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정책자료

2025년 디지털 시민성 교육의 유럽 해(European Year of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2025)

by 조은아빠9 2025. 5. 25.
728x90
반응형

Developing_Digital_Citizenship_and_Civic_Engagemen (1).pdf
0.62MB

이 문서는 유럽평의회의 "2025년 디지털 시민성 교육의 유럽 해(European Year of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2025)"에 대한 포괄적인 가이드입니다. 주요 내용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프로젝트 개요

배경

  • 2023년 9월 제26차 교육부장관 상설회의에서 2025년을 "디지털 시민성의 유럽 해"로 지정
  • 2016년부터 시작된 디지털 시민성 교육 정부간 프로젝트의 연장선

디지털 변혁의 기회와 도전

기회:

  • 디지털 환경과 기술이 제공하는 전례 없는 표현, 학습, 창조, 소통 및 사회화 수단
  • 전 세계적인 집회와 참여의 공간

도전:

  • COVID-19 팬데믹과 ChatGPT 같은 파괴적 기술의 등장으로 악화된 문제들
  • 허위정보, 사이버 괴롭힘, 온라인 혐오 발언, 개인정보 오남용

주요 목적 및 목표

목적

디지털 시민성 교육(DCE)의 가시성과 영향력을 높이고 그 가치를 재확인하는 독특한 기회 제공

6가지 주요 목표

  1. 대중 인식 제고: 모든 연령대 학습자가 디지털로 풍요로워진 세상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DCE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
  2. 이해 증진: 민주적 문화를 위한 역량의 중요성과 온라인에서의 개발 방법에 대한 이해 증진
  3. 확산 촉진: DCE의 도입 촉진 및 미래 로드맵 정의
  4. 협력 연계: 유럽평의회와 UNESCO, EU 등 다른 기관들의 디지털 교육 관련 작업 연계
  5. UN 아젠다 기여: 교육의 디지털 변혁에 관한 UN SDG4 및 글로벌 이니셔티브에 기여
  6. 이해관계자 참여: 공공, 민간, 시민사회 부문의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공통 목표를 향해 협력하도록 동기 부여

주요 활동

1. 인식 제고

  • 공통 로고와 적응 가능한 슬로건이 있는 정보 및 홍보 캠페인
  • DCE 홍보대사가 출연하는 비디오 및 라디오 스팟 제작
  • 전용 웹사이트 개발 및 소셜미디어 캠페인 실시

2. 국제 행사

  • 론칭 행사: 2025년 1월 27일/2월 3일 주
  • 제2차 회의: 2025년 5월 19일 주
  • 제3차 회의: 2025년 9월 22일 주
  • 폐막 회의: 2025년 11월 18-19일

3. 역량 개발

  • DCE 홍보자를 위한 2일간 대면 교육
  • 주요 DCE 목표에 대한 단기 온라인 기존 과정 홍보
  • 전체 학교 DCE 모범 사례 경진대회 조직

4. 자료 개발/배포

  • 다양한 연령대와 학습 스타일에 맞는 포괄적인 교육 자료 컬렉션 홍보
  • 사용자 친화적인 온라인 자료 저장소 구축
  • 포용적인 자료 개발 촉진

5. 지원 프로그램

  • 디지털 시민성 교육을 향상시키는 선구적인 프로젝트 및 이니셔티브에 재정 지원
  • 100만 유로 규모의 지원금 프로그램

6. 모니터링 및 평가

  • 포괄적인 모니터링 및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 다양한 방법(설문조사, 인터뷰, 포커스 그룹)을 통한 피드백 수집

예산 및 업무 계획

총 예산: 220만 유로 (24개월)

  • 인건비 (30%): 36만 유로
  • 운영비 (65%): 75만 6천 유로
    • 행사: 25만 6천 유로
    • 교육 자료 개발: 10만 유로
    • 모니터링 및 평가: 5만 유로
    • 비상금: 8만 4천 유로
  • 지원금 프로그램: 100만 유로

3단계 추진 계획

  1. 준비 단계 (2024년 1-6월): 위원회 구성, 캠페인 설계, 웹사이트 개발
  2. 실행 단계 (2025년): 국제 행사, 국가별 론칭, 교육 프로그램 실시
  3. 평가 단계 (2026년 1-6월):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평가 보고서 작성

관리 및 조정

캠페인 운영위원회 (CSC)

  • 목적: 전략적 방향성 제공, 감독 및 의사결정 지원
  • 구성: 유럽평의회 교육위원회(CDEDU), 교육 부문, 디지털 기술 전문가, NGO 리더 등
  • 회의: 분기별 또는 필요시

국가 위원회 (NC)

  • 목적: 국가 차원에서 캠페인 감독 및 조정
  • 구성: 지역 교육기관, 정부기관, 시민사회, 기술 산업 대표
  • 회의: 격월 또는 필요시

국가별 캠페인 주제

디지털 시민성의 10개 영역을 주제별 프레임워크로 활용:

Being Online (온라인 존재)

  • 접근성과 포용
  • 학습과 창의성
  • 미디어 및 정보 리터러시

Well-being Online (온라인 웰빙)

  • 윤리와 공감
  • 건강과 웰빙
  • 전자 존재감과 커뮤니케이션

Rights Online (온라인 권리)

  • 적극적 참여
  • 권리와 책임
  • 개인정보보호와 보안
  • 소비자 인식

유럽평의회 개발 자료

교육자용 자료

  • 디지털 시민성 교육 핸드북
  • DCE 교육자 팩
  • 비디오 게임 문화 교육 자료

정책입안자용 자료

  • CM 권고안: 디지털 시민성 교육 개발 및 촉진
  • 장관 선언: "디지털 시대의 시민성 교육"
  • AI와 교육: 인권, 민주주의, 법치주의 관점에서의 비판적 시각

부모 및 보호자용 자료

  • Digi-Nauts 애니메이션 시리즈
  • 부모 관점에서의 DCE 보고서
  • 다양한 주제별 안내 자료

이 이니셔티브는 유럽 전역에서 디지털 시민성 교육을 강화하고 학생들이 디지털 세계를 책임감 있고 윤리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