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요약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교장은 단위학교 개선과 변화의 열쇠를 쥐고 있는 핵심 인사로,능력
과 자질을 갖춘 교장을 확보하기 위한 교장인사제도의 중요성은 아무
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음.교장공모제는 승진 위주의 교직 문화를
개선하고,유능한 인재를 교장으로 유인하기 위한 교장 임용 다양화
정책의 일환으로 2007년부터 시행된 이래,2012년 5월 현재 전국 1,822
개교에 공모 교장이 임용되어 있음.
¡ 그 동안 교장공모제는 공모 교장이 교육수요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
고,학교 변화를 유도하는 긍정적 성과를 거양했다는 평가와 더불어,
공모 경쟁률의 하락 등으로 인한 선발의 공정성 및 실효성에 대한 문
제 제기,공모 교장 비율의 경직성으로 인한 교장 인사제도 전반에 미
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 등 부정적 평가도 공존하고 있음.
¡ 이에,교장공모제가 목적에 맞게 운영됨으로써 유능한 교장의 영입을
통한 학교교육력 제고에 기여하는 제도로 자리매김하고 있는지 그 간
의 운영 공과를 새롭게 분석할 필요가 있음.
¡ 이 연구의 목적은 교장공모제 운영 현황을 중심으로 긍정적 효과와 문제
점을 균형잡힌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교장공모제가 도입 목
적에 부합하는 제도로 발전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음.
❏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이 연구의 내용은 크게 공모교장제 운영 실태 분석과 개선방안 탐색으
로 구분됨.
¡ 교장공모제 운영 실태 및 문제점은 시도별 시행계획 및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교장공모제 추진경과,실시현황,시행상의 문제점,핵심쟁점
등을 분석·제시함.- ii -
¡ 교장공모제 개선방안은 핵심 쟁점을 중심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설문
조사 방법을 토대로 탐색하였으며,공모제 실시학교 비율 및 지정방식,
내부형 공모교장의 비율 및 지원자격,공모교장 심사위원회의 구성 및
심사절차,공모교장의 권한과 임기,공모교장 임기만료 후의 ls사 등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함.
❏ 연구 방법
¡ 이 연구는 교육정책의 현실 및 변화와 맥
'교육정책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교육재정 대토론회 6월 국회 (0) | 2014.09.26 |
---|---|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총론 주요사항 발표 (0) | 2014.09.25 |
2014년 시․도교육청 평가결과 (0) | 2014.09.10 |
2014년 교육기본통계 (0) | 2014.09.10 |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기본계획 (0) | 2014.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