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8(금)조간보도자료(`13년 학생정신건강 주요사업 추진계획 발표)[20130207113738185].hwp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는 2월 8일(금) 「’13년 학생정신건강 주요사업 추진계획」을 확정․발표하였다.
○ 이는 성장기 정서적 어려움 및 학교폭력 징후 등의 조기발견․예방을 위해 실시한 ’12년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이하 ‘특성검사‘) 결과 등을 분석․반영하여 마련한 것이다.
□ 먼저, ’12년 특성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 확대 및 편견 완화 등으로 검사 참여율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년 검사 참여율은 97%(6,482천명)로, ’11년 대비 약20%p 높아진 수치이다.
※ (’10) 79.7% ⇒ (’11) 77.3% ⇒ (’12) 97.0%
| <연도별 실시현황 비교 (명, %)>
|
※ (’10~’11) 희망학교를 대상으로 시범 실시
○ 학교내 검사 결과 파악된 관심군 학생은 16.3%(1,054천명), 주의군 학생은 4.5%(223천명)으로,
구분 | 검사실시 학생수(명) | 관심군 | 주의군 | ||
학생수(명) | 비율(%) | 학생수(명) | 비율(%) | ||
초 | 2,813,483 | 466,560 | 16.6 | 50,898 | 2.4 |
중 | 1,812,841 | 332,008 | 18.3 | 96,077 | 7.1 |
고 | 1,856,150 | 255,879 | 13.8 | 77,014 | 5.4 |
합계 | 6,482,474 | 1,054,447 | 16.3 | 223,989 | 4.5 |
※ 관심군 : 1차검사 결과 학교내 상담․관리 등 지속적 관심이 필요한 학생
주의군 : 2차검사 결과 심층상담 등 집중관리가 필요한 학생
- 전년대비 전반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전수검사 실시 등으로 학생․학부모의 학생 정신건강 조기발견․관리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학교급별로는 관심군 및 주의군 모두 중학생이 가장 높게 나타나, 중학생 단계에서 정서적인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관심군 : 중18.3%(332천명) > 초16.6%(466천명) > 고13.8%(255천명)
주의군 : 중7.1%(96천명) > 고5.4%(77천명) >초 2.4%(50천명)
○ 성별로는 관심군은 남학생이, 주의군은 여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관심군 : 남학생 16.8%(568천명)> 여학생 15.7%(485천명)
※ 주의군 : 여학생 5.2%(122천명) > 남학생 3.9%(101천명)
○ 지역별로는 관심군의 경우, 전북(20.2%), 충북(19.8%), 전남(19.4%) 등에서, 주의군의 경우 충남(7.0%), 제주(6.5%), 강원(6.1%) 등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2차 검사결과 주의군 학생에 대하여 6~12월까지 Wee센터, 정신보건센터, 병의원 등 전문기관과 학교내 Wee 클래스 등을 통해 심층사정평가 및 사후관리 조치를 실시 완료했으며,
※ 전문기관 연계․관리 현황 : Wee 센터(30%), 정신보건센터(13%), 병의원(4%) 등
- 특히 자살생각 등 우선조치 필요 학생(전체학생의 약 1.5%)을 하계 방학중 우선의뢰 조치하였다.
< 기관별 학생 연계․관리 현황 >
구 분 | 전문기관 연계․관리 | 학교내 관리 (Wee 클래스 등) | |||
Wee센터 | 정신보건센터 | 병의원 | 청소년상담센터 | ||
초 | 35% | 22% | 7% | 6% | 30% |
중 | 33% | 10% | 3% | 4% | 50% |
고 | 22% | 11% | 3% | 4% | 60% |
전체 | 30% | 13% | 4% | 4% | 49% |
《특성검사 제도개선으로 검사제도 효율성 제고》
□ 교육과학기술부는 현장의견 수렴 및 전문가 검토 등을 거쳐 특성검사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시행할 예정이다.
※ 특성검사 제도개선을 위한 현장 간담회(’12.11.21) 및 공청회(’12.12.5) 등
○ 주요 개선 내용은 검사대상 조정(전체학년→초1․4, 중․고1), 검사절차 단순화(3단계→2단계), 검사방법 간소화(서면→온라인) 등이다.
- 특히 검사대상은 매년 동일한 전수검사 실시에 따른 학습효과 발생 등을 고려, 학생 개인별 3년 주기로 검사를 받도록 개선 하였다.
※ 특성검사는 당초 학교급별 진입학년(초1․4, 중․고1) 학생을 중심으로 시범 실시, ’12년도의 경우 학교폭력 예방 필요 등에 따라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확대 실시한 바 있음
○ 아울러 검사 대상학년 조정, 검사단계 단순화 등에 따라 사후관리 대상을 기존 관심군․주의군에서 관심군으로 일원화하여 학교-지역사회 연계․협력 체계를 통해 사후관리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제도개선 기본내용】
|
《위험수준별 학교내․외 학생 관리체계 구축》
□ 특성검사 결과 정서적 어려움이 있는 학생의 정신건강 수준에 따른 맞춤형 지원․관리 대책을 마련․시행한다.
【특성검사 및 관리 체계도】
* 학교상담: 검사결과 재확인을 통해 자살징후 등 고위험군 학생 병의원 연계 등 우선조치, 기타 관심군 학생은 위험수준별로 순차적 2차 검사 의뢰 및 학교내 지속관리
○ 특성검사 결과 관심군 학생(전체학생의 10% 내외 추정)은 학교내 Wee 클래스, 전문기관 연계 등을 통한 사후관리를 지속한다.
- 관심군 학생에 대하여 학교내 담당자 지정을 의무화 하고 정기적(분기별 1회 이상)으로 학교상담을 받도록 하는 등 학교내 관리를 대폭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 특히 자살생각 등 우선 조치가 필요한 고위험군 학생에 대하여 위기 대응팀* 운영, 월1회 이상 학교상담 강화(학부모 상담 포함) 및 학교의사 지정, 치료비 지원(저소득층) 등 맞춤형 관리․지원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학교장, 담당교사(보건․상담․담임 등), 전문기관, 병의원 관계자 등으로 구성
【관심군․고위험군 학생 관리방안】 | |
관심군 | ․(학교내 관리체계 구축) 학교내 담당자 지정 의무화, 역할분담 체계 정립(보건․상담․담임 등) 및 협의체 운영 등 ․(학교내 지속관리) 학교상담 정례화(분기별1회 이상), 생명존중 및 자살예방 교육 강화(학기당 1회 이상, 학교폭력 예방교육 연계 등 ) ․(전문기관 연계) Wee 센터․정신보건센터 등 연계, 2차검사 실시 |
고위험군 | ․(학교내 집중관리) 학교장․교사, 학부모, 전문기관, 응급실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위기대응팀 운영 의무화, 학교상담 강화(월1회 이상, 수시), 학부모 상담 의무화, 학교의사 배치․지정 및 저소득층 치료비 지원(시범실시) 등 ․(병의원 즉시의뢰) 검사절차와 관계없이 고위험군 학생 발견 즉시 병의원 의뢰체계 구축 ․(자살시도자) 병원 응급실 연계 자살시도학생 관리체계 강화(시범지역 지정) |
《학교․지역사회 연계․협력을 통한 취약학교․지역 집중지원》
□ 교과부는 복지부․시도교육청과 공동으로 학생정신건강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학교 및 지역에 대한 집중지원․관리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 각 시도교육청별로 10% 내외 학교를 정신건강 집중관리 학교로 지정, 해당 학교에 대한 지원․관리를 강화토록 할 계획이다.
※ 전문인력(보건․상담 등) 우선배치, 학교 컨설팅 등 행․재정적 지원 강화
○ 아울러 Wee 센터를 현재 137개에서 ‘13년 190개로 확대 설치하고, 복지부 아동청소년 특화 정신보건센터 증설(42개→100개) 등을 통해 학교밖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충․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 복지부 국립병원 기능개편(입원진료 축소→학교폭력 가․피해자 치유 등 지역정신보건 서비스 제공강화) 및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지원 사업 등과 연계
○ 또한 복지부와 공동으로 시범학교 및 지역을 대상으로 학교와 지역의 전문자원(전문기관․병의원, 전문인력 등)을 연계․활용하는 ‘학생정신건강 학교-지역협력 모델 구축․지원 사업’이 추진된다.
- 주요 지원내용은 특히 고위험군 학생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학교에 대한 정신건강 학교모델 발굴 및 지역단위 학생자살 위기대응 시스템 구축 등이며, ’13년도에는 3~5개 지역(60개 내외 학교)을 대상으로 시범운영 후 연차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 연차별 확대: ('13) 3~5개 지역 → (’14) 8개 지역 → (’15) 시도별 1개 지역 이상
※ 추진일정 : 사업계획 공고(2월중) → 대상지역 선정․운영(3월말~)
□ ’12년도는 특성검사 전면실시를 계기로 학생 정신건강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인식이 제고되고 정서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학생에 대한 체계적 관리 기반이 조성된 의미 있는 한 해로,
○ ’13년도에도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관계부처(복지부 등), 교육청․지자체 등과 공동으로 학생정신건강 지원방안이 현장에 안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행․재정적 지원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총괄과 김정원 사무관(☎ 02-2100-6877)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붙임1 |
| ’12년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 결과 |
시도 | 학교급 | 대상 학생수 (전체학년) | 검사실시 학생수 | 관심군 | 주의군 | ||
학생수 | 비율 | 학생수 | 비율 | ||||
서울 | 초 | 497,592 | 492,633 | 111,320 | 22.6 | 6,817 | 1.4 |
| 중 | 317,553 | 312,977 | 42,638 | 13.6 | 14,296 | 4.6 |
| 고 | 344,455 | 338,068 | 27,243 | 8.1 | 10,975 | 3.2 |
| 계 | 1,159,600 | 1,143,678 | 181,201 | 15.8 | 32,088 | 2.8 |
부산 | 초 | 171,850 | 167,455 | 26,235 | 15.7 | 3,592 | 2.1 |
| 중 | 113,936 | 112,190 | 24,908 | 22.2 | 8,504 | 7.6 |
| 고 | 126,378 | 124,796 | 19,109 | 15.3 | 5,836 | 4.7 |
| 계 | 412,164 | 404,441 | 70,252 | 17.4 | 17,932 | 4.4 |
대구 | 초 | 147,796 | 147,645 | 21,819 | 14.8 | 3,340 | 2.3 |
| 중 | 98,213 | 97,512 | 17,907 | 18.4 | 6,498 | 6.7 |
| 고 | 105,852 | 104,954 | 12,369 | 11.8 | 5,858 | 5.6 |
| 계 | 351,861 | 350,111 | 52,095 | 14.9 | 15,696 | 4.5 |
인천 | 초 | 165,512 | 164,242 | 26,061 | 15.9 | 4,580 | 2.8 |
| 중 | 103,365 | 102,340 | 19,779 | 19.3 | 7,130 | 7.0 |
| 고 | 107,347 | 104,688 | 15,342 | 14.7 | 5,854 | 5.6 |
| 계 | 376,224 | 371,270 | 61,182 | 16.5 | 17,564 | 4.7 |
광주 | 초 | 103,064 | 102,206 | 17,327 | 17.0 | 3,208 | 3.1 |
| 중 | 66,972 | 66,880 | 9,332 | 14.0 | 5,792 | 8.7 |
| 고 | 67,657 | 65,922 | 8,101 | 12.3 | 4,109 | 6.2 |
| 계 | 237,693 | 235,008 | 34,760 | 14.8 | 13,109 | 5.6 |
대전 | 초 | 100,668 | 98,809 | 15,332 | 15.5 | 2,468 | 2.5 |
| 중 | 60,347 | 58,650 | 8,505 | 14.5 | 4,949 | 8.4 |
| 고 | 62,118 | 61,220 | 8,787 | 14.4 | 3,840 | 6.3 |
| 계 | 223,133 | 218,679 | 32,624 | 14.9 | 11,257 | 5.1 |
울산 | 초 | 71,642 | 66,650 | 12,042 | 18.1 | 1,642 | 2.5 |
| 중 | 47,698 | 45,016 | 6,919 | 15.4 | 2,517 | 5.6 |
| 고 | 50,665 | 47,708 | 6,180 | 13.0 | 1,626 | 3.4 |
| 계 | 170,005 | 159,374 | 25,141 | 15.8 | 5,785 | 3.6 |
세종 | 초 | 5,578 | 5,542 | 825 | 14.9 | 129 | 2.3 |
| 중 | 2,947 | 2,943 | 706 | 24.0 | 216 | 7.3 |
| 고 | 3,261 | 3,211 | 555 | 17.3 | 317 | 9.9 |
| 계 | 11,786 | 11,696 | 2,086 | 17.8 | 662 | 5.7 |
경기 | 초 | 768,862 | 680,103 | 82,649 | 12.2 |
|
|
| 중 | 464,933 | 452,425 | 84,749 | 18.7 |
|
|
| 고 | 442,820 | 426,578 | 65,341 | 15.3 |
|
|
| 계 | 1,676,615 | 1,559,106 | 232,739 | 14.9 |
|
|
강원 | 초 | 86,540 | 79,691 | 8,793 | 11.0 | 1,917 | 2.4 |
| 중 | 54,776 | 53,880 | 6,845 | 12.7 | 5,329 | 9.9 |
| 고 | 57,640 | 53,774 | 4,921 | 9.2 | 4,139 | 7.7 |
| 계 | 198,956 | 187,345 | 20,559 | 11.0 | 11,385 | 6.1 |
충북 | 초 | 93,940 | 93,554 | 19,634 | 21.0 | 2,415 | 2.6 |
| 중 | 59,057 | 58,537 | 11,964 | 20.4 | 3,711 | 6.3 |
| 고 | 58,707 | 58,044 | 10,021 | 17.3 | 4,199 | 7.2 |
| 계 | 211,704 | 210,135 | 41,619 | 19.8 | 10,325 | 4.9 |
충남 | 초 | 120,797 | 117,036 | 18,565 | 15.9 | 5,486 | 4.7 |
| 중 | 73,222 | 71,861 | 14,875 | 20.7 | 6,735 | 9.4 |
| 고 | 83,076 | 81,349 | 11,959 | 14.7 | 6,678 | 8.2 |
| 계 | 277,095 | 270,246 | 45,399 | 16.8 | 18,899 | 7.0 |
전북 | 초 | 112,191 | 110,924 | 19,290 | 17.4 | 3,568 | 3.2 |
| 중 | 70,012 | 69,498 | 18,948 | 27.3 | 7,236 | 10.4 |
| 고 | 75,737 | 74,846 | 13,304 | 17.8 | 4,454 | 6.0 |
| 계 | 257,940 | 255,268 | 51,542 | 20.2 | 15,258 | 6.0 |
전남 | 초 | 106,335 | 106,326 | 21,275 | 20.0 | 3,005 | 2.8 |
| 중 | 68,960 | 66,208 | 13,625 | 20.6 | 3,332 | 5.0 |
| 고 | 71,495 | 70,271 | 12,160 | 17.3 | 3,164 | 4.5 |
| 계 | 246,790 | 242,805 | 47,060 | 19.4 | 9,501 | 3.9 |
경북 | 초 | 141,065 | 139,797 | 24,125 | 17.3 | 2,902 | 2.1 |
| 중 | 92,510 | 92,017 | 19,195 | 20.9 | 7,063 | 7.7 |
| 고 | 91,636 | 90,882 | 16,543 | 18.2 | 5,519 | 6.1 |
| 계 | 325,211 | 322,696 | 59,863 | 18.6 | 15,484 | 4.8 |
경남 | 초 | 202,089 | 201,233 | 35,407 | 17.6 | 5,183 | 2.6 |
| 중 | 127,217 | 126,239 | 26,185 | 20.7 | 10,170 | 8.1 |
| 고 | 128,467 | 126,865 | 19,427 | 15.3 | 8,086 | 6.4 |
| 계 | 457,773 | 454,337 | 81,019 | 17.8 | 23,439 | 5.2 |
제주 | 초 | 40,156 | 39,637 | 5,861 | 14.8 | 646 | 1.6 |
| 중 | 24,009 | 23,668 | 4,928 | 20.8 | 2,599 | 11.0 |
| 고 | 23,605 | 22,974 | 4,517 | 19.7 | 2,360 | 10.3 |
| 계 | 87,770 | 86,279 | 15,306 | 17.7 | 5,605 | 6.5 |
계 | 초 | 2,935,677 | 2,813,483 | 466,560 | 16.6 | 50,898 | 2.4 |
| 중 | 1,845,727 | 1,812,841 | 332,008 | 18.3 | 96,077 | 7.1 |
| 고 | 1,900,916 | 1,856,150 | 255,879 | 13.8 | 77,014 | 5.4 |
| 계 | 6,682,320 | 6,482,474 | 1,054,447 | 16.3 | 223,989 | 4.5 |
* 2차 검사결과 경기도 제외(경기도는 학교내 1차검사 후 정신보건센터 등 전문기관에 연계․의뢰)
붙임2 |
| 학생정신건강 학교-지역협력 모델 구축․지원 사업 개요 |
추진배경
○ 최근 빈번한 학생자살, 우울․불안 등 학생 정신건강 문제가 심각하나, 정부․지역․학교차원의 체계적 대응관리 체계 미흡
○ 특히, 특성검사로 선별된 고위험군 학생에 대한 단위학교별 대응에 한계, 고위험군 사례관리를 위한 학교-지역사회 전문자원의 활용․연계 필요
지원 개요
○ (지원대상) 특성검사 분석결과 주의군․고위험군 학생 비율이 높은 지역 및 집중관리 학교를 선정․지원
※ 관련 인프라(국립병원․응급의료센터, 전문기관 등) 구축, 복지부 관련 사업과의 연계가 가능한 지역 우선 지원
○ (지원규모) 3~5개 지역(60개 내외학교)
○ (지원단위) 교육지원청 및 기초자치단체(시․군․구) 컨소시엄
○ (지원분야) 정신건강 학교모델 발굴․육성, 지역단위 학생자살 위기대응 시스템 구축
| |
|
추진 일정
○ 사업공고(2월중) → 지역선정․운영(3월말~)
붙임3 |
| 서울 노원구 지역사회 자살위기대응시스템 운영 사례 |
|
'교육정책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감선거, 희망의 교육찾기’ 한겨레 시민포럼 (0) | 2013.02.13 |
---|---|
2013년 초등 1~2학년군 교육과정 편성 자료 (0) | 2013.02.08 |
2013 초·중·고 학생 교육비 지원 안내 (0) | 2013.02.07 |
2012년 사교육비·의식조사 결과 (0) | 2013.02.06 |
학교폭력 가해학생에 대한 조치별 적용을 위한 세부 기준(고시) (0) | 2013.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