: '2022 고령자 통계' 통계청. 2022.9.2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