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2년 10월 1일 교육부가 조사한 학교현황에 의하면 전교생 30명이하인 초등학교중 100년이 넘은 학교는 74개교이다. 전교생이 30명 이하인 학교는 5년이내에 사라질 가능성이 높은 소멸위기 학교이다. 교육부의 폐교대상 학교 기준은 전교생 60이하였다.
전교생이 30명 이하인 학교 중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는 충북 옥천군의 청산초등학교이다. 1905년 4월 1일 청산사립신명학교 개교해서 1912년 4월 1일 청산공립보통학교로 인가 개교했다. 2022년 1월 10일 제 107회 동안 총 졸업생 9,875명을 배출한 학교이다. 2022년 10월 1일 현재 2학년은 없고 5개학년 전교생 30명인 학교이다. 근처에 청산 향교가 있다. 1581년(선조 14)에 세워진 향교이다. 얼마나 교육적인 역사와 전통이 있는 학교인지 알 수 있다. 신문물을 받아들이기 위해 사립학교로 시작했을 것이다.
두번째로 오래된 학교는 순흥초등학교 이다. 1906 사립 흥주소학교로 개교하여 1911년에 순흥공립보통학교로 다시 개교하였다.(자료출처: 순흥초등학교 홈페이지) 학교홈페이지에는 사립흥주소학교의 역사가 있지만 교육부에 보고된 교육통계 자료에는 사립흥주소학교의 역사가 빠져 있다. 최초의 사액서원인 소수서원이 있는 영주시 순흥면 소재지에 있는 학교로 지방의 유림들이 자녀들의 신식교육을 위해 세운것으로 추정된다. 소수서원의 '소'와 순흥의 '흥'을 딴 '소흥학교'라고 불렸다고 경상북도교육청 공식블러그에 나와 있기도 하다. 소수서원이 1541년(중종36)에 만들어진걸 생각하면 학교의 전통은 560년이나 이어진다.
세번째로 오래된 소멸 위기 학교는 경남 하동에 있는 양보초등학교이다. 1907년 4월 12일에 사립 일신초등학교로 개교한 학교이다. 아마 지역의 어른들이 자녀 교육을 위해 학교를 세웠을 것이다. 1920년 양보공립보통학교로 국가소유의 학교로 이어졌다. 학생수가 많아 1969년 운암초등학교로 분리되었다가 1999년에 다시 통합된다. 2021년 1월 8일까지 101회의 졸업식을 가졌으며 졸업자수는 9840명이다.
74개 학교는 지역의 대들보 같은 학교들이다. 옛 시조처럼 "간밤에 부던 바람에 눈서리 차단말간/ 낙락장송이 다 기울어 가노메라/ 하물며 못다핀 꽃 이야 닐러 무삼하리요." 인구절벽의 바람에 지역의 낙락장송들이 쓰러져 간다.
728x90
'학생수감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개혁 10대 핵심 정책] (0) | 2023.01.30 |
---|---|
[국가교육위원회 학생수 감소 관련 특위나 전문위가 없다.] (0) | 2023.01.27 |
[타노스는 틀렸다] (0) | 2023.01.11 |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눈물 시대] (0) | 2023.01.07 |
[10월 인구동향] (0) | 2022.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