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장관 서남수)는 최근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학업중단에 대해 시·도교육청과 학교에서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총 340억의 예산 지원에 나섰다.
◦ 학업중단 숙려제, 희망 손잡기 프로젝트(학업복귀 지원), 꿈키움멘토단 운영 등 학업중단 예방 대책에 대규모 예산 지원은 이번이 처음이다.
1 |
|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현장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운영 |
□ ‘14년부터 의무적으로 실시하는 숙려제를 위해 80억원을 지원한다.
◦ 올해부터 고교생뿐만 아니라 초·중학생도 지원 대상에 포함하여, 약 3만 8천명의 위기학생에게 여행, 인성·진로캠프, 예체능·직업체험, 심리상담 등을 제공한다.
◦ 이를 통해 학교에서 부딪치는 갈등과 문제들의 해결을 돕고, 학교를 그만 두기 전에 한 번 더 숙고할 기회를 갖게 한다.
※「초중등교육법 시행령」개정으로 숙려제 의무화(´14.1.1.)
□ 1,500개 학교에 대안교실 설치를 위하여 69억원을 지원한다.
◦ 일반교실에서는 충족할 수 없는 체험 프로그램, 진로 프로그램, 인성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 (서울 남서울중학교 ’13년 대안교실) 스포츠 클라이밍, 요리교실, 연극치료, 직업체험, 문화 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
□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찾아 대안위탁 교육을 희망하는 학생을 위하여 111개 위탁교육 프로그램에 13억원을 지원한다.
◦ 특히, 대학, 전문대학, 폴리텍대학, 직업훈련기관 등의 위탁교육을 집중적으로 지원하여 질 높은 직업교육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 상대적으로 학업중단이 심각한 학교(200교)*에 교당 천만원씩 총 20억원을 지원한다.
* 시·도교육청별 최근 3년간 학업중단 학생이 평균 20명 이상 발생한 학교 중 여건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곳 선정
◦ 교육복지 사업, 예술·체육·연극 활동, 진로 프로그램 등 다양한 사업과 연계하여 학교별로 종합적인 방안을 수립·추진하게 된다.
2 |
| 꿈키움 멘토단 운영, 학업중단 학생 복귀 지원, 가정형 Wee 센터 신설 등 맞춤형 지원 강화 |
□ 대학생, 직장인 등이 학업중단 위기학생의 멘토가 되어 위기 극복을 돕는「꿈키움 멘토링 프로그램」을 교육청 단위로 운영한다.
◦ 공개 모집, 대학·기업체·스포츠단 연계 등으로 멘토단을 구성하여 위기 학생과의 다양한 멘토링 활동(1대1, 1대多, 多대多)을 전개한다.
◦ 1천명 내외의 멘토단의 구성·운영을 위해 총 8억 5천만원이 지원된다.
□ 학업중단 학생의 복귀를 위한「희망 손잡기 프로젝트」에는 총 25억 5천만원을 지원한다.
◦ 학교를 떠난 뒤에도 다시 돌아올 수 있도록 시·도교육청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돌보는 프로그램으로,
- 학업복귀 등 정보 제공, 방송중·고 운영 활성화, 검정고시 무료 과정 운영, 복지 서비스 지원 등 다양한 지원이 추진된다.
□ 가정 위기 등으로 돌봄이 필요한 학생의 숙식, 대안교육 등 돌봄 기능 강화를 위해 가정형 Wee 센터 4개를 신설한다.
◦ 기존에 운영 중인 인천, 대전, 충북을 제외한 시·도 중 지원을 희망하는 교육청에 8억 5천만원씩 총 34억원을 지원한다.
※ 가정형 Wee 센터 운영 현황
- (지원) 학교 부적응, 은둔형 외톨이 등 다양한 위기학생 지원(3개월 ∼ 9개월) - (운영) 대전 2개소(남, 여), 인천 1개소, 충북 1개소 / 1개소 당 15명 내외 지원 |
3 |
| 학업중단 실태조사 실시, 우수교육청 학업중단 예방 선도모델 개발 등 추진 |
□ 학업중단 실태 파악, 프로그램 개발 등 지원을 위해 ‘학업중단 예방 센터’가 지정·운영된다.
◦ 청소년 분야 전문 기관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YPI :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을 ‘학업중단 예방 센터’로 지정하고, 학업중단 실태조사 등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 교육청의 학업중단 정책 역량을 배양하기 위하여, 평가를 거쳐 선정된 우수교육청을 중심으로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선도모델을 개발한다.
◦ ‘14년 우수교육청으로 총 7개 교육청(시 : 인천, 울산, 대전, 부산, 도 : 경남, 경북, 전남)을 선정하였으며, 각 3억원씩 총 21억원을 지원한다.
◦ 우수교육청은 경제적 어려움, 또래 간 갈등, 진로 탐색 어려움, 학습 결손 등 다양한 학업중단 위기 요인에 맞춤형으로 대응할 수 있는 특화된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한다.
※ 학업중단 대책 우수사례
- (인천) 기초학력 미달학생지도 인턴교사 배치, 또래상담·또래조정 활성화, 병원학교·사이버학급 등 위기 원인별 맞춤형 지원 - (경남) 유연한 교육과정을 통해 학교 적응력을 높이고 인성교육을 통해 타인 이해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꿈키움 교실 등 활성화 - (경북) 학업중단 예방 코칭 어플리케이션 개발·보급, 학업중단 학생의 복귀를 위한 복지서비스 지원 |
□ 학업중단 예방은 학생 한 명, 한 명의 사회적 단절과 낙오를 막고 학습권을 보호하기 위해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교육복지 정책으로,
◦ 중앙정부의 지원과 시도교육청의 적극적인 추진 의지를 통해 학업중단 예방 노력이 교육 현장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 붙임
1. 2014년 사업별 예산 내역
2. 시·도별 학업중단 현황
3. ‘13년 시도별 학업중단 숙려제 운영 결과
붙임 1 |
| 2014년 사업별 예산 내역 |
< 학업중단 예방 및 학업복귀 지원 >
(단위 : 백만원)
구분 | 학업중단 숙려제 프로그램 | 학업중단 학생 복귀지원 | 가정형 Wee센터신설 | 위기학생 지원 시스템 구축 | 학업중단 예방센터 운영 | 학업중단매뉴얼 진단도구 개발 | 학업중단위기학교 지원 | 꿈키움 멘토단 운영 | 학업중단 예방 컨텐츠 개발 | 선도 모델 개발 | 합계 |
금액 | 8,000 | 2,550 | 3,400 | 1,190 | 1,000 | 190 | 2,000 | 850 | 600 | 2,100 | 21,880 |
< 대안교육 활성화 지원 >
(단위 : 백만원)
구분 | 대안교실 지원 | 공립 대안학교 지원 | 사립 대안학교 우수 프로그램 지원 | 대안교육 위탁기관 지원 | 대안교육 담당자 전문성 제고 | 탈북 다문화 대안교육 시설 지원 | 합계 |
금액 | 6,884 | 1,715 | 750 | 1,299 | 1,582 | 200 | 12,430 |
붙임 2 |
| 시·도별 학업중단 현황 |
시·도 | 2011년 4월 1일 기준 | 2012년 4월 1일 기준 | 2013년 4월 1일 기준 | ||||||
전체 학생 수 | 학업중단 학생 수 | 비율 | 전체 학생 수 | 학업중단 학생 수 | 비율 | 전체 학생 수 | 학업중단 학생 수 | 비율 | |
서울 | 1,274,028 | 18,578 | 1.46% | 1,219,799 | 17,924 | 1.47% | 1,161,632 | 16,126 | 1.39% |
부산 | 463,347 | 4,290 | 0.93% | 438,795 | 4,439 | 1.01% | 413,989 | 4,011 | 0.97% |
대구 | 384,930 | 2,834 | 0.74% | 368,376 | 2,931 | 0.80% | 351,183 | 2,683 | 0.76% |
인천 | 408,650 | 4,180 | 1.02% | 391,241 | 3,810 | 0.97% | 376,113 | 3,328 | 0.88% |
광주 | 253,929 | 2,335 | 0.92% | 246,570 | 2,173 | 0.88% | 237,425 | 1,918 | 0.81% |
대전 | 239,711 | 2,845 | 1.19% | 231,775 | 2,853 | 1.23% | 223,759 | 2,554 | 1.14% |
울산 | 186,315 | 1,642 | 0.88% | 178,473 | 1,588 | 0.89% | 170,293 | 1,422 | 0.84% |
세종 | - | - | - | - | - | - | 11,744 | 101 | 0.86% |
경기 | 1,791,766 | 21,551 | 1.20% | 1,750,261 | 20,341 | 1.16% | 1,701,253 | 19,602 | 1.15% |
강원 | 214,916 | 2,104 | 0.98% | 208,283 | 2,029 | 0.97% | 201,546 | 1,981 | 0.98% |
충북 | 229,043 | 1,848 | 0.81% | 222,166 | 1,923 | 0.87% | 212,585 | 1,730 | 0.81% |
충남 | 293,841 | 2,652 | 0.90% | 288,186 | 2,695 | 0.94% | 271,566 | 2,436 | 0.90% |
전북 | 279,160 | 2,394 | 0.86% | 269,784 | 2,312 | 0.86% | 259,686 | 2,009 | 0.77% |
전남 | 270,656 | 2,187 | 0.81% | 259,737 | 2,226 | 0.86% | 248,886 | 1,932 | 0.78% |
경북 | 359,488 | 2,667 | 0.74% | 345,747 | 2,658 | 0.77% | 332,449 | 2,358 | 0.71% |
경남 | 493,422 | 3,715 | 0.75% | 477,086 | 3,787 | 0.79% | 459,039 | 3,389 | 0.74% |
제주 | 93,046 | 767 | 0.82% | 90,568 | 676 | 0.75% | 88,028 | 608 | 0.69% |
전국 | 7,236,248 | 76,589 | 1.06% | 6,986,847 | 74,365 | 1.06% | 6,721,176 | 68,188 | 1.01% |
붙임 3 |
| ‘13년 시·도별 학업중단 숙려제 운영 결과(3월∼12월) |
시·도 | 학업중단 숙려제 운영 결과 | ||
숙려제 프로그램 참여학생 수 | 참여학생 중 학업계속 학생 수 | 학업 계속 비율 | |
서울 | 996 | 290 | 29.1% |
부산 | 814 | 490 | 60.2% |
대구 | 232 | 37 | 15.9% |
인천 | 830 | 415 | 50.0% |
광주 | 202 | 43 | 21.3% |
대전 | 135 | 58 | 43.0% |
울산 | 458 | 263 | 57.4% |
세종 | 26 | 12 | 46.2% |
경기 | 2,116 | 468 | 22.1% |
강원 | 163 | 36 | 22.1% |
충북 | 339 | 88 | 26.0% |
충남 | 730 | 334 | 45.8% |
전북 | 452 | 61 | 13.5% |
전남 | 83 | 31 | 37.3% |
경북 | 571 | 304 | 53.2% |
경남 | 1,144 | 588 | 51.4% |
제주 | 79 | 14 | 17.7% |
전국 | 9,370 | 3,532 | 37.7% |
'교육정책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14년 학교폭력대책 추진계획 (0) | 2014.03.04 |
---|---|
2013년 사교육비‧의식조사 결과 (0) | 2014.03.03 |
'13년 학교건강검사 표본조사의 주요 결과 (0) | 2014.03.03 |
2014학년도 저소득층 초․중․고 교육비 지원 신청 (0) | 2014.03.03 |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안(대안) (0) | 2014.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