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교육정책자료642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도입 로드맵 조정 보도자료 교육부는 교육현장, 전문가 의견과 시도교육청의 정책적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도입 이행안(로드맵)을 다음과 같이 조정하였다. ❶2025년에는 영어, 수학, 정보 교과의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를 통해 교실의 변화를 보여주는 데 집중한다. ❷국어 교과와 기술·가정(실과) 교과는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적용 교과에서 제외하고, 사회, 과학 교과는 2027년부터 적용한다. ❸또한, 국정도서로 개발하는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 대해서는 국어와 수학 교과는 초·중·고까지 개발하고, 생활영어와 정보통신활용 교과는 적용 교과에서 제외한다. 2024. 11. 29.
주요 OECD국 청소년(15-19세)과 노인(65세 이상) 자살률을 비교 OECD 국가 연령대별 정신건강 현황 비교주요 분석 결과:연령대별 특성:대부분의 국가에서 고령층의 비율이 청소년층보다 높음특히 85세 이상 초고령층에서 높은 수치를 보임청소년층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나 국가별 차이가 존재국가별 특징:한국: 연령이 증가할수록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일본: 연령대별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영국: 전 연령대에서 낮은 수준 유지독일: 연령 증가에 따라 완만하게 증가정책적 시사점:연령대별 맞춤형 예방 정책 필요특히 한국의 경우 고령층 대상 지원 강화 필요영국의 전 연령대 예방 정책 벤치마킹 검토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 제안:세대별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 개발고령층 대상 사회적 지지체계 강화청소년-노인 세대 통합 프로그램 운영 2024. 11. 29.
경기도 초등학령인구 추계 분석 (2025-2050) 주요 변화 시점구간변화율특징 2025-2030-28.1%급격한 감소 구간2030-2035-13.3%감소세 완화2035-204017.1%완만한 증가세2040-20456.4%정체기2045-2050-5.8%감소 재개단기 전망 (2025-2030)모든 연령대에서 급격한 감소세특히 6세의 경우 25% 이상 감소 예상가장 큰 폭의 감소가 예상되는 시기중기 전망 (2030-2040)2032년경 감소세가 둔화되기 시작2035년 이후 점진적인 회복세연령별로 다른 회복 속도를 보임장기 전망 (2040-2050)2040년대 초반까지 완만한 증가세2045년 이후 다시 감소세로 전환전반적으로 2025년 대비 낮은 수준 유지특이사항2032-2033년이 대부분 연령대의 최저점연령별로 2-3년의 시차를 두고 변화가 전파됨2040년대.. 2024. 11. 28.
한국의 청소년 인구 변화 전망 (2024-2100) 시기별 주요 변화2024-2030: 초기 급감기2030-2040: 일시적 안정기2040-2060: 완만한 감소기2060-2100: 지속적 감소기연령대별 감소율 (2024→2100)5-9세: 67.4% 감소 (1,896천명 → 618천명)10-14세: 70.8% 감소 (2,287천명 → 668천명)15-19세: 67.2% 감소 (2,302천명 → 756천명)주요 전환점5-9세2030년: 1,270천명 (최초 급감)2060년: 969천명 (1,000천명 이하)2100년: 618천명 (최저점)10-14세2035년: 1,280천명 (급감)2070년: 849천명 (1,000천명 이하)2100년: 668천명 (최저점)15-19세2040년: 1,324천명 (급감)2075년: 876천명 (1,000천명 이하)2100년.. 2024. 11. 2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