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엄민용 선생님이 너무 궁금해 하셔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제공하는 ADHD환자수(병원에서 치료 받은 사람) 데이터와 2021년 행안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서 제공하는 국민수를 가지고 통계를 만들어 봤습니다.
2021년 ADHD 병명을 가지고 병원에서 치료 받은 사람은 5~9세 인구 비율이 1.26%로 가장 높다. 5~19세 소아청소년기에 인구중 1.03%가 ADHD 병명을 가지고 병원에서 치료 받았다. 2016년 세계보건기구의 발표에 따르면 소아청소년 ADHD의 유병률인 5~7%이다. 4~6%의 소아청소년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
미국 CDC자료에 의하면 2016~2019년 3~17세 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6백만명(9.8%)의 발병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자료출처:https://www.cdc.gov/ncbddd/adhd/data.html)
이 자료 만들고 보니 연도별 치료환자 비율이 궁금해 지네요. 주말에 만들어 봐야 겠네요. 세계보건기구 통계도 제대로 뒤져 보게 쉽네요. 할일이 많네요.
엄민용샘 점점 일이 커지고 있어요. 어제 허리다쳐서 허리가 아픈데. 수영을 너무 무리하게 했나?
![](https://blog.kakaocdn.net/dn/bbhu6A/btrMRrp04As/uke58VrGMjnGMKjdd2Ya0k/img.jpg)
728x90
'홍인기교육정책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주호 교육부 장관의 의미] (0) | 2022.09.26 |
---|---|
[연도별 소아청소년 ADHD 환자 비율(2017~2021)] (0) | 2022.09.23 |
[청소년 질병 3 - 우울증(5~19세) 현황] (1) | 2022.09.20 |
[청소년 질병 2 - 분노조절장애(5~19세) 현황] (0) | 2022.09.20 |
[청소년 질병 1 - ADHD 환자(5~14세) 현황] (0) | 2022.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