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정책자료

2014 다문화교육 활성화 계획

by 조은아빠9 2014. 3. 18.
728x90


03-17(월)조간보도자료(14년_다문화교육_활성화_계획).hwp

교육부(장관 서남수)는 다문화학생이 처음으로 7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는 올해 다문화 관련 교육지원을 위해 전년보다 약 60억원 증액215억원의 예산*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13155.4억원에 비해 59.6억원(38%) 증액

 

종전 까지는 교육복지 차원의 수혜적 관점에서 다문화학생에 대한 교육지원에 중심을 두었으나,

 

올해부터는 통합·육성관점에서 다문화학생 지원뿐만 아니라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교육 사업도 지원한다.

 

다문화학생의 입학 및 적응촉진을 위해 26억원을 지원한다.

 

중도입국학생 등에게 한국어와 한국문화 적응 프로그램을 집중 제공하는 예비학교*를 종전 52교에서 80로 확대한다.

* 예비학교 : 한국어가 서툰 중도입국 자녀 등이 정규학교에서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한국어와 한국문화 적응 프로그램을 집중적으로 제공하는 기관

 

학력서류 구비가 어려운 중도입국 학생에 대해 원활한 학력심의가 이루어지도록 7개 언어의 학력심의 평가지를 개발·보급한다.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교육 활성화를 위해 24억원을 지원한다.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이 다름을 존중하고 어울려 살며 자신의 꿈과 끼를 함께 키워가는 학교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이해교육, 반편견 반차별 교육, 세계시민교육을 하는 다문화교육 중점학교* 120를 지정·운영한다.

* 다문화교육 중점학교 : 다문화 학생과 일반학생이 다름을 존중하고 어울려 살 수 있도록 학교교육과정 등을 통해 문화이해교육, 반편견 반차별 교육, 세계시민교육 등을 실시

 

또한, 일반 학교에서 일상적인 교과수업시 바로 활용 가능한 교과연계 다문화교육 자료를 학교급별로 개발·보급한다.

* 보급계획 : (‘14) 초등학교 (’15) ·고등학교

 

아울러, 다문화학생에 대한 한국어 습득 지원을 위해 정규 수업시간, 방과후학교 등을 통해 KSL*운영하는 학교100개교로 확대한다.

* KSL : Korean as a Second Language(2언어로서의 한국어)

 

다문화학생의 소질·재능 개발 육성을 위해 151억원을 지원한다.

 

우선, 대학생 멘토링 사업* 예산(135억원)과 수혜 학생수(‘134,837’146,000명 이상)확대하여, 다문화학생의 기초학력 증진 등을 지원한다.

* 대학생 멘토링 사업 : 근로 장학금을 받는 대학생이 초고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공공시설 등을 이용, 무료로 기초학습진로지도를 실시

 

수학·과학, 예체능 등에 우수한 자질이 있는 다문화 학생을 발굴하여 전문 교육을 실시하는 글로벌 브릿지 사업* 운영 대학도 기존 7개 대학에서 10 대학으로 확대한다.13년 글로벌 브릿지 현황 및 사례 붙임2 참조

* 글로벌 브릿지 사업 : 수학·과학, 예체능 등에 우수한 자질이 있는 다문화 학생을 글로벌 리더로 육성하는 프로그램

 

다문화학생이 희망하는 경우 주말이나 방학 등을 이용하여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직업교육 지원기관’*을 종전 3개 기관에서 10 기관으로 확대한다.

* (’13) 부산정보관광고(요리), 경기신흥대(미용요리자동차정비), 서울다솜학교

 

또한, 학생들의 이중언어 재능 육성*을 위해 이중언어교육과, 다문화학생 대상 전국 이중언어 말하기 대회를 개최한다.

 

- 이중언어교육은 다문화학생의 낙인감 해소를 위해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이 함께 참여하도록 하고, ·도 수요에 따른 다문화언어강사의 양성·연수(양성 60, 연수 460)를 지원한다.

 

이밖에도 다문화 교육에 대한 교원인식 및 역량 제고, 다문화교육 지원 및 협력 체제 구축 등을 위해 14억원을 지원한다.

 

교육부는 다문화학생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올해에 전체 학생수 대비 1%를 상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 따라, 다문화사회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다문화학생 꿈과 끼발현하기 위한 사업 발굴과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교육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시도교육청과 긴밀한 협조를 통해 다문화교육이 학교 현장에서 확산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교육부 학생복지정책과 문진철 연구관, 황선국주무관(044-203-6522,6524)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고1

 

다문화학생 현황(’13년 기준)

 

다문화학생 증가 추이(최근 5년간)

전체학생은 매년 20만명씩 감소하나, 다문화학생은 6천명이상씩 증가

연도

인원수

2009

2010

2011

2012

2013

다문화 학생 수(A)

26,015

31,788

38,678

46,954

55,780

전체 학생 수(B)

7,447,159

7,236,248

6,986,853

6,732,071

6,529,196

다문화학생 비율(A/B*100)

0.35%

0.44%

0.55%

0.70%

0.86%

 

'12'13. 다문화학생 수 현황(학교급별)

구분

2012년도

2013년도

한국출생

29,303

8,196

2,541

40,040

32,831

9,174

3,809

45,814

중도입국

2,676

986

626

4,288

3,065

1,144

713

4,922

외국인자녀

1,813

465

348

2,626

3,534

976

534

5,044

33,792

9,647

3,515

46,954

39,430

11,294

5,056

55,780

(비율)

(74.1%)

(19.7%)

(6.2%)

 

(70.7%)

(20.3%)

(9.0%)

 

'12'13.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취학률

구분

안행부(A)

교육부(B)

재학률(B/A*100)

연령

외국인한국인가정 자녀

학교급

국제결혼가정 자녀

‘12

37,412

31,979

85.5%

13,096

9,182

70.1%

5,521

3,167

57.4%

56,029

 

44,328

79.1%

‘13

38,589

35,896

93.0%

13,641

10,318

75.6%

5,894

4,522

76.7%

58,124

 

50,736

87.3%

안행부(매년 1.1 기준), 교육부(매년 4.1 기준)

참고2

 

‘14년 다문화교육 지원 예산 현황

 

예산액(백만원)

합 계

21,500

국 고

13,500

특 교

8,000

1. 학교 전·편입 및 적응 촉진

2.640

1

편입학 시스템 정착 지원

300

 

1

- 학력심의위원회 설치운영

100

2

- 학교안내자료 제작보급

100

3

- 다문화 전담 직원 역량 강화

100

2

예비학교 운영

2,340

 

1

- 예비학교 운영 지원

2,240

 

2

- 예비학교 컨설팅연수

100

2.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 교육 활성화

2.420

1

다문화교육 중점학교 운영

1,300

 

1

- 중점학교 운영 지원

1,200

 

2

- 컨설팅연수

100

2

한국어(KSL) 교육지원

170

 

1

- KSL 교재진단도구 보급

130

2

- KSL 교육과정 운영 역량제고

40

3

다문화교육 기반 확대

950

 

1

- 연구학교 운영비 지원

360

2

- 연구학교 컨설팅성과보고회

64

3

- 다문화 가정 학부모 교육참여 지원

356

4

- 교과연계 다문화교육 지도자료 개발

100

5

- 다문화교육 포럼 및 우수사례 공모전

70

3. 다문화 학생 소질재능 개발 지원

15,070

1

이중언어 재능 육성

460

 

1

- 이중언어말하기 대회 지원

50

2

- 다문화 언어 강사 양성연수 등

410

2

진로진학 지도 강화

940

 

1

- 글로벌 브릿지 사업 확대

640

 

2

- 다문화학생 직업교육 지원

300

3

대학생 멘토링 효과 제고

13,670

 

1

- 멘토링 활동비 지원

13,500

 

2

- 멘토링 효과 제고

170

4. 다문화 교육 지원체계 구축

1,370

1

교원인식 및 역량 제고

510

 

1

- 교원 연수 지원

510

2

다문화교육센터 역할 강화

860

 

1

- 중앙다문화교육센터 지원

160

2

- 중앙-지역 다문화교육센터 연계 사업

700

국고는 대학생 멘토링 활동비 지원(13,500백만원)이며, 그 외 사업은 특교임

참고3

 

글로벌 브릿지 사업 현황 및 사례(’13)

운영대학

교육분야

참가자수(‘13)

성공·우수사례

선문대학교

글로벌 리더십

42

· MBC 장학생으로 선정되어 베트남 호치민 국립대학에서 2년간 베트남어 수학 예정

· 언론보도, 방송 등 활발한 대외 홍보활동(130여회)을 통해 다문화교육 인식 개선

대구대학교

수학·과학

53

· 여름캠프 참여 학생 중 경북대표로 청소년 과학탐구발표 대회 참가

· 정규 영재교육원 입학(울산과학관 천문영재과정, 대구대 정보영재교육원)

한양대학교 (안산)

언어

45

· 문화체육관광부 주체 <전국 국어대회 황금사전 선발 대회> 지역 예선 입상

· 학생들의 글과 작품을 문집으로 엮어 학생들에게 배포하여 자긍심 고취

서울교육 대학교

수학·과학

37

· 다문화교육연구원 및 과학영재교육원과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

· 현직교사들이 멘토에 참여하여 멘토링의 질적 수준 제고

한국교원 대학교

수학·과학

48

· 충청남도 서산교육지원청 주최 <2013학년도 제25회 충남 수학과학경시대회 서산예선대회> 동상 입상

· Steam 프로그램 및 독서 프로그램통해 수학, 과학과 접목하여 포괄적인 학습능력 향상

전북대학교

수학·과학

52

· 중간 언어(Inter-Language)를 통한 학생의 과학학습 동기 향상

· 전남 학다리중앙초등학교를 분원으로 지정하여 권역내 학생의 교육접근성 및 안전성 확보

용인대학교

·체능

57

· 국무총리배 생활체육 태권도 대회 참가 중·고등부 시범단체 금메달 획득

· 재능 기부를 통해 태권도 수업 종료 거주지 동문 도장에서 수련 지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