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D의_2013년_국가경쟁력_평가_결과_및_분석.hwp
| |||
보도일시 | 2013. 5. 30(목) 00:01부터(통신, 방송, 인터넷 : 국제엠바고) | ||
배포일시 | 2013. 5. 29(수) 15:00 | 담당부서 | 경제정책국 경쟁력전략과 |
담당과장 | 오상우 (044-215-2810) | 담 당 자 | 최연 사무관 (044-215-2815) |
제목 : 2013년 IMD 국가경쟁력 평가 순위 22위 - 지난 25년간 19단계 순위 상승하여 총 60개국 2위를 기록 - |
|
| 기획재정부 대변인 | |
IMD의 2013년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분석 |
| ◇ 요 약 ◇ |
| |||||||||||
|
| ||||||||||||
|
|
| |||||||||||
□ (총평) IMD의 ’13년 국가경쟁력 평가*(총 60개국)에서 한국은 22위로 3년 연속 동일한 순위 유지
* (’97)30위→(’01)29위→(’05)29위→(’09)27위→(’11)22위→(’12)22위→(’13)22위 ** 미국이 1위, 스위스 2위, 홍콩 3위, 중국 21위, 일본 24위 기록
ㅇ ’97~’13년 중 국가별 경쟁력 순위 최저점 대비 상승폭은 한국이 19단계 상승(41(’99)→22위(’13))해 2위(총 60개국)를 기록
* 1위는 20단계 상승한 UAE가 차지 (28위(’11) → 8위(’13))
ㅇ ’97년과 ’13년의 순위 비교시 한국은 8단계 상승하여 Winner 국가로 분류됐고 상승폭 기준으로 4위(총 46개국)를 기록
* Winner(5등 이상 상승): 스웨덴(+15), 한국(+8), 중국(+6) 등 9개국Loser(5등 이상 하락): 아르헨티나(-31위), 스페인(-19위), 일본(-7위) 등 20개국
□ (분야별 변동) 4개 분야 중 3개 분야 상승, 1개 분야 하락
ㅇ 경제성과(27→20위), 정부효율성(25→20위), 인프라(20→19위)분야 상승
ㅇ 기업효율성(25→34위) 분야는 하락
□ (세부항목별 내역) 총 333개의 세부항목 중
ㅇ 상위권 항목(5위 이내)은 장기실업률(1위), 공공부문 고용(2위), 기업의 R&D 지출비중(2위) 등 21개 항목
ㅇ 하위권 항목(50위 미만)은 기업이사회의 경영감독(57위), 노사관계 생산성(56위), 관세장벽(56위) 등 23개 항목
□ (시사점) IMD가 제시한 한국경제의 도전과제와 주요 하위 항목 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 필요
|
Ⅰ. IMD 국가 경쟁력 평가 결과 |
'교육정책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입전형계획 변경을 제한하는 고등교육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 (0) | 2014.05.26 |
---|---|
2013년 한국의 IMD 교육경쟁력 순위 및 추이 (0) | 2014.05.26 |
IMD의 2014년 국가경쟁력_교육 31위_35위(’08)→36위(’09)→35위(’10)→29위(’11) (0) | 2014.05.26 |
전교조 애도 수업자료 (0) | 2014.04.25 |
졸속 시범사업으로 학교 인근에 호텔허용하겠다는 정부 (0) | 2014.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