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정책자료

2013년도 진로교육 활성화방안

by 조은아빠9 2013. 2. 26.
728x90

02-27(수)조간보도자료(2013년도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발표).hwp

 

개인 맞춤형 진로설계 지원을 위한

「2013년도 진로교육 활성화방안」

- 전국 모든 중․고교에 진로진학상담교사 선발․배치 (5,400교)

- 모든 중․고생에 연 2회 이상 진로심리검사와 진로상담 제공

- 학교진로교육프로그램의 체계적 제공

- 중․고교 단계 각 1회 이상 직업체험 필수화

- 모든 시․도 교육청에 진로체험 지원 시스템 구축

- 모든 학교에 학부모 진로코치단 운영(학부모 진로코치 5만 명 양성)

교과부는 <학생 개인 맞춤형 진로설계 지원> 정책 실현을 위한「2013년도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였다.

 

◦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은 매 연초에 정부 차원의 진로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시․도교육청 별로 세부 추진 계획을 수립하는 기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 개인 맞춤형 진로 컨설팅 제공 >

 

◦ 진로교사 100% 선발․배치(모든 5,400개 중고교)

◦ 연 2회 이상 검사 및 상담 제공

◦ 6종의 온라인 진로심리검사 운영(모바일앱 4종)

◦ 200명의 교사 사이버상담위원단 운영, 각 학교별 상담시스템 구축

 

□ 진로교육의 인적 인프라 구축을 위하여 현재 4,550명에서 850명을 추가로 선발하여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정인원을 총 5,400명으로 늘린다.

2013년 1.1 기준 4,550명의 진로진학상담교사 선발․배치 (중72%, 고100%)

 

◦ 규모가 큰 학교에는 두 명 이상의 진로교사를 배치할 수 있고 농산어촌 소규모 학교에는 순회 교사를 배치한다.

 

진로교사를 돕는 진로교육 관련 보조인력을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된다.

 

□ 학생 개개인의 소질과 적성의 발견을 돕기 위하여 연 2회 이상 진로 검사 및 상담이 필수화 된다.

 

◦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나이스(NEIS)와 연동되어 있는 커리어넷 (www.career.go.kr) 진로심리검사 시스템을 활성화 하고

 

고교생용 적성검사와 홀랜드 모형의 직업흥미검사를 추가로 개발하여 총 6종의 온라인 진로심리검사를 무료로 제공한다.

※ 현재 커리어넷에 4종의 진로검사 운영 중(직업적성검사, 직업흥미검사, 직업가치관검사, 진로성숙도검사)

 

진로상담 결과를 에듀팟에 기록하여 학생의 포트폴리오로 활용하고, 커리어넷 상담위원단 운영, 상담 모바일 앱 운영 등을 통한 진로상담 서비스를 확대한다.

< 소질․적성 중심 교육과정 운영 >

 

◦ 진로교육 중심의 SCEP(School Career Education Program) 운영

진로수업-체험활동-진로검사 및 상담의 체계적 제공

◦ 진로교육 콘텐츠 개발․보급 및 활용 강화('13년, 18종)

 

□ 진로수업 - 체험활동 - 진로검사 및 상담을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학교진로교육프로그램(School Career Education Program)의 운영 매뉴얼이 보급되며, 각 교육청별로 1교씩 시범학교를 운영한다.

 

◦ 동 프로그램은 「진로와 직업」스마트북, 진로활동지, 진로체험 매뉴얼, 검사 및 상담 매뉴얼을 활용하게 되며, 시범학교에는 디지털 교과서를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진로교육을 실시하게 된다.

「진로와 직업」스마트북 : 초중고 별로 개발된 진로수업용 디지털 교과서로 2013년 3월 오픈 예정

 

 

《 SCEP 시범학교 운영 내용

 

 

 

「진로와 직업」스마트북을 활용한 진로교육

창의적 진로개발 활동지를 활용한 진로개발역량 제고

◈ 연극을 통한 의사소통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기이해 역량 강화

창업가 정신을 키워주는 활동지를 활용한 진로교육

2012년 진로교육을 위하여 개발된 55종의 콘텐츠에 더하여, 금년에는 진로수업 동영상, e-진로채널 등 18종의 콘텐츠를 추가로 개발한다.

※ e-진로채널 : 2-3분 분량의 직업동영상 200편으로 구성

< 진로체험 강화 >

 

◦ 중․고교 단계 각 1회 이상 직업체험 필수화

⇒ 132만명 직업체험 지원(중․고생의 35%)

◦ 학생 1인 1캠프 참여 활성화

◦ 모든 시도에 진로체험 지원시스템 구축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재학 중 각 1회 이상의 직업체험에 반드시 참여하게 된다.

 

132만 명의 직업체험을 지원하기 위하여 160억 원을 투자한다.

교육청 또는 학교 단위에서 운영하는 진로캠프에 한 번씩 참여하는 프로그램을 시도 교육청별로 마련한다.

 

□ 진로체험을 활성화 하기위한 사회적 인프라 구축을 위하여, 자치단체의 진로체험시설 지원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고,

 

모든 시․도교육청에 진로체험지원센터가 구축․운영되며, 학교와 기업체를 연결해주는 매칭 시스템을 운영한다.

 

《 시도별 진로체험 지원 유형

 

 

 

지자체와의 협력(서울시교육청)

- 각 자치구와 협력하여 ‘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를 구축

- 지역내 학교와 다양한 사업장을 연계하여 직업체험 실시

사회적 기업 설립․운영(대구시교육청)

- SK그룹과 진로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 기업(대구행복한미래 재단) 공동 설립 및 운영

- 제공 프로그램 : 찾아가는 진로학습 코칭, 직업체험캠프, 학부모진로교육 및 세미나, 교사 진로교육 연수, 커리어컨설턴트 양성과정

교육기부 매칭 전문사이트(e-나누미) 구축(경남교육청)

- 공공기관, 대학, 기업, 단체 등 617개 교육기부 기관과 MOU를 체결하여 유기적․지속적 관리

< 진로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

 

◦ 진로교사 배치교 교장연수 1,551명

◦ 교과부 일반교원 진로심화연수 900명

◦ 시도 자체 일반교원 연수(전체 교원의 5% 이상, 21,000명)

◦ SCEP 활용 연수 9,699명

 

□ 진로교사와 일반교사 및 학교장의 진로교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연수가 강화된다.

 

◦ 진로교육에 전문성이 있는 민간기관*을 활용하여 진로교육 심화 연수과정을 제공하는 한편,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대학교육협의회, 청소년정책연구원, 중소기업중앙회

 

SCEP 운영을 위한 진로교육 콘텐츠 활용 등 연수과정을 시도별로 운영하며,

 

2013년도에 진로교사가 신규 배치되는 학교의 장을 대상으로 진로교육에 대한 이해 제고를 위한 합숙 연수를 진행할 계획이다.

< 학부모의 진로교육 참여 확대 >

 

◦ 학부모 진로교육 아카데미(4,000강좌, 33만명)

◦ 학부모 진로코치 5만명 양성

◦ 모든 학교에 학부모 진로코치단 구성

 

학부모의 진로교육 참여가 확대된다.

 

각 교육청 및 단위학교별로 학부모 진로 아카데미’를 연중 운영하여 자녀의 진로교육을 위한 전문적인 연수 기회를 확대하며,

◦ 직업세계의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5만 명의 학부모 진로코치가 진로교사의 활동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모든 학교에 학부모 진로코치단을 구성하여 운영한다.

 

< 진로교육 지원시스템 활성화 >

 

◦ 종합 진로․직업정보망인 커리어넷 운영 활성화

◦ 진로교육 전문기관 협의체 운영 활성화

 

종합 진로직업 정보망인 커리어넷을 통하여 직업정보, 온라인 진로심리검사 및 진로상담서비스를 모든 학생들에게 무료로 제공한다.

 

◦ 2013년 90만 명의 신규 가입이 예상되고 누적 회원수가 700백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300백만 건의 온라인 진로적성검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로 구성된 사이버 상담위원단을 통하여 6만 건의 진로상담이 제공될 예정이다.

□ 진로교육 및 진로체험 활성화를 위한 교과부-진로교육 전문기관* 간 협의체 운영 및 공동사업 추진을 활성화한다.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교육학술 정보원, 한국과학창의재단, 중소기업중앙회

 

각 기관이 보유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진로교육 연수과정 공동운영, 진로교육 광고․방송 공동제작, 공동 정책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 진로교육 현황조사 및 평가 >

 

◦ 학교진로교육지표조사 시스템 구축

◦ 시도교육청 진로교육 평가 및 컨설팅 강화

 

□ 학교 진로교육 개선을 위한 심층적인 성과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학교진로교육지표조사」를 매년 실시하며, 조사 결과를 온라인으로 제공한다.

 

□ 시도별로 진로교육 정책 격차를 완화하고 진로교육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하여,

 

◦ 시․도의 중장기 진로교육 발전계획, 진로교육 인프라 구축 현황, 진로교육 추진 성과 및 계획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른 컨설팅을 강화한다.

 

 

<붙 임> 2013년도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1부. 끝.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교육과학기술부 진로교육인재정책과 김지연사무관(☎ 02-2100-6113)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2013. 2.

 

 

 

 

교육과학기술부

 

 

. 추진배경 및 추진성과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