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교육정책자료

1396 교육민원 상담전화

by 조은아빠9 2013. 10. 1.
728x90


1001(조간)-(총무)교육민원 전용 대표번호 통합 서비스 개시.hwp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감 문용린)은 2013년 10월 1일부터 서울시교육청을 포함한 17개 시․도교육청이 교육부 주관으로 추진해온 교육민원 상담용 특수번호(4자리)를 활용하여 일반 시민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궁금한 사항을 상담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발표하였다.

 

▢ 교육부와 서울시교육청은 일반 자치단체나 타 공공기관에 비해 각 시․도교육청의 민원실 전화번호가 일반 전화번호이어서 민원인의 접근이 쉽지 않고 시도별로 각각 운영되어, 민원 서비스 면에서 국민에게 불편이 크다고 판단하여 그동안 특수번호 부여를 위해 적극 협력해 왔다

 

▢ 4자리인 1396 특수 전화번호 도입으로 교육부는 교육정책과 관련한 상담 안내를 위해 현재의 콜센터(☎02-6222-6060)를 유지하고, 전입학 문제 등 학교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민원이 대부분인 각 시․도교육청은 ☎1396으로 번호를 통합하여 학생, 학부모가 편리한 서비스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붙임 1. 1396 교육민원 전용 상담 특수번호 도입계획

붙임 2. 교육민원 상담사례(서울시교육청)

 

[붙임.1]

1396 교육민원 전용상담 특수번호 도입 계획

 

 

추진 배경

❍ 시․도 교육청별로 다른 민원 상담 전화번호 단일화로 민원인 편의 도모

• 시도교육청별로 서로 다른 전화번호로 번호 탐문 등 민원인 불편 개선

• 시민들이 알기쉬운 짧은 번호 도입으로 민원 편의성 및 만족도 제고

 

추진 경과

[2011.10.11.] 방송통신위원회로 특수번호 1차 신청(서울시교육청)

[2012.02.22.] 방송통신위원회로 특수번호 2차 신청(서울시교육청)

[2012.04.20.] 교육부가 대표로 특수번호 신청하도록 회신(방송통신위원회)

[2012.06.04.] 시․도교육청 특수번호 도입을 위한 기초 조사(교육부)

- 17개 시․도교육청 대부분 도입 취지․필요성에 공감 (찬성 15개, 정책에 따름 2개)

[2013.05.24.] 미래창조과학부에 특수번호 신청(교육부)

[2013.06.20.] 시․도교육청 교육민원 상담전용 특수번호 지정(미래창조과학부)

[2013.08. 26] 특수번호 서비스운영 주관 사업자 선정 위원회(교육부)

[2013.09. 02] 시․도교육청 교육민원 상담전용 특수번호 부여(교육부)

 

 

공공기관 특수번호 현황

❍ 정부기관

긴급신고, 민원상담, 생활정보서비스 등을 목적으로 3자리(1YY), 4자리(13YY, 15YY) 번호 사

특수번호

사용기관

용 도

특수번호

사용기관

용 도

110

국민권익위원회

정부민원콜센터

1301

검찰청

검찰청 범죄종합신고

112

경찰청

범죄신고

1333

국토해양부

교통정보서비스

126

국세청

세미래콜센터

1350

고용노동부

고용,산재보험 상담 등

129

보건복지부

보건복지콜센터

1544-8080

특허청

특허고객서비스

131

기상청

기상콜센터

1588-0800

조달청

정부조달콜센터

188

감사원

감사원 민원신고센터

 

 

 

❍ 지방자치단체

• 120 서비스 : 행자부에서 각 시․도에 배부한 일반 민원상담 전용 전화로 서울특별시의 경우 다산콜센터 번호로 사용

 

 

시․도 교육청 현황 및 문제점

❍ 각기 다른 일반 전화번호 사용으로 번호 찾는 불편 및 낮은 인지도

시․도 교육청별로 민원실 또는 콜센터에서 서로 다른 일반전화번호(7자리) 대표번호로 사용하며 민원인이 찾아야하는 불편

 

❍ 높은 교육에 대한 관심에 비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창구 운용 미흡

시민과 소통하는 친화적인 민원서비스 체제 개선 필요

민원의 최초 단계에서 쉽고 편리한 서비스 제공으로 보수적 이미지 타파

 

 

특수번호 사용 계획

❍ 사용 번호 : 1396

❍ 사용 개시일 : 2013. 10. 1(화)

❍ 사용 용도 : 시도교육청 민원실 혹은 콜센터 대표번호

❍ 발신 방법 : 유선 1396, 무선(핸드폰) 02-1396, 인터넷전화 02-1396

❍ 통화 요금은 현재와 동일하게 민원인이 부담함

 

❍ 특수번호 운영 계획

서 울 : 특수번호 1396으로 전화할 경우, 서울시교육청 민원 콜센터로 연결

타 시․도 : 해당 시․도 지역번호를 누른 후 특수번호 1396을 입력하면 원하는 시․도 교육청 민원실로 연결

*예시) 서울에서 강원도교육청에 전화민원을 하고자 하는 경우, 강원도 지역번호 3자리와 특수번호 1396을 누르면 강원도교육청 민원실로 연결(☎033+1396)

 

 

 

 

 

 

 

붙임 2. 시도교육청 상담사례 (서울시교육청)

 

(사례1) 자녀가 퇴학당하고 아무런 대책없이 절망감으로 전화

=> 편입, 대안학교, 학력인정 시설 등 다양한 대안을 안내하고 학업 이어갈 수 있게 도와드림. 간단한 정보임에도 어디에서 정보를 얻을지 몰라 염려하던 학부형에게 도움을 주게 되고 크게 감사함

 

(사례2) 가정형편이 매우 어려운 저소득층 고교생으로 도움호소

=> 기초수급자이면 도움이 많으나 차상위계층은 복지혜택이 적어 힘든 경우임. 교감선생님에게 사전 설명 후 장학금 알선으로 구제

 

(사례3) 귀국자인데 외국학제와 맞지 않는 등 편입에 어려움으로 전화

=> 귀국자 학생의 경우 사전에 지식없이 출국한 후 귀국시 외국과의 학제차이로 해당 학년에 편입이 불가한 경우가 많음. 안타까운 학부모의 항의 및 하소연을 청취하고 최대한 친절하게 상담함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