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교육부 재정 자료 분석

by 조은아빠9 2025. 4. 1.
728x90

대한민국 국회 예산정책처에서 발간한 2025년 대한민국 재정 자료 중에서 교육부 자료를 추출해서 끌로드 3.7쏘넷으로 분석한 자료입니다.

1. 세입·세출 예산 개요

세입 예산

  • 2025년 교육부 세입 예산은 총 3,717억원으로 전년 대비 288억원(8.4%) 증가
  • 주요 세입 구성:
    • 일반회계: 3,717억원
    • 지역교육발전특별회계: 50억원
    • 유아교육지원특별회계: 31,020억원
    •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 166,636억원

세출 예산

  • 2025년 교육부 세출 총액은 1조 1,887억 7천만원으로 전년 대비 42,455억원(3.7%) 증가
  • 주요 세출 구성:
    • 일반회계: 9,932억 2,100만원 (전년 대비 3.8% 증가)
    • 지역교육발전특별회계: 32억 5,600만원 (전년 대비 20.2% 감소)
    • 유아교육지원특별회계: 31,020억원 (전년 대비 4.0% 감소)
    •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 1,612억 7,300만원 (전년 대비 5.4% 증가)

2. 기금 운용 계획

기금 현황

  • 2025년 교육부 소관 기금은 총 2개
  • 사학진흥기금: 5,650억원 (전년 대비 83.9% 증가)
    • 용도: 사립학교 교육환경 개선, 행복기숙사 용자지원, 사립교육시설자금 융자지원 등
  • 사립학교교직원연금기금: 13조 7,133억원 (전년 대비 4.3% 증가)
    • 용도: 사립학교 교직원 노후생활 안정, 연구사업, 복리후생 등

3. 총수입/총지출 현황

총수입

  • 2025년 교육부 총수입: 8조 125억원
    • 정부 총수입(651.6조원)의 1.2% 차지
    • 전년 대비 7,552억원(10.4%) 증가

총지출

  • 2025년 교육부 총지출: 104조 8,684억원
    • 정부 총지출(673.3조원)의 15.6% 차지
    • 전년 대비 3.9% 증가
    • 교육부 총지출 비중: 2023년 14.3%에서 2025년 15.6%로 증가

4. 주요 사업 분석

지방교육재정교부금

  • 2025년 예산: 72조 2,794억원
  • 내국세 연동: 내국세 총액의 20.79% (2018년 20.27% → 2020년 20.79%로 인상)
  • 구성:
    • 보통교부금: 69조 6,596억원 (내국세 수입의 20.79% 중 97%)
    • 특별교부금: 2조 6,199억원 (내국세 수입의 20.79% 중 3%)
      • 국가시책: 1조 674억원 (60%)
      • 지역현안: 7,437억원 (30%)
      • 재해복구: 2,479억원 (10%)
  • 추이: 학령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1인당 교부금은 지속 상승
    • 2013년 625만원 → 2024년 1,243만원

사립학교 지원

  • 맞춤형 국가장학금: 5조 3,050억원 (전년 대비 12.3% 증가)
    • 1유형(소득연계): 3조 291억원
    • 다자녀: 1조 1,138억원
    • 지역인재: 3,400억원
  • 지원 대상:
    • 1유형: 학자금 지원 9구간 이하(신설창업 가구 소득·재산의 환산액에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300% 이하)
    • 다자녀: 학자금 지원 9구간 이하, 세 자녀 이상의 모든 대학생에게 지원
    • 지역인재: 대학 체재니보와 연계하여 지역의 우수한 인재 지원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

  • 2025년 예산: 2조 109억원
  • 목적: 지자체-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 체계 구축
  • 주요 내용:
    •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2조 10억원 (전년 대비 66.2% 증가)
    • 지역혁신특화 연구개발 사업: 1조 7,047억원 (전년 대비 41.6% 증가)

영유아보육 및 유아교육 지원

  • 영유아보육 지원: 3조 2,400억원 (전년 대비 21.2% 증가)
    • 대상: 어린이집 이용 0~2세 영유아
  • 유아교육비 보육료 지원: 3조 1,020억원 (전년 대비 3.4% 감소)
    • 대상: 유치원, 어린이집에서 공통 교육·보육과정인 '누리과정'을 제공받는 3~5세
  • 이용자 현황:
    • 영유아보육: 2020년 65.3만명 → 2025년 51.2만명 (감소 추세)
    • 유아교육비: 2020년 119.9만명 → 2025년 80.9만명 (감소 추세)

신규사업

  • 2025년 신규사업 예산: 1조 2,364억 7,000만원
  • 주요 사업:
    • 지역인재육성지원: 1,720억원 (지역 인재 육성 및 지역인재진흥 확대)
    • 명망 있는학 역량 강화 지원: 1,200억 5,000만원 (대학 내 분야별 명문화 지원)
    • 예비교원 AI 디지털 교육 지원: 1,877억원 (AIDT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역량 강화)

5. 주요 특징 및 시사점

  1. 교육부 예산의 지속적 증가
    • 전체 예산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정부 총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확대
  2. 학령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1인당 교육투자 증가
    • 학령인구는 감소 추세지만 1인당 교부금은 오히려 증가
  3. 고등·평생교육 부문 투자 확대
    •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 예산 증가율(5.4%)이 전체 교육부 예산 증가율(3.7%)보다 높음
  4. 지역 혁신 중심 대학 지원 강화
    • RISE 사업 등을 통한 지역 대학 혁신 지원 확대
  5. 영유아 관련 예산의 변화
    • 0~2세 영유아보육은 증가, 3~5세 유아교육비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재정 조정

교육부 재정 구조를 시각화하여 전체 예산의 구성과 주요 프로그램별 배분 현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결론 및 시사점

2025년 교육부 재정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과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1. 교육 투자 확대: 학령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교육 예산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정부 총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증가(14.3% → 15.6%)하고 있어 교육에 대한 국가적 투자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2. 고등·평생교육 중심 구조: 일반회계와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의 증가율(각각 3.8%, 5.4%)이 전체 증가율(3.7%)보다 높게 나타나는 반면, 유아교육지원특별회계는 감소(-4.0%)하는 추세로, 교육 재정의 중심이 고등·평생교육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3. 지역 균형 발전 강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 예산의 대폭 증가(66.2%)와 지역인재 국가장학금 지원 신설 등 지역 기반 교육 혁신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뚜렷합니다.
  4. 영유아보육 체계 개편: 영유아보육 지원은 증가(21.2%)하는 반면 유아교육비 지원은 감소(-3.4%)하는 등 영유아 교육·보육 체계의 재편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5. 신규 사업을 통한 혁신 추진: 지역인재육성, 명망 있는 학과 육성, AI 디지털 교육 지원 등 미래지향적 신규 사업 도입을 통해 교육 혁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교육부 재정 구조의 변화는 학령인구 감소, 고령화, 디지털 전환 등 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정책적 노력을 반영하고 있으며, 특히 지역 균형 발전과 고등교육 혁신에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재정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