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년 한국의 IMD 교육경쟁력 순위 및 추이
○ 한국의 IMD 교육 경쟁력 순위는 2009년에는 36위, 2010년 35위로 반등세를 보이다 2011년 29위로 약진을 기록하였으나 2012년 다시 31위로 하락하였으며, 2013년에는 전년 하락 대비 높은 상승을 보여 25위를 기록함. 국가경쟁력은 2009년 27위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여 왔으며, 2013년에는 22위로 2011년부터 3년간 동일한 순위임.
○ 2009년부터 5년간 추이를 살펴보면, 지난 5년간 2번 1위를 하였던 덴마크는 2위를 기록하였고, 2009년 3위를 기록하였던 스웨덴이 4년 만에 1위를 차지하여 교육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가의 노력이 보임. 또한 상위 5위권에서는 여전히 북유럽 국가의 교육경쟁력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아시아 지역 국가로는 싱가포르가 4위로 유일하게 10위권 안에 포함되어 있으며, 한국은 21위인 대만에 이어 25위로 아시아 국가 기준 3번째 순위를 기록함. 그 뒤를 홍콩과 일본이 각각 26위와 28위로 맹추격 하고 있음. 30위권 안에 든 아시아 국가는 총 5개국임.
국가명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국가명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스웨덴 | 3 | 5 | 4 | 4 | 1 | 체코 | 25 | 26 | 32 | 32 | 31 |
덴마크 | 1 | 3 | 1 | 2 | 2 | 우크라이나 | 38 | 31 | 33 | 34 | 32 |
핀란드 | 2 | 2 | 3 | 1 | 3 | 헝가리 | 24 | 28 | 27 | 28 | 33 |
싱가포르 | 13 | 13 | 10 | 6 | 4 | 말레이시아 | 30 | 33 | 35 | 33 | 34 |
캐나다 | 8 | 7 | 7 | 7 | 5 | 라트비아 | - | - | - | - | 35 |
아이슬란드 | - | 1 | 2 | 5 | 6 | 스페인 | 32 | 36 | 36 | 35 | 36 |
벨기에 | 7 | 6 | 5 | 8 | 7 | 이탈리아 | 33 | 34 | 30 | 29 | 37 |
스위스 | 4 | 4 | 6 | 3 | 8 | 슬로바키아 | 41 | 41 | 37 | 37 | 38 |
노르웨이 | 6 | 11 | 9 | 9 | 9 | 러시아 | 34 | 37 | 38 | 38 | 39 |
호주 | 5 | 9 | 8 | 10 | 10 | 카타르 | 37 | 39 | 40 | 42 | 40 |
이스라엘 | 9 | 14 | 13 | 13 | 11 | 아랍에미리트 | - | - | 44 | 43 | 41 |
뉴질랜드 | 10 | 8 | 12 | 12 | 12 | 카자흐스탄 | 43 | 40 | 41 | 40 | 42 |
아일랜드 | 14 | 16 | 15 | 16 | 13 | 크로아티아 | 39 | 38 | 39 | 39 | 43 |
네덜란드 | 12 | 12 | 11 | 11 | 14 | 요르단 | 35 | 45 | 46 | 41 | 44 |
프랑스 | 16 | 15 | 22 | 19 | 15 | 중국 | 49 | 46 | 43 | 45 | 45 |
영국 | 15 | 19 | 17 | 15 | 16 | 아르헨티나 | 40 | 42 | 45 | 44 | 46 |
오스트리아 | 11 | 10 | 14 | 14 | 17 | 루마니아 | 44 | 43 | 42 | 46 | 47 |
미국 | 19 | 21 | 18 | 23 | 18 | 불가리아 | 42 | 44 | 48 | 48 | 48 |
룩셈부르크 | 17 | 17 | 19 | 18 | 19 | 칠레 | 46 | 48 | 47 | 47 | 49 |
리투아니아 | 21 | 22 | 23 | 22 | 20 | 베네수엘라 | 50 | 50 | 49 | 49 | 50 |
대만 | 27 | 23 | 25 | 24 | 21 | 태국 | 47 | 47 | 51 | 52 | 51 |
독일 | 18 | 20 | 16 | 17 | 22 | 인도네시아 | 55 | 55 | 53 | 53 | 52 |
폴란드 | 28 | 24 | 24 | 25 | 23 | 터키 | 52 | 54 | 52 | 51 | 53 |
에스토니아 | 22 | 18 | 20 | 20 | 24 | 남아프리카공화국 | 53 | 49 | 50 | 50 | 54 |
한국 | 36 | 35 | 29 | 31 | 25 | 페루 | 45 | 51 | 55 | 55 | 55 |
홍콩 | 29 | 30 | 28 | 27 | 26 | 브라질 | 51 | 53 | 56 | 54 | 56 |
포르투갈 | 20 | 27 | 21 | 21 | 27 | 멕시코 | 48 | 52 | 54 | 56 | 57 |
일본 | 26 | 29 | 34 | 36 | 28 | 콜롬비아 | 56 | 57 | 58 | 59 | 58 |
그리스 | 31 | 32 | 31 | 30 | 29 | 필리핀 | 54 | 56 | 57 | 57 | 59 |
슬로베니아 | 23 | 25 | 26 | 26 | 30 | 인도 | 57 | 58 | 59 | 58 | 60 |
출처 : IMD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각 년도). |
○ 교육경쟁력 세부지표별 순위 변화를 살펴보면, 가장 순위가 높은 지표는 25~34세 인구의 고등교육 이수율로 4년 연속 2위를 차지하고 있음. 학업성취도 지표 또한 지난 5년간 5위권 안에 속해 있으며, 중등학교 취학률도 10위를 기록하고 있음.
○ 하지만 초·중등학교 교사 1인당 학생 수, 영어숙달도, 대학교육, 경영교육지표는 지난 5년간 40위권 내외에 그쳐 이에 대한 경쟁력을 높일 필요가 있음.
교육경쟁력 세부지표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
교육 분야 우리나라 순위 / 참가국 수 | 36/57 | 35/58 | 29/59 | 31/59 | 25/60 | ||
정
량 | 1. GDP 대비 교육관련 공공지출(%) | 36(4.2) | 36(4.2) | 33(4.6) | 31(4.6) | 32(4.63) | |
2. 1인당 교육관련 공공지출(US$)1 | 27(831) | 29(916) | 32(793) | 31(785) | 33(785) | ||
3. 초등학교 교사 1인당 학생 수(명) | 51(26.7) | 51(25.6) | 51(24.1) | 50(22.4) | 51(20.9) | ||
4. 중등학교 교사 1인당 학생 수(명) | 50(18.0) | 51(18.1) | 53(18.2) | 53(18.0) | 52(17.6) | ||
5. 중등학교 취학률(%) | 6(96.1) | 8(96.5) | 6(98.0) | 8(95.7) | 10(96.0) | ||
6. 25-34세 인구의 고등교육 이수율(%) | 4(53.0) | 2(56.0) | 2(58.0) | 2(63.0) | 2(65.0) | ||
7. 인구천명당 고등교육 외국인학생 수(명) | 37(0.46) | 34(0.66) | 33(0.83) | 34(1.02) | 32(1.20) | ||
8. 인구천명당 고등교육 유학생 수1(명) | 10(2.11) | 11(2.17) | 11(2.32) | 11(2.54) | 11(2.56) | ||
9. 학업성취도2,3 | 전체 | 4 | 4 | 5 | 5 | 5 | |
수학(PISA점수) | 4(547) | 4(547) | 4(546) | 4(546) | 4(546) | ||
과학(PISA점수) | 10(522) | 10(522) | 6(538) | 6(538) | 6(538) | ||
10. 영어숙달도(TOEFL점수)2,4 | 48(77) | 48(78) | 46(81) | 46(81) | 46(82) | ||
11. 15세 이상 문맹률(%) | 32(2.0) | 32(1.7) | 33(1.7) | 34(1.7) | 34(1.7) | ||
정
성 | 12. 교육제도 | 32(4.38) | 31(5.03) | 20(6.00) | 27(5.58) | 27(5.71) | |
13. 과학교육5 | - | 32(4.96) | 20(5.37) | 37(4.57) | 23(5.32) | ||
14. 대학교육 | 51(3.95) | 46(4.28) | 39(5.00) | 42(4.57) | 41(4.93) | ||
15. 경영교육 | 42(4.52) | 43(4.70) | 35(5.41) | 43(4.95) | 41(5.19) | ||
16. 언어능력 | 34(4.88) | 39(4.98) | 31(5.60) | 32(5.59) | 28(5.88) | ||
주: 1. 순위산출에 활용되지 않고, 해당 국가의 배경 정보 확인용임. 2. 2008년까지 배경정보로 활용되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정량지표로 전환되었으나, 2013년 다시 배경정보로 전환되어 활용된 세부지표임. 점수 및 순위는 IMD 국가경쟁력 연감 기준으로 PISA 2009 발표 영역별 점수 및 순위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3. 2009년부터 2010년까지는 PISA 2006 점수, 2011년부터 2013년까지는 PISA 2009 점수임. 4. TOEFL 시험방식이 CBT(총점 300)에서 iBT(총점 120)로 변경됨에 따라 2009년부터 iBT 기준으로 변경됨. CBT 218점은 iBT 81~82점에 준하는 점수임. 5. 이전까지 과학인프라 세부지표였으나 2010년부터 교육경쟁력 세부지표에 포함됨. * − : 해당 지표의 점수 및 순위가 발표되지 않았음. * ( ) 안은 지표값임. 출처 : IMD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각 년도).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2013 IMD 교육경쟁력 분석보고서>
'교육정책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 학업중단 현황 (0) | 2014.09.10 |
---|---|
대입전형계획 변경을 제한하는 고등교육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 (0) | 2014.05.26 |
IMD의 2013년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및 분석 (0) | 2014.05.26 |
IMD의 2014년 국가경쟁력_교육 31위_35위(’08)→36위(’09)→35위(’10)→29위(’11) (0) | 2014.05.26 |
전교조 애도 수업자료 (0) | 2014.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