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1996

[대선 주요 일정. 6/3일 시나리오] 6월 3일로 예정된 대선의 주요 일정입니다:1. 탄핵 상황- 4월 4일: 대통령 탄핵 인용 결정 및 파면- 4월 4일: 국무총리의 대통령 권한대행 업무 시작2. 각 정당 후보 선출 일정- 4월 10일~5월 초: 각 정당 경선 준비 및 후보자 등록- 4월 15일~5월 3일: 주요 정당 전국 순회 경선 진행- 5월 4일~5일: 각 정당 대선 후보 최종 선출 완료3. 선거운동 주요 일정- 5월 13일: 대선 후보자 등록 시작- 5월 14일: 공식 선거운동 시작- 5월 18일: 제1차 대선 후보 TV 토론회- 5월 23일: 제2차 대선 후보 TV 토론회- 5월 28일: 제3차 대선 후보 TV 토론회- 6월 2일: 선거운동 공식 마감4. 투표 및 개표 일정- 5월 29일~30일: 재외국민 투표- 5월 31일~6월.. 2025. 4. 7.
청년의 삶 실태조사 내 고립·은둔 청년 관련 데이터 고립·은둔 청년 비율:거의 집에만 있는 고립·은둔 청년 비율은 5.2% (임신·출산·장애 등 1.3% 제외)집 밖으로 나오지 않는 청년은 0.9%활동 패턴:취미만을 위해 외출하는 비율: 2.5%인근 편의점 등에 외출하는 비율: 3.1%방에서만 나오는 비율: 0.5%방도 거의 안 나오는 비율: 0.4%고립·은둔 이유:취업이 잘되지 않아서: 32.8% (가장 큰 이유)인간관계 어려움: 11.1%학업중단: 9.7%진학실패: 2.4%기타: 43.9%2022년과 비교:2022년 고립·은둔 청년 비율: 2.4% (임신·출산·장애 등 0.4% 제외)2024년 고립·은둔 청년 비율: 5.2% (임신·출산·장애 등 1.3% 제외)약 2.8%p 증가활동 패턴 비교(2022년 vs 2024년):매일 외출: 70.7% → 6.. 2025. 4. 6.
2024년 청년의 삶 실태조사 결과 2024년 청년의 삶 실태조사 결과를 대시보드 https://claude.site/artifacts/c26cdb7c-05de-4c23-93e8-2fc8ae8104de일반현황: 청년의 혼인상태 (미혼 81.0%, 기혼 19.0%)경제 현황: 청년 개인의 평균 소득(2,625만원), 평균 부채(1,637만원), 평균 재산(5,012만원)노동: 취업자 비율(67.7%)과 미취업자 비율(32.3%)주거: 부모 동거(54.4%)와 독립생활(45.6%) 비율교육: 고졸 이하(17.4%)와 대학생(졸업포함) 이상(82.6%) 비율건강: 우울증상 유병률(8.8%), 자살생각 경험(2.9%), 번아웃 경험(32.2%)결혼·출산 계획: 결혼계획(63.1%), 출산의향(59.3%)필요한 정책: 주거 정책(45.7%), 일자.. 2025. 4. 6.
정부 고립·은둔 청년 지원 정책의 한계점 1. 온라인 중심 발굴체계의 한계접근성 문제: 심각한 은둔 상태에 있는 청년들은 온라인 자가진단 시스템이나 129 콜센터를 통한 도움 요청 자체를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자가인식 부재: 자신의 상태를 문제로 인식하지 못하는 청년들은 자발적 참여가 어렵습니다.2. 시범사업의 지역적 제한성4개 시·도 한정: 2024년 시범사업이 4개 광역시·도에만 국한되어 있어 다른 지역 청년들은 체계적 지원을 받기 어렵습니다.농촌/지방 소외: 도시 중심 정책 운영으로 농촌이나 원격지 거주 청년들에 대한 접근 방안이 부족합니다.3. 예방 정책의 실효성 문제사후 대응 중심: 이미 고립·은둔 상태에 진입한 청년 지원에 중점을 두고 있어 진정한 예방 효과가 제한적입니다.학교-사회 연계 부족: 학교에서 사회로 이행하는 과정에.. 2025. 4. 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