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08(금)조간보도자료(2013학년도 주5일 수업제 토요프로그램 운영).hwp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는 '13학년도 주5일 수업제 시행과 관련하여 학교, 지역사회, 관계부처의 토요프로그램 운영계획 등 준비 상황을 종합 점검하고, 운영계획을 발표하였다.
○ 주5일 수업제 전면 자율 시행 두 번째 해인 '13학년도에는99.7%(11,385개교)의 초․중․고교에서 주5일 수업제를 시행할 예정이다.
□ 교과부는 '13학년도에도 주5일 수업제가 현장에 착근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토요프로그램 운영을 활성화하고 교육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 학교에서는 토요돌봄교실, 토요방과후학교, 토요스포츠데이, 토요문화예술활동 등 전국적으로 총 9만여 개의 토요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약 30%의 학생들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로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체험활동 및 돌봄서비스를 제공한다.
- 학생 스포츠 및 문화예술 활동 활성화를 위해 생활체육 및 문화예술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을 우선적으로 토요스포츠강사 배치, 학교 스포츠클럽 활동 및 리그 지원, 학생오케스트라 확대, 토요 문화예술동아리 지원 등을 추진한다.
구분 | 정부지원 내용 |
스포츠 | ∘토요스포츠강사 배치 지원('13년 11,519명, 문화부 공동추진)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외부시설 등 사용료 지원 ∘전국학교스포츠클럽 운영('13년 33종목 운영) ∘교육지원청 학교스포츠클럽 리그(’13년 178개 지원청) |
문화 예술 | ∘학생오케스트라 운영학교 확대('12년 300교 → `13년 600교) ∘토요예술강사 배치 지원('13년 1,102개교, 문화부와 교육청 1:1매칭) ∘중학생 예술동아리 활동비 지원 ('13년 500개교) ∘사제동행 독서동아리 및 독서진로 동아리 지원('13년 600개교) |
○ 교육취약계층 지원 강화를 위해, 대학생 교육기부 및 기업의 교육기부를 확대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교육취약계층 학생이 토요프로그램에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정부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이와 더불어 학교에서는 토요프로그램에 교육취약계층이 우선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토요일 나홀로 학생 등에 대한 사전 현황 파악 및 지도, 학생 개인의 토요일 활동계획서 관리 등 집중 지도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 지원 * 체험활동 토요프로그램(유료인 경우)까지 사용 가능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서 지원하는 학교 토요프로그램 참여 저소득층 학생에 대해 수강료, 교통비 이외에 중식비까지 지원 • 교육취약계층의 모든 토요돌봄 수요를 수용하여 토요돌봄교실 운영 • 교육취약계층의 낙인감 해소 및 참여율 제고를 위해 초․중학교 예체능․특기적성 등 토요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지원 ('13년 1,064억원) |
○ 아울러, 주5일 수업제 전면 시행에 따른 사교육 등 부작용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지속관리하고, 토요방과후학교에서 특기적성 프로그램을 내실화하면서 수요를 바탕으로 영어, 수학 등 교과 프로그램도 운영할 계획이다.
* 주5일 수업제에 편승한 재학생 대상 주말 기숙학원 등 불법․편법 학원 집중 단속 등 지속 추진
* 토요방과후학교 프로그램 비율('12.10.20 기준) : 교과(19.8%), 특기적성(80.2%)
□ 지역사회가 함께 하는 건전한 토요 문화조성을 위해 지역사회 프로그램도 지속적으로 제공된다.
○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등 중앙부처에서는 주5일 수업제 정착을 위해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토요프로그램 운영을 지원한다.
○ 문화체육관광부의 '꿈다락 토요 문화학교', 보건복지부의 '지역아동센터', 국토해양부의 '수상레저 스포츠 체험', 국방부의 '나라사랑 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이밖에도 중앙부처가 지원하는 박물관, 도서관, 국악원, 사료관 등에서도 다양한 토요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 지자체 등에서 운영하는 지역사회 프로그램은 전국의 3,383개 기관에서 총 12,655개의 다양한 프로그램(전체학생의 약 10% 수용규모)이 운영될 계획이며, 이중 1,400개 프로그램은 운송수단을 제공하고 1,133개 프로그램은 중식을 제공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사회의 다양한 토요프로그램 및 체험자원에 대한 정보는 창의인성교육넷(www.crezone.net)이나 시도교육청 홈페이지 등을 통해 제공된다.
○ 교과부는 지자체 및 지역사회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지역사회 프로그램 확대할 수 있도록 ‘가정과 사회가 함께하는 토요학교’ 사업(’13년, 60개 지자체)을 지원하고 시도교육청 및 교육지원청에 주5일 수업제 지원 추진단을 구성․운영하고 있다.
□ 한편, 교과부는 지난 한 해 동안 주5일 수업제를 시행한 결과, 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 해소 및 창의성․인성 함양 등 건전한 주말 여가 문화 정착에 도움이 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 학교와 지역사회의 토요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매월 증가함으로써, 학생들이 주중에 하기 어려운 스포츠, 문화예술 및 체험활동 등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12년 토요프로그램 학생참여율 추이>
○ 또한, 토요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학부모 등 수요자들의 만족도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주5일 수업제 시행 이후,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이 늘었으며, 체험활동이나 문화생활의 기회가 증가하고, 지역사회시설의 이용시간이 많아졌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부모들은 다양한 체험 활동에 따른 학생들의 학습경험 확대와 학생들의 학습부담 경감을 주5일 수업제 시행의 가장 큰 효과로 평가하고 있으며,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강화, 예체능 등 특기적성 교육 확대, 가정의 교육적 기능 강화 순으로 주5일 수업제 시행 효과를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요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
| |
<주5일 수업제 시행이후 학생 생활 변화 인식>
| <주5일 수업제 효과에 대한 학부모 인식>
|
* 전국 500개교 무선표집 설문조사(‘12.7월, 교과부)
|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교육과학기술부 방과후학교팀 문진철 교육연구사(☎ 02-2100-6277)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붙임1 |
| '13학년도 주5일수업제 및 토요프로그램 운영 계획 현황('13.2.4 기준) |
□ 주5일 수업제 운영 학교 현황
구분 | 전면시행 학교수 | 주2회 시행 학교수 | 미실시 학교수 | 계 (전체 학교수) |
초 | 5,941 | 0 | 0 | 5,941 |
중 | 3,166 | 2 | 0 | 3,168 |
고 | 2,278 | 22 | 1 | 2,301 |
계 | 11,385 | 24 | 1 | 11,410 |
□ 학교 토요프로그램 운영계획
구분 | 학교수 | 프로그램 수 | |||||
토요 돌봄교실 | 토요 방과후학교 | 토요 스포츠데이 | 토요 문화예술 | 기타 | 합계 | ||
초 | 5,941 | 5,192 | 22,745 | 5,868 | 3,399 | 6,033 | 43,237 |
중 | 3,168 | 0 | 13,552 | 5,759 | 3,651 | 4,245 | 27,207 |
고 | 2,301 | 0 | 11,531 | 3,097 | 1,723 | 4,698 | 21,049 |
계 | 11,410 | 5,192 | 47,828 | 14,724 | 8,773 | 14,976 | 91,493 |
□ 지역사회 토요프로그램 운영계획
운영 기관수 | 프로그램수 | 참여계획 인원 (당일) | 운송수단 제공 프로그램수 | 식사제공 프로그램수 |
3,383 | 12,655 | 639,144 | 1,400 | 1,133 |
붙임2 |
| '13학년도 중앙부처 토요프로그램 지원 계획('13.2.4 기준)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스포츠 체험'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연계(270개), 300개 프로그램 * 토요동아리 및 토요스포츠강사 지원 * 청소년 체육활동 : 오리엔티어링 및 캠핑교실(32회, 3,200명), 스포츠클라이밍 교실(32기수, 4,500명) * 토요NIE교실(신문활용교육) : 소외계층 대상(140개기관, 4,200명), 청소년 대상(30회, 1,200명) •(국토해양부) ‘수상레저스포츠 체험’ * 수상레포츠 : 전국 강, 바다 20개소에서 해양레저스포츠 체험교실 운영(약 70만명) * 해양레저스포츠 : 부산, 울산 등 9개 시도에 3억원 지원, 초․중․고․대학생 교육 •(지식경제부) ‘토요 시설 개방’ * 산하 공공기관의 26개 홍보관과 체육시설 개방, 홍보관 운영시간 연장 •(법무부) ‘법토데이 운영’ * ‘법토데이’(솔로몬로파크) 운영(78회, 2,340명) / 토요 법교육 출장강연(30개학교, 2,000명) •(고용노동부) ‘토요 직업진로지도’ * 한국잡월드를 통한 직업체험프로그램 : 진로멘토링(9회, 450명), 꿈토로(7회 1,400명), 어린이 캣츠(4회 1,000명), 북콘서트(8회 2,000명), 로봇타타와 뮤직로봇(5회, 1,250명) 등 * 고용센터 : 토요진로지도, 직업심리분석 서비스 * 사이버진로교육센터 : 청소년 진로지도 콘텐츠 개설․운영 •(여성가족부) ‘방과후아카데미 등’ * 초4∼중2 기초생활수급자 등 저소득층 및 취약계층 맞벌이 가정을 대상으로 운영(전국 200개소, 8,000명, 주6일) - 차량 및 급식 제공 * 전국 청소년수련시설 프로그램 : 문화예술․과학정보․봉사협력․환경․인성․모험개척 프로그램 4,200여개, 56만명 •(농림수산식품부) ‘농어촌 체험활동’ * 도농교류협력사업 : 민간단체, 마을, 초등학교 등 89개 단체에 19억원 지원 * 농어촌인성학교 : 농어촌인성학교 28개 / 레일그린 : 참가 지자체 추가 등 운영 확대 •(보건복지부) ‘토요돌봄 지원’ * 지역아동센터 예산지원 확대 : ‘12) 62억원, 1,400개소→’13)90억원, 1,404개소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복권기금으로 토요운영 지원 : 455개소에 37억원 •(국방부) ‘나라사랑 체험’ * 학생 나라사랑 교육지원(70만명), 청소년 호국수련활동 및 병영체험(10만명), 안보현장 견학(82만명), 부대개방 행사(40만명), 문화홍보행사․문화콘텐츠 학습지원(1만명) •(환경부) ‘환경교육’ * ‘푸름이 이동환경교실’ 지속 운영 : 푸름이 이동환경교육 차량 증차(6대→7대) •(국가보훈처) ‘역사 및 나라사랑 체험’ * 58개 기념관 등 주말/가족 프로그램 / 『나라사랑 체험 프로그램』지원(20여개 기관, 총 4억원) •(소방방재청) ‘주말119안전체험 아카데미’ * 전국 198개 소방관서에서 소방안전교육 실시, 아카데미 참가학생에 대한 급식 지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과학수사 체험교실’ * 토요과정 체험교실(4회, 144명) •(금융위원회) ‘금융교실’ * 주말어린이 금융교실(40회, 1,200명), 대학생 자원봉사 금융교실, 행복돌봄 금융교실(180개 학급, 3,500명), 다문화가정 어린이 금융교실(30회, 700명) •(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교육’ * 지역아동센터를 활용한 토요 소비자교육(30회 이상) / 소비자교육 시범학교 운영 |
붙임3 |
| '13학년도 중앙부처 지원 박물관 등 토요프로그램 운영 계획('13.2.4 기준) |
•(국립중앙박물관) ‘주말 가족 체험’ * 청소년 대상 : 박물관에서 꿈을!(48회, 3,840명), 우리가족 박물관 나들이Ⅰ(50회, 3,000명), 우리가족 박물관 나들이Ⅱ(40회, 2,400명) * 어린이 대상 : 꼬마 과학자, 어린이박물관에 가다!(86회, 8,600명), 우리 가족이 그리는 어린이박물관 미션 지도(86회, 8,600명) •(국립중앙도서관) ‘토요도서관’ * 초등토요 독서교실(33회, 660명), 체험형 동화구연(658회, 5,922명), 토요 영어동화․영화프로그램(51회, 1,530명), 언니 오빠와 함께 읽는 영어 그림책(32회, 640명), 청소년 인문학 탐방(18회, 720명), 청소년 인문학 이야기(9회, 900명), 동화구연(100회, 3,000명) •(국립국악원) ‘가족국악강좌 및 문화탐방’ * 국립국악원 : 가족문화탐방(13회, 520명), 가족국악강좌(2회, 260명) * 민속국악원 : 토요판소리 여행(10회, 400명) * 남도국악원 : 주말문화체험(20회, 800명), 찾아가는 청소년 국악한마당(20회, 800명), 한국문화체험(7회, 250명) •(국립민속박물관) ‘민속·문화 체험’ * 청소년 대상 : 1318 박물관 멘토스쿨(12회, 300명), 박물관 추억행 타임머신(10회, 250명), 국립민속박물관 청소년 자문단(16회, 320명) * 어린이 대상 : 신나는 토요일(36회 1,620명), 세시풍속과 절기음식(5회, 200명), 夜~好! 문화공감(7회 1,400명), 별난 박물관 즐겨찾기(10회, 400명), 우리의 옛집을 찾아서(5회, 200명), 1박 2일(10회, 400명)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근현대사 아카데미’ * 주말가족프로그램(72회, 2,160명), 청소년 현대사아카데미(1회당 30명) •(국립현대미술관) ‘미술관 체험’ * 전시연계 초·중·고 대상 교육프로그램(100회, 25,000명), 미술관 직업탐방 교육(18회, 900명), 다문화가정 미술관 소풍(30회, 800명), 청소년도슨트 체험프로그램(30회, 80명), 어린이미술관 가족 교육프로그램(500회, 15,000명) •(외교통상부 외교사료관) * 어린이․청소년(중등) 외교관학교(360명), 청소년(고등) 외교관학교(240명), 외교관과의 대화(10회, 1,200명), 도슨트에게 배우는 한국외교사(매주 토요일에 4회 운영, 1회당 20명내외), 외교활동 성과 영상물 상영(매주 토요일에 4회 운영), 해외 대사관 건축물 사진전 등 특별전시회 개최
|
'교육정책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과부 사립유치원 감사 결과 (0) | 2013.03.15 |
---|---|
제3회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1급) 실시 (1) | 2013.03.13 |
2013년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0) | 2013.03.07 |
초·중·고 학생 교육비 지원 신청 1주일 연장 (0) | 2013.03.04 |
2012년도 학교건강검사 표본조사 결과 (0) | 2013.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