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청-7.25(수)조간-교원 업무 정상화 1차 만족도조사.hwp
서울시교육청(교육감 곽노현)의 교원업무정상화를 위한 노력이 구체화 되면서 현장교원들이 체감하는 만족도가 급속히 높아지고 있다. 교사가 학생을 가르치는 일에만 전념할 수 있는 분위기와 여건을 조성하여 수업혁신을 이룰 수 있는 기반을 잡아가는 것으로 보인다.
▢ 서울시교육청은 지난해 12월부터 시행 중인『교원업무정상화 추진계획』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지난 7월 5일부터 13일까지 일선 교사 22,49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그 결과 교사들의 교원업무정상화 추진에 대한 만족도가 68.7%에 이르는 비교적 높은 평가로 나타났다.
▢ 각 기관의 교원업무정상화 노력에 대한 만족도는 학교 71.0%, 지역교육청 65.5%, 본청 67.6%로 나타났다.
◦ 학교는 교무행정업무전담팀을 구성하여 교무행정지원사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위임전결 규정 정비를 통한 내부결재 간소화, 위원회 통‧폐합으로 불필요한 회의 개선, 장부 간소화, 행사의 축소 등 교사들이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의 교원업무정상화 추진 노력 | 백분율 환산 만족도(%) (M=71.0%) | |
1. 교육활동 중심의 합리적 교원 업무분장 |
| 68.9 |
2. 교무행정업무전담팀 구성․운영 |
| 71.5 |
3. 외부 공문 처리 절차 간소화 |
| 67.4 |
4. 별도 기안 및 결재 생략 |
| 70.7 |
5. 단위학교 행사 폐지 및 축소 |
| 69.7 |
6. 위임전결규정 정비를 통한 내부 결재 축소 |
| 74.0 |
7. 법정위원회 외 각종위원회 통․폐합 |
| 70.2 |
8. 법정장부 이외의 장부 간소화 |
| 71.1 |
9. 교무행정지원사의 효율적인 활용 |
| 74.6 |
10. 업무경감을 위한 학교 관리자의 의지 |
| 71.5 |
◦ 지역교육청은 공문서 질적 생산 및 보고공문 최소화 노력, 컨설팅단 운영, 연수와 홍보 등 업무정상화를 위한 교육청 단위의 변화에 대한 교사들의 체감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부단체의 협조 공문이나 관행적인 행사, 실적을 올리기 위한 사업 추진 등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지역교육청의 교원업무정상화 추진 노력 | 백분율 환산 만족도(%) (M=65.5%) | |
1. 지역교육청 전시․행사성 사업 폐지 및 축소 |
| 67.3 |
2. 지역교육청의 공문서 감축 노력 |
| 63.1 |
3. 연수․홍보․자료 보급 등 |
| 66.4 |
4. 교원업무정상화 지원 컨설팅단 운영 |
| 65.1 |
5. 지역교육청의 교원업무정상화 추진 노력 |
| 65.7 |
◦ 본청은 교무행정지원사 배치‧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지속적인 공문서 감축, 과감한 교육정책사업 폐지, 효율적인 컨설팅 운영 등에 대한 노력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본청의 교원업무정상화 추진 노력 | 백분율 환산 만족도(%) (M=67.6%) | |
1. 서울시교육청의 교육정책사업 폐지 |
| 67.3 |
2. 서울시교육청 공문서 감축 노력 |
| 63.2 |
3. 교무행정지원사 배치․지원 |
| 74.1 |
4. 교원업무정상화 지원 컨설팅 운영 |
| 65.8 |
5. 교무행정 관련 에듀파인 업무 개선 |
| 67.8 |
6. 교육정보통계시스템 운영 |
| 68.7 |
7. 서울시교육청의 교원업무정상화 추진 노력 |
| 66.6 |
▢ 주요 정책별로는 교무행정지원사 배치 지원, 내부결재 축소 등 단위학교의 행정업무 간소화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교육청의 공문서 감축 노력, 학교에서의 공문 처리 절차 간소화등 공문서 관련 만족도와 컨설팅 운영, 전시성‧행사성 사업 폐지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 또한, 학교급별 만족도는 초등학교 교사 만족도가 72.6%로 가장 높았고, 유치원‧특수학교(66.1%), 중학교(64.4%), 고등학교(56.8%) 순으로 나타났고, 학교규모별 만족도는 36학급 이상(70.18%), 30~35학급(68.09%), 24~29학급(67.43%), 17학급 이하(67.06%), 18학급~23학급(66.28%) 순으로, 학급수가 많은 학교일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대별 만족도는 60대(77.2%), 50대(69.8%), 20대(69.1%), 40대(68.1%), 30대(67.1)순으로 나타나 고경력(연령) 교사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향후, 서울시교육청은 제1차 만족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불만족 요인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정책에 적극 반영하여 선생님들이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수업과 생활지도의 혁신을 도모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교육 정책사업과 전시성‧행사성 사업을 과감하게 폐지하고, 공문서 감축과 공문서의 질적 생산을 추진하며, 복잡한 업무의 처리 절차 간소화와 단위 학교 자율화 확대 지원을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이다.
◦ 아울러, 교무행정업무전담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교무행정지원사 배치 학교를 확대하고, 교육보조사와의 명칭을 통합하며, 컨설팅과 우수사례 발표회, 모티터링 등을 통해 교원업무정상화 방안의 현장 안착을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다.
※ 붙임 : 교원 업무 정상화 방안 추진 1차 만족도조사 결과 보고서
[붙임]
조사기간 : 2012. 7. 5(목) ~ 7. 13(금)
조사대상 : 공립 유치원 및 공‧사립 초·중·고·특수학교 교사
조사인원 : 22,496명
조사방법 : 온라인 설문조사
설문문항 : 22개 문항
유·초‧중‧고·특수 교사 22,496명(전체 70,794명의 32.2%)
남부(1,655명, 7.36%), 북부(2,310명, 10.27%), 중부(1,176명, 5.23%), 강동(3,417명, 15.19%), 강서(2,206명, 9.81%), 강남(1,791명, 7.96%), 동작(1,208명, 5.37%), 성동(1,280명, 5.69%), 성북(1,384명, 6.15%), 고(4,598명, 20.44%), 특수(267명, 1.19%) 24∼29학급(4,100명, 18.23%), 30∼35학급(4,332명, 19.26%), 36학급 이상(10,314명, 45.85%) 50대(7,416명, 32,97%), 60대(445명, 1.98%) 영양교사(214명, 0.95%), 사서교사(64명, 0.28%) |
문항 | 5점척도평균 (M=3.43) | 백분율 환산 만족도(%) (M=68.7%) | |
1. 교육활동 중심의 합리적 교원 업무분장 | 3.45 |
| 68.9 |
2. 교무행정업무전담팀 구성․운영 | 3.57 |
| 71.5 |
3. 외부 공문 처리 절차 간소화 | 3.37 |
| 67.4 |
4. 별도 기안 및 결재 생략 | 3.54 |
| 70.7 |
5. 단위학교 행사 폐지 및 축소 | 3.48 |
| 69.7 |
6. 위임전결규정 정비를 통한 내부 결재 축소 | 3.70 |
| 74.0 |
7. 법정위원회 외 각종위원회 통․폐합 | 3.51 |
| 70.2 |
8. 법정장부 이외의 장부 간소화 | 3.56 |
| 71.1 |
9. 교무행정지원사의 효율적인 활용 | 3.73 |
| 74.6 |
10. 업무경감을 위한 학교 관리자의 의지 | 3.55 |
| 71.5 |
11. 지역교육청 전시․행사성 사업 폐지 및 축소 | 3.37 |
| 67.3 |
12. 지역교육청의 공문서 감축 노력 | 3.16 |
| 63.1 |
13. 연수․홍보․자료 보급 등 | 3.32 |
| 66.4 |
14. 교원업무정상화 지원 컨설팅단 운영 | 3.26 |
| 65.1 |
15. 지역교육청의 교원업무정상화 추진 노력 | 3.28 |
| 65.7 |
16. 서울시교육청의 교육정책사업 폐지 | 3.37 |
| 67.3 |
17. 서울시교육청 공문서 감축 노력 | 3.16 |
| 63.2 |
18. 교무행정지원사 배치․지원 | 3.71 |
| 74.1 |
19. 교원업무정상화 지원 컨설팅 운영 | 3.29 |
| 65.8 |
20. 교무행정 관련 에듀파인 업무 개선 | 3.39 |
| 67.8 |
21. 교육정보통계시스템 운영 | 3.44 |
| 68.7 |
22. 서울시교육청의 교원업무정상화 추진 노력 | 3.33 |
| 66.6 |
교원 업무 정상화 방안 추진에 대한 교육청(본청, 지역청)과 단위 학교에서의 노력에 대한 1차 만족도조사 결과, 종합만족도는 68.7%이며 소속 학교에 대한 만족도(71.0%)가 지역교육청(65.5%)과 본청(67.6%)의 만족도 보다 높게 나타남 |
평가 대상별 만족도 조사 결과
|
(소속 학교) 교원 업무 정상화 추진 만족도
교무행정지원사 배치‧활용과 교무행정업무전담팀 구성 등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외부 공문서 처리 절차 및 교원의 합리적인 업무분장에 대한 만족도가 낮음
만족도 상위 3개 문항
구 분 | 평균 | 교무행정지원사의 효율적 활용 | 위임전결 규정 정비를 통한 내부결재 축소 | 교무행정업무전담팀 구성‧운영 |
만족도 | 71.0% | 74.6% | 74.0% | 71.5% |
만족도 하위 3개 문항
구 분 | 평균 | 외부 공문 처리 절차 간소화 | 합리적인 교원 업무분장 | 단위 학교 행사 폐지 ‧축소 |
만족도 | 71.0% | 67.4% | 68.9% | 69.7% |
위임전결 규정 정비, 각종 위원회 통합, 장부 간소화 등 단위 학교에서 추진하고 있는 교무행정업무 간소화 노력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음
지역청별 만족도는 동작(73.8%), 강동(73.4%)의 만족도가 높고, 강남(68.8%), 강서(69.6%)의 만족도가 낮음
36학급 이상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의 소속 학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18~23학급 학교 소속 교사 만족도가 낮게 나타남
(지역교육청) 교원 업무 정상화 추진 만족도
지역교육청 교원 업무 정상화 추진 노력에 대한 만족도가 소속 학교 만족도 및 본청 만족도 보다 낮음
지역교육청 공문서 감축 노력(63.2%), 교원업무정상화 컨설팅단 운영(65.1%) 등의 만족도가 낮음
지역청별 만족도는 강동(68.7%), 동작(67.6%)의 만족도가 높고, 강남(63.7%), 중부(64.5%)의 만족도가 낮음
(본청) 교원 업무 정상화 추진 만족도
교무행정지원사 배치‧지원에 대한 만족도(74.1%)가 매우 높고, 교무행정지원사 배치에 따른, 교무행정업무 에듀파인 업무 개선(67.6%) 만족도도 양호함
공문서 감축노력(63.2%), 교원 업무 정상화 추진 컨설팅 운영(65.8%), 교육정책사업 폐지(67.3%)의 만족도는 떨어짐
지역청별 만족도는 강동(70.3%), 동작(70%)의 만족도가 높고, 중부(66.1%), 강남(66.5%)의 만족도가 낮음
교원 업무 정상화 방안 추진에 대한 교육청(본청, 지역청)과 단위 학교에서의 노력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 종합만족도는 68.7%이며, 변인별로는 강동교육지원청(71.4%), 초등학교(72.6%), 36학급 이상 학교(70.2%), 60대 연령(77.2%), 사서교사(69.5%), 전담팀 소속교사(70.1%)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남 |
(종합 만족도) 만족도 조사 종합 만족도는 68.7%로, 1차 모니터링 만족도(65.4%)와 2차 모니터링 만족도(62.5%)보다 높게 나타남
(주요 정책별 만족도)
교무행정지원사의 효율적 활용(74.6%), 교무행정지원사 배치‧지원(74.1%) 등 교무행정지원사 배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음
위임 전결 규정 정비를 통한 내부결재 축소(74.0%), 교무행정업무전담팀 구성‧운영(71.5%) 등 단위 학교에서의 업무경감 노력에 대한 만족도도 높음
지역교육청 공문서 감축 노력(63.1%), 본청의 공문서 감축 노력(63.2%), 외부공문 처리 절차 간소화(67.4%) 등 공문서 감축과 관련한 만족도가 낮음
(지역청별 만족도) 강동(71.35%), 동작(71.23%), 성동(70.07%), 북부(69.71%), 성북(69.63%), 서부(69.32%), 동부(68.95%), 남부(68.08%), 중부(67.87%), 강서(67.78%), 강남(66.89%), 본청(62.32%) 순으로 만족도가 나타남
본청은 소속 학교가 특목고, 특성화고, 특수학교로 구성되어 있는 바, 대부분의 학교에 교무행정지원사가 미배치되어 있고, 소속 학교의 특성과 여건상 만족도가 낮음
지역청별 만족도 조사 결과 |
|
(학교급별 만족도) 초등학교(72.64%), 유치원‧특수학교(66.1%), 중학교(64.44%), 고등학교(56.8%) 순으로, 모니터링 결과와 마찬가지로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의 만족도가 가장 높음
학교급별 만족도 조사 결과 |
|
(학급수별 만족도) 36학급 이상(70.18%), 30~35학급(68.09%), 24~29학급(67.43%), 17학급 이하(67.06%), 18학급~23학급(66.28%) 순으로, 학급수가 많은 학교일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학급수별 만족도 조사 결과 |
|
(연령대별 만족도) 60대(77.2%), 50대(69.8%), 20대(69.1%), 40대(68.1%), 30대(67.1)순으로 나타나 고경력(연령) 교사의 만족도가 높음
연령별 만족도 조사 결과 |
|
(교사 직렬별 만족도) 사서교사(69.5%), 특수교사(68.9%), 일반교사(68.7%), 영양교사(68.2%), 보건교사(67.6)순으로 사서교사의 만족도가 가장 높고, 보건교사의 만족도가 가장 낮으나, 직렬별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
교사구분별 만족도 조사 결과 |
|
(교무행정업무전담팀 여부) 전담팀 소속 교사 만족도(70.1%)가 일반교사 만족도(68.5%)보다 높음
교원행정업무전담팀 소속 여부별 만족도 조사 결과 |
|
|
전체 교사의 약 1/3인 22,496명이 만족도 조사에 응답한 것으로 보아, 교원 업무 정상화에 대한 학교 현장의 관심과 기대심이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음
교무행정지원사가 단순기안 및 에듀파인 등의 교무행정 업무 추진에 숙달되어, 단위학교에서 교무행정업무전담팀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교무행정지원사 배치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음
교육청과 직속기관, 지역교육청에서 학교로 발송되는 공문서는 전년도 대비 지속적으로 감축되고 있으나, 교육청 이외의 기관(지자체, 외부단체 등)의 공문과 연수‧행사 안내 공문이 더욱 늘어나기 때문에 만족도가 계속 낮음
교육청(본청, 지역청)에 대한 만족도보다 소속 학교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단위 학교에서 행정업무 경감을 위한 업무 구조 재구조화와 업무의 간소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단, 단위학교에서는 학교의 행사를 더욱 축소하고 민주적이고 합리적으로 교원의 업무를 분장해야 함
지역교육청에서는 교원업무정상화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로 공문서 감축과 효율적인 컨설팅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하며, 실적 위주의 행사성 사업을 과감히 폐지하여 나가야 함
본청에서는 만족도가 가장 높은 교무행정지원사의 안정적인 근무를 지원하고, 기존 배치된 교육보조사와의 협력과 합리적 업무분장을 이끌어내도록 해야 함. 또한, 공문서 감축과 컨설팅 운영에 노력에 노력해야 하고, 교육정책사업을 지속적으로 폐지해 나가야 함
교원 업무 정상화를 위한 적극적인 홍보, 효율적인 컨설팅 운영 정도에 따라 지역청별 만족도가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 특히, 본청은 소속 학교(특목고, 특성화고, 특수학교 등)의 특성과 교무행정지원사 미배치로 인하여 만족도가 가장 낮음. 향후 교무행정지원사의 확대 배치와 고등학교 대상으로 지속적인 컨설팅이 요구됨
교무행정업무전담팀 구성 비율에 따라 만족도 차이가 크므로, 중‧고등학교의 효율적인 교무행정업무전담팀 구성‧운영을 적극 지원해 나가야 함
학급수가 많은 학교의 만족도가 높은 것은, 학급수가 적은 소규모학교보다 교무행정업무를 담당할 30~40대 교사의 수가 많기 때문이라고 판단됨. 이는, 학교에서 행정업무전담팀, 보직교사 등 업무를 맡고 있는 30대~40대 교사의 만족도가 낮은 결과와 일맥상통함
과감한 교육정책 사업 폐지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정책 폐지 사업 발굴
지역교육청 전시성‧행사성 사업 폐지
공문서 감축 지속 추진
본청, 직속기관, 지역청 공문서 유통 현황 지속 점검
외부 요구 통계자료에 대한 교육정보통계시스템 확인 및 통계개발팀 사전 검토 의무화
단순 안내 및 공지 공문은 ‘통합게시판’ 활용
‘연수통합시스템’ 구축을 통한 연수관련 공문량 감축
업무 처리 절차의 간소화 추진
방과후학교, 수학여행 등 업무처리 지침 간소화 추진
에듀파인시스템 개선을 통한 예산 집행 절차의 간소화
단위 학교의 자율화 확대 지원
주요업무계획, 초·중등 장학계획 조기 수립 및 학교 안내
각종 위원회의 통폐합 및 정비
위임 전결 확대 및 법정장부 이외의 장부 간소화 지속 추진
단위학교의 업무 정상화 노력 정도를 ‘학교평가’에 반영
교무행정업무전담팀 운영 지원
교무행정전담팀 소속 교사 지원 방안 강구
학교 내 교육보조사ㆍ교무행정지원사의 통합 및 처우개선
‘교무행정사’로 명칭 통합 및 합리적 업무분장
근무일수 확대 및 수당 확대 등의 처우 개선
교무행정지원사 배치 학교 확대
교원 업무 정상화 지원을 위한 컨설팅단 운영 내실화
우수학교 및 부진학교 발굴
(하반기)부진학교 대상 맞춤형 컨설팅 실시
교원 업무 정상화 추진 실효성 확보 노력
교원 업무 정상화 방안 운영 자체 평가 실시
분기별 모니터링 실시(9월, 12월)
전체 교원 대상 온라인 2차 만족도 조사 실시(11월)
교원 업무 정상화 추진 학교자체 점검 실시(7월,12월)
교육정책연구과제 수행 : 7월~12월
본청 ‘주간 전략회의’에서 ‘교원 업무 정상화 방안’ 지속 협의
교원 업무 정상화 추진 홍보 강화
우수사례 발굴 및 우수사례 발표회 운영(본청‧지역청)
학교관리자 인식 제고를 위한 연수 실시
'서울교육정책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교육청, 교과부에 학교폭력 가해학생 생활기록부 기재 관련 국가인권위원회 권고 사항 수용 촉구 (0) | 2012.08.21 |
---|---|
2013학년도 서울과학고등학교(과학영재학교) 신입생 합격자 현황 (0) | 2012.07.30 |
서울시교육청 2012 정책감사 실시 결과 (0) | 2012.07.16 |
「서울특별시교육감 소속 학생인권옹호관 운영 조례안」 서울특별시의회에 재의 요청 (1) | 2012.07.16 |
서울시교육청 초등임용시험 지역가산점 축소(8점→3점) 정보화가산점 폐지 (3) | 2012.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