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초대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장 후보로 이배용씨가 내정되었다고 한다.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 백서(이후 백서)에 따르면 이배용씨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업무를 담당하게 되는 역사과 교과용 도서 편찬심의회 위원이었다. 2015년 11월 청와대가 선정위원회의 심사를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지명한 교수위원 7명에 포함 되었던 인물이다.
올해 5월 교육부 기회조정 실장으로 영전된 오석환의 경우 박근혜 정부 당시 ‘국정화 추진 TF’단장을 맡았던 인물이다. 백서에 따르면 ‘국정화 추진 TF’는 박근혜 정부 당시 교육문화수석 김상률의 지시에 따라 세종시가 아니 서울 대학로 동숭동 소재 국립교육원에 만들어 비밀리에 운영된 조직이다. TF는 당시 교육부 차관 김재춘의 지시에 따라 당시 충북대에서 사무국장으로 근무하고 있던 고위 공무원 오석환을 단장으로 하여, 기존 교육부 역사교육지원팀장 등 6명을 중심으로 중앙교육연수원 등 소속기관 근무자를 임의 차출하여 최종 3개 팀 총 21명 규모로 운영되었다. 이 TF는 당시 야당이였던 새정치민주연합 도종환, 유기홍, 김태년 의원과 정의당 정진후 의원이 제보를 받고 국릭교육원에 기자들과 급습하여 세상에 알려졌다.
교육부 장관 후보로 나승일 전차관이 거론 되고 있다. 나 전차관은 백서에 의하면 차관을 마치고 교수가 된 후 역사교과서 국정화 지지 성명을 한다. 본인만 참여한게 아니라 교육부의 요청을 받아 최종적으로 2명의 동의 교수를 알려주는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고 백서에 인터뷰 내용이 있다.
만약 나승일 전 차관마저 장관으로 임명된다면 역사교과서 국정화 3인방이 모두 승진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뉴라이트와 그 비호세력이 삼위일체가 되어 윤석열 정부의 교육정책을 이끌게 되는 것이다. 3명의 인사모두 과거 역사교과서 국정화 사업에 자신들이 참여하고 주도한 사실에 대해 공개적으로 사과하거나 반성한 적이 없는 인물들이다.
윤석열정부는 만5세취학 정책으로 온 국민을 혼란에 빠뜨린 후 인사 쇄신을 통해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해야 하는 시기이다. 그런데 고작 새롭게 임명하거나 승진을 시키거나 인사검증을 하고 있는 인물들이 과거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주도했던 인물들이다.
인사가 만사(人事萬事)라는 말이 있다. 결국 정책은 사람이 이끌어 가기 때문이다. 박순애 장관을 통해 국민들은 충분히 실망을 경험했다. 교육계를 이끌어 갈 인물이 정말 그렇게도 없는지 궁금하다. 이배용 초대 국가교육위운회 위원장 내정과 나승일 교육부 장관 후보 취소를 간절히 촉구한다.
728x90
'홍인기교육정책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민청 필요하다.] (0) | 2022.08.27 |
---|---|
[뉴라이트의 역습] (0) | 2022.08.23 |
[경기도교육청 인수위 백서 6 - 과밀학급] (0) | 2022.08.18 |
[경기도교육청 인수위 백서 5 - 경기형 IB프로그램] (2) | 2022.08.16 |
[경기도교육청 인수위 백서 4 - 기초학력] (0) | 2022.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