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정책자료

2012년 사교육비·의식조사 결과

by 조은아빠9 2013. 2. 6.
728x90



[붙임] 02-07(목)조간붙임자료(2012년사교육비의식조사결과발표)[20130206185040184].hwp



02-07(목)조간보도자료(2012년 사교육비 의식조사 결과 발표).hwp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는 2013.2.7(목), 통계청과 공동 실시한 2012년 사교육비·의식조사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 발표는 전국 초·중·고 1,065개교의 학부모·학생 78,000명*을 대상으로 연 2회(6월, 10월) 실시한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것으로,

 

* 학부모 44,000명(사교육비·의식조사), 학생 34,000명(의식조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09년 이후 사교육비 총 규모와 1인당 사교육비 모두 감소 추세

- 초등학교, 특성화고는 크게 줄어, 중․고등학교 다소 증가 -

 

’12년 사교육비(명목) 총 규모19조원으로 전년 대비 1조1천억원(△5.4%) 줄었다.

 

물가지수를 반영한 실질 사교육비 총 규모17조4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2조원(△10.0%)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09년 대비, 사교육비(명목)2조6천억원(△12.0%), 실질 사교육비는 4조9천억원(△21.9%) 줄어, 뚜렷한 감소 추세 나타났다.

 

 

1인당 사교육비(명목)도 전년 대비 4천원(△1.7%) 줄어든 23만6천원으로, ’09년 이후 3년간 6천원(△2.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지수를 반영한 1인당 실질 사교육비21만6천원으로, 전년 대비 1만5천원(△6.5%), ’09년 대비 3만4천원(△13.6%) 감소하였다.

 

 

사교육비 경감 정책을 본격 추진한 '09년을 정점으로, 사교육비 총 규모와 1인당 사교육비 모두 감소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규모를 고려한 실질 GDP 대비 총 사교육비(실질) 비중’09년 이후 꾸준히 감소(’09년 2.27% ⇒ ’12년 1.58%, △0.69%p)하였다.

 

< 연도별 총 사교육비 현황 >

구 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총사교육비<명목>

(조원)

20.0

20.9

21.6

3.4

20.9

△3.5

20.1

△3.6

19.0

△5.4

총사교육비<실질>

(조원)

22.5

22.2

22.3

0.3

20.9

△6.5

19.4

△7.2

17.4

△10.0

사교육관련물가지수

(2010년=100)

88.9

94.0

96.9

3.1

100.0

3.2

103.9

3.9

109.2

5.1

실질 GDP 대비

총사교육비 비중

(%, %p)

2.36

2.27

2.27

-

2.00

△0.27

1.79

△0.21

1.58

△0.21

가구 경상소득 대비 학생학원교육비 지출 비중도 ’09년 이후 지속적 감소 추세

: ’09년 5.0%⇒’10년 4.8%⇒’11년 4.6%(가계동향조사, 전국2인이상 근로자가구 기준/명목, 신분류)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사교육비 총 규모가 전년 대비 크게 감소(△14.3%) 반면, 중학교고등학교소폭 증가(중 1.9%, 고 1.7%)하였다.

 

사교육비(명목)규모 초등학교 7조8천억원, 중학교 6조1천억원, 고등학교 5조2천억원으로,

 

- 특히, 초등학교특성화고 ’09년의 약 75%수준으로 줄었다.

 

실질 사교육비 총 규모는 초 7조1천억원(△18.4%), 중 5조6천억원(△3.0%), 고 4조7천억원(△3.2%)으로 모든 학교급에서 감소

 

◦ 1인당 사교육비(명목) 초등학교 21만9천원, 중학교 27만6천원, 고등학교 22만4천원으로,

 

- 초등학교는 전년 대비 크게 감소(△9.1%)하고, 중학교고등학교 증가(중 5.3%, 고 2.8%)하였다.

 

※ 전년대비 1인당 실질 사교육비 증감률 : 초 △13.4%, 고 △2.4%, 중 0.4%

 

 

지역규모별 1인당 사교육비는 서울(△4.9%), 중소도시(△3.7%), 읍면지역(△6.3%) 전년 대비 감소한 반면, 광역시(3.1%) 증가하였다.

 

또한, ’09년 이후 지역 간 사교육비 격차 줄어들어, 서울 읍면지역 격차1.3만원 감소(’09년 17.5만원 ⇒ ’12년 16.2만원)하였다.

 

시·도별로는 수도권 지역의 1인당 사교육비가 전년 대비 큰 폭 감소(경기△7.4%, 인천△5.1%, 서울△4.9%)한 반면, 전북(15.5%), 부산(11.1%), 광주(6.9%)는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하였다.

 

지난 3년동안 시·도간 사교육비 격차 줄어들어, 시·도 간 1인당 사교육비 최대-최소값 차이가 ’09년 대비 3만4천원 감소(’09년 17.4만원 ⇒ ’12년 14.0만원)것으로 나타났다.

 

 

 

과목별 사교육비 총 규모 영어 6.5조원, 수학 6.0조원, 음악 1.4조원이며, 거의 모든 교과 사교육비(수학 제외)가 전년 대비 감소하였다.

 

※ 영어(△4.6%), 국어(△10.8%), 사회·과학(△17.0%) 감소 / 수학(2.0%) 증가

 

1인당 사교육비영어 8만원, 수학 7만5천원, 음악 1만8천원으로 대부분 교과(수학, 논술 제외)가 전년 대비 큰 폭 감소하였다.

 

※ 국어(△10.5%), 사회·과학(△15.4%), 음악(△14.3%), 영어(△1.2%) 감소 / 수학(7.1%) 증가

 

사교육 참여유형별 1인당 사교육비는 학원 12.4만원, 개인과외 3.3만원, 그룹과외 2.3만원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료인터넷·통신(△33.3%), 방문학습지(△15.4%) 비용은 전년 대비 큰 폭 감소한 반면, 그룹과외(4.5%)와 학원수강(1.6%) 비용은 소폭 늘어났다.

 

소득수준별로는 거의 모든 소득수준에서 1인당 사교육비가 줄어들었으며, 특히, 고소득층(월소득 600만원 이상)사교육비 감소 추세가 두드러졌다.

 

※ 월소득 600만원이상~700만원 미만 2만7천원(△6.9%) 감소

 

소득계층 간 사교육비 지출 격차 ’09년 대비 감소하여 고소득계층(월소득 600만원이상) 저소득계층(월소득 200만원미만) 격차 지난 3년간 20.2%(△7.7만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 참여율, 참여시간 계속 감소

- 선행학습·불안심리로 인한 사교육 참여 줄어 -

 

’12년 사교육 참여율은 69.4%로, 모든 학교급에서 전년 대비 참여율이 줄어들었으며,

 

※ 참여율 추이(’11년⇒’12년) : 초 84.6% ⇒ 80.9%, 중 71.0% ⇒ 70.6%, 고 51.6% ⇒ 50.7%

 

특히, 특성화고의 경우, 전년 대비 2.8%p, ’07년의 2/3 수준(33.7%⇒22.2%)으로 감소하였다.

 

과목별 참여율 수학 47.8%, 영어 46.3%, 국어 22.3%이며, 취미·교양을 제외한 모든 과목 전년 대비 참여율이 줄었으며,

 

- ’07년 대비해서는 모든 과목에서 참여율 감소하였다.

 

사교육 참여유형별(일반교과)로는 학원 41.6%, 방문학습지 13.4%, 그룹과외 10.7%의 참여율을 보였고,

 

- 모든 유형에서 전년 대비 참여율이 줄어들었으며, 방문학습지(△3.2%p), 학원수강(△1.8%p) 참여율이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12년 주당 사교육 참여시간 6시간으로 전년 대비 0.6시간(△9.1%) 줄었으며, ’09년 대비해서는 1.4시간 줄어(’09년 7.4시간 ⇒ ’12년 6.0시간) 3년간 크게 감소하였다.

 

참여시간 추이(’09년⇒’12년)는 초 8.6시간⇒7.0시간, 중 8.3시간⇒6.6시간, 고 4.3시간⇒3.9시간으로 각각 감소하였다.

 

사교육 참여목적별(일반교과)로는 학교수업 보충(73.0%), 선행학습(42.5%), 진학준비(25.1%), 불안심리(18.9%) 順으로 응답하였으며,

 

모든 학교급에서 학교수업 보충 목적 사교육 참여는 증가하는 반면, 선행학습·불안심리로 인한 사교육 참여 감소하였다.

 

◦ ’08년 이후 사교육 참여목적의 응답별 비중* 변화를 살펴보면,

 

- 학교수업 보충 목적 응답은 ’08년 대비 14.7%p 증가(’08년 28.5%⇒ ’12년 43.2%)한 반면,

 

- 선행학습·불안심리로 인한 사교육 참여 응답은 ’08년 대비 14.4%p 감소(’08년 50.7%⇒ ’12년 36.3%)하였다.

 

* 연간 추이 비교를 위해 일반교과 사교육 수강목적(복수응답) 응답비중을 백분율로 재구성

 

- 이와 같은 선행학습·불안심리로 인한 사교육 참여율 감소폭은 서울지역, 고소득층, 성적상위 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선행학습·불안심리로 인한 사교육 목적 참여율 증감(’12-’08)

· 서울지역(△18.4%p) > 읍면지역(△12.9%p)

· 월소득 700만원이상(△14.3%p) > 월소득 100만원미만(△11.6%p)

· 성적 상위10%이내(△18.6%p) > 성적 하위20%이내(△7.5%p)

 

 

 

방과후학교, EBS 학부모부담 비용도 감소

- 방과후학교 참여율, 무상 참여 '08년 대비 2배 이상 늘어 -

 

방과후학교 학부모부담 비용 총 규모 ’12년 1조6백억원으로 전년 대비 1천8백억원 감소(△14.2%)하였다.

 

(’08)9,448억원→(’09)11,571억원→(’10)12,098억원→(’11)12,320억원→(’12)10,569억원

 

1인당 월평균 비용 1만3천원으로, 전년 대비 2천원 감소하였다.

 

- 학교급별로는 고등학교 1만8천원, 초등학교 1만5천원, 중학교 4천원으로 모든 학교급에서 전년 대비 감소(고 △4천원, 중 △2천원, 초 △1천원)하였다.

 

방과후학교 참여율(유상+무상) ’12년 57.6%로 전년 대비 1.0%p 증가하였으며, ’08년 대비 12.5%p 증가하였다.

 

교급별 고등학교 73.0%, 초등학교 52.6%, 중학교 49.4%이며, 초등학교(2.2%p↑) 중학교(1.1%p↑)는 전년 대비 증가, 고교(△1.7%p)감소하였다.

 

특기적성 프로그램 참여율 모든 학교급에서 전년 대비 증가했으나, 중·고교 교과프로그램(영어, 수학 등) 참여율중학교 4%p, 고교 8%p 각각 줄어들었다. 중 (’11)40.1%→(’12)36.1% / 고 (’11)73.5%→(’12)65.5%

 

특히, 무상 참여율 13.5% 전년 대비 큰 폭 증가(5.7%p↑)했으며, ’08년 대비 7.1%p 증가하였다.

 

 

EBS 교재구입 비용 총 규모는 ’12년 1천8백억원으로 추산되며, 전년(2,015억원) 대비 213억원 감소(△10.6%)하였다.

 

또한, 1인당 월평균 EBS 교재구입비용중학교에서는 전년 대비 1천원 감소(’11년 2천원 ⇒ ’12년 1천원)하였다. (초, 고교 전년 동일)

방과후학교 활성화가 사교육비 감소에 영향

- 선취업·후진학, 특목고 입시제도 개선을 통해 사교육비 -

 

방과후학교 활성화가 사교육비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년 대비 등학교 방과후학교 참여율7.6%p 증가하여, 1인당 사교육비 감소(△10.6%)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중·고교의 1인당 사교육비 증가는 방과후학교 참여율 감소(중 △0.6%p, 고 △6.0%p)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방과후학교 참여 학생이 사교육비를 적게 지출

 

방과후학교 참여 여부는 사교육비 감소에 영향을 끼쳐, 방과후학교 참여 학생이 미참여 학생보다 연간 사교육비를 43.8만원 적게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 66.8만원, 중 58.0만원, 일반고 39.0만원, 특성화고 15.5만원 경감 효과

* 성균관대 사교육정책중점연구소 분석(공분산분석, 가구소득·성별·성적 통제)

사교육비가 많이 감소한 시·도교육청이 방과후학교 활발하게 운영

 

10년 대비 시·도별 1인당 사교육비 증감률을 보면,

 

- 경기·인천·울산 등 7개 시·도는 사교육비가 줄어든 반면, 부산·전북·제주·광주 등 9개 시·도에서는 사교육비가 늘어났다.

 

 

 

사교육비 많이 감소시·도의 ’10년 대비 방과후학교 참여학생 증가율재정지원 증가율이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 시·도교육청의 방과후학교 정책의 노력 정도와 학생 참여 확대 사교육비 경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선취업·후진학’ 정책이 사교육 수요 감소에 영향

 

‘선취업·후진학’ 정책으로 인한 대학 진학률 감소(’09년 75.4% ⇒ ’12년 71.3%), 취업률 증가영향으로 대학진학을 위한 특성화고 교육 수요크게 감소하고, 특성화고 사교육비 및 사교 참여율 큰 폭 감소하였다.

특목고 입시제도 개선 또한 사교육 수요 감소에 긍정적 영향

 

목고 진학희망 중학생의 1인당 사교육비 참여율’09년 입시제도 개선 이후 큰 폭 감소하였으며, 이는 고입 준비 불안 심리로 인한 사교육 수요 크게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 ’09년 대비 특목고 진학희망 중학생의 1인당 사교육비는 11.0% 감소, 사교육 참여율은 6.4%p 감소하였다.

 

 

 

 

EBS 참여의 사교육비 경감 효과

 

EBS 참여 학생도 미참여 학생보다 연간 사교육비를 중학교 32.3만원, 고등학교 8.1만원 적게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성균관대 사교육정책중점연구소 분석(공분산분석, 가구소득·성별·성적 통제)

 

- 이는 EBS 수능연계 정책다양한 컨텐츠 제공EBS를 통한 공교육 보완 정책 유료인터넷·통신(’09년 대비 △33.3%), 방문학습지 (’09년 대비 △35.3%) 비용 감소사교육 참여 시간 감소 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 사교육 참여시간 : ’09년 7.4시간 ⇒ ’12년 6.0시간(△18.9%)


붙임

 

2012년 사교육비의식조사 결과 세부 통계

 

< 목 차 >

1. 총 사교육비

1-1. 학교급별 총 사교육비(명목) (’07~’12)

1-2. 학교급별 총 사교육비(실질) (’07~’12)

1-3. 과목별 총 사교육비(’09~’12)

2.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2-1. 학교급별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명목) (’07~’12)

2-2. 학교급별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실질) (’07~’12)

2-3. 과목별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09~’12)

2-4. 지역규모별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09~’12)

2-5. 일반교과 참여유형별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09~’12)

2-6. 소득수준별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09~’12)

3. 사교육 양태

3-1. 학교급별 사교육 참여율(’07~’12)

3-2. 과목별 사교육 참여율(’09~’12)

3-3. 일반교과 참여유형별 사교육 참여율(’09~’12)

3-4. 사교육 참여시간(’09~’12)

3-5. 일반교과 사교육 수강목적 분포(’07~’12)

4. 방과후학교 및 EBS 현황

4-1. 방과후학교 참여비용 총 규모(’07~’12)

4-2. 방과후학교 1인당 월평균 지출비용(’07~‘12)

4-3. 방과후학교(유상+무상) 학교급별 참여율(’09~’12)

4-4. 방과후학교(유상+무상, 유상, 무상) 참여율(’08~’12)

4-5. 방과후학교 (유상+무상) 교과프로그램 참여율(’11~’12)

4-6. EBS 교재구입비 총 규모(’07~’12)

4-7. EBS 교재구입 1인당 월평균 지출비용(’07~’12)

5. 도별 사교육 현황 등

5-1. 도별 사교육비 총규모(’09~’12)

5-2. 도별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및 일반교과 사교육비(’09~’12)

5-3. 도별 사교육 참여율(’09~’12)

5-4. 도별 방과후학교 참여율(’09~’12)

1. 총 사교육비

 

1-1. 학교급별 총 사교육비<명목>(’07~’12)

(단위 : 억원, %)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증감률

전 체

200,400

209,095

216,259

208,718

201,266

190,395

5.4

 

초등학교

102,098

104,307

102,309

97,080

90,461

77,554

14.3

중학교

56,120

58,135

62,656

60,396

60,006

61,162

1.9

고등학교

42,181

46,652

51,294

51,242

50,799

51,679

1.7

·일반고

38,655

42,973

47,853

47,512

47,640

49,083

3.0

·특성화고

3,526

3,679

3,441

3,730

3,158

2,596

17.8

 

1-2. 학교급별 총 사교육비<실질>(’07~’12)

(단위 : 억원, %)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증감률

전 체

225,371

222,361

223,122

208,718

193,711

174,354

10.0

 

초등학교

114,820

110,925

105,556

97,080

87,065

71,020

18.4

중학교

63,113

61,823

64,644

60,396

57,754

56,009

3.0

고등학교

47,437

49,612

52,922

51,242

48,892

47,325

3.2

·일반고

43,472

45,699

49,372

47,512

45,852

44,948

2.0

·특성화고

3,965

3,912

3,550

3,730

3,039

2,377

21.8

 

1-3. 과목별 총 사교육비(’09~’12)

(단위 : 억원, %)

구 분

2009

2010

2011

2012

 

증감률

전 체

216,259

208,718

201,266

190,395

5.4

 

- 일반교과

175,627

169,217

161,935

155,773

3.8

국 어

19,548

18,299

15,657

13,969

10.8

영 어

71,747

69,720

67,685

64,602

4.6

수 학

59,703

59,260

59,024

60,200

2.0

사회, 과학

14,519

12,508

10,834

8,991

17.0

2외국어 등

4,681

3,985

3,190

2,700

15.4

논술

5,426

5,447

5,545

5,311

4.2

 

- 예체능 등

40,044

38,925

38,675

33,969

12.2

음 악

18,426

17,569

17,293

14,141

18.2

미 술

6,732

6,577

6,149

5,763

6.3

체 육

11,989

12,005

12,526

10,957

12.5

취미·교양

2,896

2,776

2,708

3,106

14.7

2.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2-1. 학교급별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명목>(’07~’12)

(단위 : 만원, %)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증감률

전 체

22.2

23.3

24.2

24.0

24.0

23.6

1.7

 

초등학교

22.7

24.2

24.5

24.5

24.1

21.9

9.1

중학교

23.4

24.1

26.0

25.5

26.2

27.6

5.3

고등학교

19.7

20.6

21.7

21.8

21.8

22.4

2.8

·일반고

24.0

24.9

26.9

26.5

25.9

26.5

2.3

·특성화고

6.7

6.9

6.0

6.7

6.4

5.8

9.4

 

2-2. 학교급별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실질>(’07~’12)

(단위 : 만원, %)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증감률

전 체

25.0

24.8

25.0

24.0

23.1

21.6

6.5

 

초등학교

25.5

25.7

25.3

24.5

23.2

20.1

13.4

중학교

26.3

25.6

26.8

25.5

25.2

25.3

0.4

고등학교

22.2

21.9

22.4

21.8

21.0

20.5

2.4

·일반고

27.0

26.5

27.8

26.5

24.9

24.3

2.4

·특성화고

7.5

7.3

6.2

6.7

6.2

5.3

14.5

 

2-3. 과목별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09~’12)

(단위 : 만원, %)

구 분

전체

2012

2009

2010

2011

2012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증감률

전 체

24.2

24.0

24.0

23.6

1.7

21.9

27.6

22.4

 

- 일반교과

19.7

19.5

19.3

19.3

-

15.4

25.5

19.3

국 어

2.2

2.1

1.9

1.7

10.5

1.6

1.8

1.8

영 어

8.0

8.0

8.1

8.0

1.2

7.4

10.4

6.6

수 학

6.7

6.8

7.0

7.5

7.1

4.2

10.8

9.3

사회, 과학

1.6

1.4

1.3

1.1

15.4

1.0

1.6

0.9

2외국어 등

0.5

0.5

0.4

0.3

25.0

0.4

0.3

0.2

논술

0.6

0.6

0.7

0.7

-

0.8

0.5

0.6

 

- 예체능 등

4.5

4.5

4.6

4.2

8.7

6.5

2.1

2.8

음 악

2.1

2.0

2.1

1.8

14.3

2.8

0.9

0.9

미 술

0.8

0.8

0.7

0.7

-

0.8

0.2

1.0

체 육

1.3

1.4

1.5

1.4

6.7

2.4

0.7

0.4

취미·교양

0.3

0.3

0.3

0.4

33.3

0.4

0.2

0.5

2-4. 지역 규모별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09~’12)

(단위 : 만원, %)

구 분

2009

2010

2011

2012

 

증감률

전 체

24.2

24.0

24.0

23.6

1.7

 

서 울

33.1

32.1

32.8

31.2

4.9

 

광 역 시

22.5

22.7

22.3

23.0

3.1

 

중소도시

24.5

24.4

24.3

23.4

3.7

 

읍면지역

15.6

16.0

16.0

15.0

6.3

 

2-5. 일반교과 참여유형별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09~’12)

(단위 : 만원, %)

구 분

2009

2010

2011

2012

 

증감률

개인과외

3.3

3.2

3.3

3.3

-

그룹과외

2.1

2.2

2.2

2.3

4.5

학원수강

12.2

12.2

12.2

12.4

1.6

방문학습지

1.7

1.6

1.3

1.1

15.4

유료인터넷,통신

0.3

0.3

0.3

0.2

33.3

 

2-6. 소득수준별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09~’12)

(단위 : 만원, %)

구분

2009

2010

2011

2012

증감률

(’12-’09)

전 체

24.2

24.0

24.0

23.6

2.5

 

700만원 이상

51.4

48.4

44.0

42.6

17.1

 

600 ~ 700 미만

42.0

40.4

39.4

36.7

12.6

 

500 ~ 600 미만

37.2

36.2

34.0

33.2

10.8

 

400 ~ 500 미만

31.0

29.8

29.0

28.8

7.1

 

300 ~ 400 미만

24.6

24.0

23.4

23.0

6.5

 

200 ~ 300 미만

18.0

17.0

17.4

16.8

6.7

 

100 ~ 200 미만

11.0

10.3

10.9

11.0

0.0

 

100만원 미만

6.1

6.3

6.8

6.8

11.5

 

3. 사교육 양태

 

3-1. 학교급별 사교육 참여율(’07~’12)

(단위 : %, %p)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증감

전 체

77.0

75.1

75.0

73.6

71.7

69.4

2.3

 

초등학교

88.8

87.9

87.4

86.8

84.6

80.9

3.7

중학교

74.6

72.5

74.3

72.2

71.0

70.6

0.4

고등학교

55.0

53.4

53.8

52.8

51.6

50.7

0.9

·일반고

62.0

60.5

62.8

61.1

58.7

57.6

1.1

·특성화고

33.7

30.3

26.1

26.0

25.0

22.2

2.8

 

3-2. 과목별 사교육 참여율(’07~’12)

(단위 : %, %p)

구 분

전체

2012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증감

전 체

77.0

75.1

75.0

73.6

71.7

69.4

2.3

80.9

70.6

50.7

 

- 일반교과

68.4

66.4

66.2

64.8

61.6

58.6

3.0

64.6

65.9

42.2

국 어

39.3

36.1

34.4

31.4

26.2

22.3

3.9

31.1

21.2

9.9

영 어

55.6

55.6

55.0

52.5

49.2

46.3

2.9

51.1

57.1

28.4

수 학

58.6

56.5

55.8

53.6

50.2

47.8

2.4

48.8

59.8

34.7

사회, 과학

25.6

22.8

23.3

20.5

17.0

14.0

3.0

17.4

18.0

4.8

2외국어 등

14.9

12.9

12.5

10.7

7.9

6.2

1.7

9.9

5.6

1.2

논술

10.8

8.4

7.9

7.9

7.3

6.8

0.5

10.5

5.0

3.0

 

- 예체능 등

37.0

35.3

34.8

33.3

33.1

30.9

2.2

53.0

16.6

10.7

음 악

20.8

20.1

19.2

18.0

17.8

15.3

2.5

28.1

7.1

3.4

미 술

8.5

8.0

7.2

6.9

6.5

5.6

0.9

10.2

1.6

2.5

체 육

17.2

15.9

16.0

15.5

16.3

14.8

1.5

27.4

7.0

2.8

취미교양

4.2

4.1

4.0

3.9

3.4

3.7

0.3

5.5

2.2

2.3

 

 

 

 

3-3. 일반교과 참여유형별 사교육 참여율(’09~’12)

(단위 : %, %p)

구 분

2009

2010

2011

2012

 

증감

개인과외

11.0

10.6

10.6

10.5

0.1

그룹과외

11.7

11.7

11.1

10.7

0.4

학원수강

46.9

45.5

43.4

41.6

1.8

방문학습지

21.3

19.5

16.6

13.4

3.2

유료인터넷,통신

3.7

3.7

3.0

2.8

0.2

 

3-4. 사교육 참여시간(’09~’12)

(단위 : 시간, %)

구 분

2009

2010

2011

2012

 

증감률

전 체

7.4

7.0

6.6

6.0

9.1

 

초등학교

8.6

8.2

7.8

7.0

10.3

중학교

8.3

7.7

7.2

6.6

8.3

고등학교

4.3

4.1

4.0

3.9

2.5

·일반고

5.1

4.8

4.6

4.4

4.3

·특성화고

2.0

2.0

1.9

1.6

15.8

 

3-5. 일반교과 사교육 수강목적 분포(’07~’12)

(단위 : %)

구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학교수업보충

27.4

28.5

40.3

40.2

40.3

43.2

진학준비

17.7

17.5

15.8

15.8

15.4

14.9

선행학습

30.9

32.6

27.4

25.9

27.0

25.1

불안심리

19.2

18.1

13.0

13.4

12.3

11.2

보 육

2.0

1.0

1.4

2.5

2.4

2.6

기 타

2.7

2.3

2.2

2.1

2.5

3.0

* 연간 추이 비교를 위해 일반교과 사교육 수강목적(복수응답) 응답 비중을 백분위로 재구성

 

 

 

 

 

4. 방과후학교 및 EBS 현황

 

4-1. 방과후학교 참여비용 총 규모(’07~’12)

(단위 : 억원, %)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증감률

전 체

10,757

9,448

11,571

12,098

12,320

10,569

14.2

 

초등학교

5,240

4,278

5,071

5,044

5,868

5,340

9.0

중학교

1,031

994

1,344

1,551

1,371

986

28.1

고등학교

4,486

4,176

5,156

5,503

5,134

4,243

17.4

·일반고

3,995

3,739

4,672

4,961

4,770

4,026

15.6

·특성화고

491

437

484

542

364

217

40.4

 

4-2. 방과후학교 1인당 월평균 지출 비용(’07~’12)

(단위 : 만원)

구 분

평 균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일반고

특성화고

2007

1.2

1.2

0.4

2.1

2.5

0.9

2008

1.1

1.0

0.4

1.8

2.2

0.8

2009

1.3

1.2

0.6

2.2

2.6

0.8

2010

1.4

1.3

0.7

2.3

2.8

1.0

2011

1.5

1.6

0.6

2.2

2.6

0.7

2012

1.3

1.5

0.4

1.8

2.2

0.5

 

4-3. 방과후학교<유상+무상> 참여율(’09~’12)

(단위 : %)

구 분

평 균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일반고

특성화고

2009

51.3

43.1

43.1

74.1

80.1

55.6

2010

55.6

45.0

50.0

79.0

84.6

61.1

2011

56.6

50.4

48.3

74.7

80.9

51.6

2012

57.6

52.6

49.4

73.0

77.1

56.2

 

 

 

 

4-4. 방과후학교<+무상, 유상, 무상> 참여율(’08~’12)

(단위 : %)

구분

2008

2009

2010

2011

2012

무상

45.1

51.3

55.6

56.6

57.6

유상

38.7

43.1

47.6

48.8

44.1

무상

6.4

8.2

8.0

7.8

13.5

* 유상, 무상 프로그램 동시에 참여하는 학생은 유상에 포함함

 

4-5. 방과후학교<유상+무상> 교과프로그램 참여율(’11~’12)

(단위 : %)

구 분

평 균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2011

39.0

17.0

40.1

73.5

2012

36.5

18.0

36.1

65.5

* 사교육의식조사 문항으로 분석

 

4-6. EBS 교재구입비 총 규모(’07~’12)

(단위 : 억원, %)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증감률

전 체

1,363

1,357

1,526

2,003

2,015

1,802

10.6

 

초등학교

88

146

221

241

210

189

10.0

 

중학교

328

360

372

406

356

256

28.1

 

고등학교

946

851

933

1,356

1,449

1,357

6.3

 

·일반고

856

784

883

1,281

1,387

1,327

4.3

 

·특성화고

90

67

50

75

62

30

51.6

 

4-7. EBS 교재구입 1인당 월평균 지출 비용(’07~’12)

(단위 : 만원)

구 분

전 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일반고

특성화고

2007

0.2

0.0

0.1

0.4

0.5

0.2

2008

0.2

0.0

0.1

0.4

0.5

0.1

2009

0.2

0.1

0.2

0.4

0.5

0.1

2010

0.2

0.1

0.2

0.6

0.7

0.1

2011

0.2

0.1

0.2

0.6

0.8

0.1

2012

0.2

0.1

0.1

0.6

0.7

0.1

5. ·도별 사교육 현황

 

5-1. ·도별 사교육비 총규모(’09~’12)

(단위 : 억원, %)

구분

전 체

2012

2009

2010

2011

2012

 

증감률

초등학교

초등학교

고등학교

전체

216,259

208,718

201,266

190,395

5.4

77,554

61,162

51,679

서울

52,502

49,119

48,018

43,536

9.3

15,745

12,870

14,921

부산

11,853

11,553

10,884

11,438

5.1

4,389

3,875

3,174

대구

11,987

11,563

10,773

10,456

2.9

4,238

3,363

2,855

인천

11,192

10,788

10,024

9,153

8.7

3,632

2,824

2,697

광주

6,503

6,485

6,402

6,590

2.9

3,115

2,195

1,279

대전

6,926

6,837

6,508

6,534

0.4

2,721

1,956

1,857

울산

5,440

5,161

4,898

4,585

6.4

1,804

1,473

1,308

경기

58,752

58,305

56,597

50,836

10.2

20,402

16,644

13,790

강원

4,862

4,739

4,490

4,401

2.0

2,006

1,505

890

충북

4,886

4,781

4,644

4,545

2.1

2,111

1,526

907

충남

6,677

6,261

6,203

5,974

3.7

2,879

1,998

1,097

전북

5,407

5,485

5,010

5,577

11.3

2,264

1,930

1,383

전남

5,472

5,443

5,199

5,150

0.9

2,268

1,861

1,020

경북

8,804

8,069

7,900

7,799

1.3

3,525

2,660

1,615

경남

12,943

12,051

11,562

11,672

1.0

5,360

3,791

2,522

제주

2,055

2,081

2,154

2,147

0.3

1,094

690

363

 

 

 

 

 

 

 

5-2. ·도별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및 일반교과 사교육비(’09~’12)

(단위 : 만원, %)

구분

전 체

2012

2009

2010

2011

2012

 

초등학교

초등학교

고등학교

증감률

전체

24.2

24.0

24.0

23.6

1.7

21.9

27.6

22.4

(19.7)

(19.5)

(19.3)

(19.3)

(0.0)

서울

33.1

32.1

32.8

31.2

4.9

26.1

34.0

36.1

(26.6)

(25.6)

(26.3)

(26.1)

(0.8)

부산

20.3

20.8

20.7

23.0

11.1

21.3

28.1

20.8

(17.2)

(17.7)

(17.2)

(18.9)

(9.9)

대구

25.1

25.0

24.4

24.8

1.6

24.0

28.5

22.5

(20.8)

(20.8)

(20.5)

(20.4)

(0.5)

인천

22.1

22.0

21.4

20.3

5.1

18.3

22.7

20.9

(17.8)

(17.9)

(17.0)

(16.4)

(3.5)

광주

20.9

21.3

21.6

23.1

6.9

25.2

27.3

15.8

(17.4)

(17.9)

(17.9)

(19.2)

(7.3)

대전

23.4

23.8

23.4

24.3

3.8

23.0

26.5

24.4

(18.5)

(18.9)

(18.3)

(19.0)

(3.8)

울산

23.4

23.1

22.9

22.4

2.2

21.0

25.7

21.4

(19.3)

(18.8)

(18.7)

(18.4)

(1.6)

경기

26.9

27.1

26.9

24.9

7.4

21.9

29.9

24.8

(22.0)

(21.9)

(21.5)

(20.6)

(4.2)

강원

18.4

18.4

18.0

18.2

1.1

18.8

22.3

13.1

(14.3)

(14.3)

(13.9)

(14.8)

(7.2)

충북

17.3

17.4

17.4

17.7

1.7

18.6

21.4

12.6

(14.1)

(13.9)

(13.9)

(13.3)

(4.3)

충남

18.7

17.8

17.9

17.7

1.1

18.9

21.7

11.7

(14.5)

(13.9)

(14.0)

(13.7)

(2.1)

전북

15.7

16.4

15.5

17.9

15.5

16.8

22.3

15.4

(12.3)

(12.9)

(12.3)

(14.1)

(14.6)

전남

16.3

16.8

16.7

17.2

3.0

17.6

22.3

11.8

(12.9)

(13.6)

(13.7)

(13.9)

(1.5)

경북

19.7

18.7

19.0

19.5

2.6

20.3

24.2

14.0

(15.9)

(15.6)

(15.3)

(15.6)

(2.0)

경남

21.3

20.4

20.2

21.2

5.0

22.1

24.8

16.3

(17.3)

(16.7)

(16.2)

(17.2)

(6.2)

제주

18.1

18.6

19.8

20.3

2.5

22.7

23.9

12.7

(15.2)

(15.5)

(16.8)

(16.6)

(1.2)

* ( )안은 일반교과 사교육비

 

 

 

5-3. ·도별 사교육 참여율(’09~’12)

(단위 : %, %p)

구 분

전 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2009

2010

2011

2012

 

2011

2012

 

2011

2012

 

2011

2012

 

증감

증감

증감

증감

전체

75.0

73.6

71.7

69.4

2.3

84.6

80.9

3.7

71.0

70.6

0.4

51.6

50.7

0.9

서울

79.6

77.5

77.0

73.5

3.5

87.7

82.0

5.7

73.4

72.7

0.7

64.2

61.8

2.4

부산

72.4

72.7

69.7

68.7

1.0

81.6

80.6

1.0

69.9

72.2

2.3

52.9

49.4

3.5

대구

77.5

77.4

74.4

75.4

1.0

84.8

90.8

6.0

76.9

76.5

0.4

56.9

53.2

3.7

인천

73.9

72.1

70.0

66.6

3.4

83.2

78.9

4.3

66.1

63.6

2.5

53.1

50.7

2.4

광주

75.9

74.5

72.7

70.8

1.9

88.3

85.7

2.6

73.9

74.3

0.4

46.3

44.7

1.6

대전

74.2

75.4

73.2

73.4

0.2

85.6

84.3

1.3

71.5

72.2

0.7

54.6

57.6

3.0

울산

75.4

73.5

72.3

70.9

1.4

82.6

83.1

0.5

75.4

69.3

6.1

54.1

55.3

1.2

경기

77.4

76.5

75.4

70.9

4.5

88.8

79.1

9.7

72.8

73.3

0.5

54.3

54.8

0.5

강원

68.1

66.5

61.1

64.5

3.4

72.5

79.9

7.4

64.8

65.3

0.5

38.2

39.4

1.2

충북

69.4

66.9

64.9

63.9

1.0

77.6

78.8

1.2

69.2

64.1

5.1

39.5

40.2

0.7

충남

68.5

66.2

66.7

61.2

5.5

82.4

77.6

4.8

68.7

60.8

7.9

37.8

34.8

3.0

전북

65.8

65.2

60.9

62.0

1.1

72.4

74.1

1.7

64.5

63.2

1.3

39.2

42.4

3.2

전남

67.7

65.9

62.7

62.1

0.6

78.6

79.2

0.6

62.2

62.3

0.1

37.7

36.8

0.9

경북

74.0

70.0

68.5

67.6

0.9

85.4

81.8

3.6

70.4

72.9

2.5

39.7

41.1

1.4

경남

75.6

73.6

69.4

68.6

0.8

83.4

82.2

1.2

69.5

70.3

0.8

46.2

45.4

0.8

제주

68.7

70.0

68.5

66.5

2.0

81.0

80.6

0.4

73.7

71.5

2.2

40.9

37.8

3.1

 

 

5-4. ·도별 방과후학교(유상+무상) 참여율(’07~’12)

(단위 : %)

구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2009

42.8

50.3

57.9

58.5

58.1

57.0

57.3

40.7

58.5

68.4

63.5

63.3

64.7

67.3

47.1

56.4

2010

47.8

54.5

67.0

62.8

60.3

66.5

63.0

45.4

54.8

72.1

66.3

69.7

64.8

69.5

51.7

55.4

2011

48.7

56.2

68.9

69.0

56.1

70.8

73.8

43.3

55.3

68.8

72.2

68.2

65.3

70.9

55.4

63.4

2012

46.9

66.5

68.3

59.8

56.5

75.6

71.2

41.1

50.2

73.1

74.8

68.5

73.7

78.0

67.5

6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