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학생수감소180 [사라질 100년 역사 초등학교들] #학생수감소 #지역소멸 학생수별 학교에 대한 정보를 교육부에 공개 청구를 했더니 한국교육개발원(KEDI) 교육통계서비스(https://kess.kedi.re.kr)에 알림서비스/주요 요청자료/학교·학과별 데이터셋에 전국의 모든 학교 정보가 들어 있는 로우데이터가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었다. 전국의 모든 학교의 학생수, 학급수, 학급당 학생수 등등의 기초 정보가 들어있었다. 데이터 기준으로 소트를 하니 전국 초등학교중 학생수 30명이하인 학교의 자료가 추출된다. 학교수를 확인하가 위해 번호를 매겨보니 602개교나 된다. 전체 초등학교의 10.0%이다. 사라질 학교중에서 100년이 넘은(2021.12.31 기준) 학교는 41개교이다. 이학교들 중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는 순흥초등학교 이다. 1906 사립 흥주소.. 2022. 3. 16. [학생수 감소로 인한 미래교육 예상 5] #학생수감소 *지난 글들 1. 학생수 감소 속도가 빨라서 기존의 교육시스템이 따라가지 못할 것이다. 2. 지역에서만 문제가 심각할 것이다. 3. 피해가 주로 약자들에게 나타날 것이다. 4. 교육 고급화 현상이 생길 것이다. ========================================= 5. 교육재정 축소의 압박이 커진다. 교육재정의 대부분은 중앙정부가 국세를 통해 걷은 세금중 20.79%(지방교육재정교부금)에 해당 되는 돈을 시도교육청에 예산을 나누어 주는 돈이다. 2022년 약 64조 3000억원이 시도교육엉으로 나누어질 것이다.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와 달리 지역의 교육질이 균등한 이유는 중앙정부에서 세금을 걷어서 나누어주기 때문이다. 학생수는 줄지만 경제규모가 성장하면서 지방교육재정교부금.. 2022. 3. 16. [학생수 감소로 인한 미래교육 예상 4] #학생수감소 *지난 글들 1. 학생수 감소 속도가 빨라서 기존의 교육시스템이 따라가지 못할 것이다. 2. 지역에서만 문제가 심각할 것이다. 3. 피해가 주로 약자들에게 나타날 것이다. ========================================= 4. 교육 고급화 현상이 생길 것이다. 2022년 1월 7일 JTBC 보동에 따르면 서울 사립초등학교 경쟁률이 11.7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고 한다. 이런 현상의 원인으로 코로나19로 이한 공립학교의 등교일수 감소나 중복지원 등의 원인을 꼽는다. 두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 문제는 사립학교의 경쟁률 증가가 뉴스를 통해 알려지면서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수도권에서 아이를 낳는다는 것은 최소한 자신의 어린시절 이상으로 태어날 .. 2022. 3. 16. [학생수 감소로 인한 미래교육 예상 2] #학생수감소 1. 학생수 감소 속도가 빨라서 기존의 교육시스템이 따라가지 못할 것이다. 2. 지역에서만 문제가 심각할 것이다. 학생수 감소 문제는 수도권에서는 별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2032년 2021년 대비 학생수가 절반 줄어들면 학급당 학생수가 지금보다 11명이 줄어들게 된다. 수도권의 많은 학급이 25명 이상인데 14명으로 줄어들면 오히려 교육의 질은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과밀학급이 해소되어 교사, 학부모, 학생 모두 좋아 할 것이다. 어쩌면 수도권 인구 집중 현상으로 수도권에서 학급당 학생수가 20명 이하로 내려가기는 쉽지 않을 수 있다. 수도권의 사람들은 전혀 학생수 감소를 실감하지 못할 수도 있다. 지방의 경우 이미 학급당 학생수가 낮기 때문에 학급당 학생수를 줄이는 문제가 아니라 .. 2022. 3. 16.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 45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