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정책자료

2014년도 기초학력 지원 사업 계획

by 조은아빠9 2014. 2. 20.
728x90


석간보도자료(기초학력_향상_지원_계획).hwp

교육부(장관 서남수)는 학습부진 학생들의 꿈과 끼를 살려 모두가 행복한 학교 실현을 위한 2014년도 기초학력 지원 사업 계획 발표하였다.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기초학력 부진 학생 중 학교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정서행동 상 도움이 필요한 학생을 교육(지원)청차원에서 찾아가 지원하는 학습종합클리닉센터*” 운영경비로 91억여 원 지원할 계획이며,

<학습종합클리닉센터 주요기능>

- 학습종합클리닉센터에서는 학교에서 의뢰한 기초학력 부진학생에 대하여 정서심리검사 등을 통해 정확한 부진원인을 진단하고, 코칭과 심리상담을 실시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의원 치료 서비스제공함으로써 자존감 회복과 함께 학습동기를 강화하게 된다.

* 학습종합클리닉센터 : 129개소, ’12년도 시범구축 이후 34,875명 지원(’12년도7,503,’13년도 27,372)

또한, 온라인을 이용 교사가 학생의 학습부진 여부 진단과 보정자료 제공 및 학습이력 관리까지 통합하여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기초학력 진단-보정시스템운영*11억여 원을 지원하며,

<기초학력 진단-보정시스템 평가체계>

- 학교에서는 교과진단 평가결과 기초학력이 미달된 학생(4~3)에 대해 매 학기 초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을 활용 5과목(, , , , )을 평가한 후 틀린 영역에 대해 보정학습 자료를 제공하고, 11월 중 최종 평가를 통해 기초학력 향상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유형 : A(이전 학년), B(이전 학년 2학기현 학년 1학기), C(현 학년)

* 시스템 구축이 완료된 5개 시범 교육청 운영결과 초중학교의 69%(2,054), 학생의 6.2%(96,665) 활용

또한, 단위학교 차원에서 학습부진학생을 지원하기 위하여 600교를 두드림(Do-dream)학교로 지정(도별 공모)하고, 그 운영 경비로 96억여 원을 지원하며,

- 지정된 학교는 교감, 담임, 특수교사, 상담교사, 보조교사 등을 활용 다중지원팀을 조직한 후, 학습부진 학생의 원인진단과 학습코칭, 외부치료 맞춤형 지원을 통하여 학습부진 학생의 기초학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외국 사례

* 핀란드 : 특별지원교사, 보건교사, 사회복지사, 아동심리학자, 교장, 교감 등으로 구성된 다분야 지원팀을 구성하여 경도의 발달장애나 학습부진, 필란드어가 원활하지 않은 아동 등에 대해 학습 지원

* 일 본 : 지적장애, 학업부진, ADHA 등 특별한 교육적 요구를 지닌 학생에게 전문성을 지닌 학교 내외의 관계자가 연합하여 지원

교육부는 시도교육청의 기초학력 향상 정책 추진상황 점검과 설팅을 통하여 학습부진 학생에 대한 지원이 교육 현장에 착근 될 수 있도록 지원 할 계획이며,

이번에 마련한 기초학력 향상 정책과 시도교육청의 다양한 초학력 지원 사업을 통하여 모든 학생이 꿈과 끼를 마음껏 살릴 있는 행복교육이 실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교육부는 그동안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2009년부터 기초학력 제고를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여 왔으며,

2012년부터는 5개 교육청을 시범교육청으로 지정하고, “학습종합클리닉센터”, “기초학력 진단-보정시스템등 우수한 사업모델을 발굴하였으며, 지난해에는 전체 교육청에 확대한 바 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교육부 교육정보분석과 김동안 사무관(044-203-6263), 최경자 주무관(044-203-6358)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1

 

학습종합클리닉센터 운영

 

학습종합클리닉센터 개요

(의의) 기초학력미달 학생 중 학교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정서행동상 도움이 필요한 생을 지원하기 위한 학교 밖 지원 기관(교육청, 교육지원청 설치)

(개요) 교수학습, 심리상담, 특수교육, 학습치료, 사회복지 등 전문가로 구성된 지원팀을 구성, 찾아가는 맞춤형 서비스 제공

(기능) 정서심리 검사 시행 및 활용 지원, 심층 상담, 학습 코칭, ·의원 등 지역기관 연계 등

 

추진경과

’125개 시범교육청 32개소 설치·운영(’12.4~, 7,503명 이용)

’13년 전체 교육청으로 확대 운영(129개소, 27,372명 이용)

 

2014년 사업내용

(운영 활성화) 도교육청별 여건에 따라 다양한 모형의 학습종합클리닉센터 운영의 정착과 내실화 도모

(유관사업 및 기관 연계강화) Wee 센터, 교육복지 사업 및 지역유관 기관과의 협업 확대

(사업비) 9,078백만원

 

 

참고 2

 

기초학력 진단-보정시스템 운영

 

시스템 개요

(도입목적) 기존 기초학력미달 학생에 대한 지도를 지도교사 개인의 경험 역량에 의존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과학적이고 표준화된 온라인 교수-학습 시스템을 통하여 교사의 업무경감과 기초학력미달 학생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

(개요) 학습부진 원인 진단부터 보정관리까지 통합(One-Stop) 지원

(학습수준 진단도구)

교과목 :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4~3)

유형 : A(이전 학년), B(이전 학년 2학기현 학년 1학기), C(현 학년)

(진단-보정체계)

추진경과

’125개 교육청*에 온라인 시스템 시범 구축

* 서울, 대전, 대구, 경남, 전남

’13년 전체 시·도교육청에 확대 구축

2014년 사업내용

(문항개발 및 유지관리) 교육과정개편에 따른 평가문항 및 보정자료 개발과 시스템 유지관리

- 평가문항 및 보정자료 개발(검사지 142, 문항 3,810, 보정자료 68)

(사업비) 1,072백만원

참고 3

 

두드림학교 운영 계획

 

사업개요

(목적) 정서행동장애 등 복합적 요인*으로 어려움을 겪는 학습 부진학생을 지원하기 위한 단위학교내 통합적 지원 토대 마련

* 복합적 요인 : 학습부진, 학습장애, 정서행동장애, 돌봄 결여 등

(지원대상) 학습 부진 학생이 많은 학교나 학습부진 학생 비율이 높은 (70%)중학교(30%) 중 공모를 통하여 시도교육청에서 선정

(지원내용) 학습부진 원인진단, 학부모 상담교육, 학습상담, 습코칭, 외부치료, 돌봄 연계 등 맞춤형 지원

(운영방법)

- 학습부진학생 지원을 위한 다중지원팀* 구성

* 다중지원팀 : 교감, 담임, 학습보조·특수·상담·사서·보건·돌봄·영양교사 등

- 대상학생에게 심층진단을 거쳐 학습부진 원인을 파악하고, 학교내 인적물적자원을 활용하여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지원

- 단위학교내 여러 교육사업과의 연계**를 통한 효율적인 지원체제 구축

** 학교 내 다양한 교육복지사업 예산과 프로그램 등을 활용하여 학생 지원 효율화와 시너지 창출(: Wee센터, 방과후학교, 돌봄, 농산어촌, 다문화, 탈북, 학교폭력, 교복우, 학생건강지원 )

 

2014년도 사업내용

(사업비) 9,600백만원(60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