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정책자료

교사들에게 선거관련 행위 금지 심각한 사례

by 조은아빠9 2025. 4. 14.
728x90

선관위의 "공무원의 선거관여행위 금지 안내" 책자를 끌로드(AI)에 입력하고 외국과 비교해서 심각한 사례를 알려달라고 했습니다.

답변은 아래와 같습니다.
=========

안내 책자의 내용과 외국 사례를 비교했을 때, 한국에서 가장 심각하게 제한적인 사례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장 심각한 제한 사례

1. **공무원의 SNS 활동 전면 제한**
- 한국: 선거와 관련된 어떠한 의견이나 정보도 SNS에 게시 불가
- 안내집 30페이지에 설명된 "단순히 '좋아요'를 계속적·반복적으로 클릭"하는 것만으로도 처벌 가능
- 외국에서는 대부분 업무시간 외 개인 SNS에서의 정치적 의견 표현을 허용

2. **교원의 정치활동 전면 금지**
- 대학 교원(교수)을 제외한 초중고 교사들은 정당 가입 자체가 불가능
- 선진국에서는 교실 내 중립만 유지하면 교사의 정치활동 기본권 인정
- 교사가 정치적 견해를 표현하는 것 자체가 처벌 대상

3. **정치적 대화 참여도 금지**
- 안내집 11-12페이지에 언급된 "직무와 관련한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발언" 금지
- 단순히 정치적 주제에 대한 발언도 상황에 따라 처벌 가능
- 외국은 주로 직접적인 선거운동 행위만 제한

4. **공소시효 10년 연장**
- 38페이지에 언급된 공무원 선거범죄 공소시효 10년은 국제적으로 매우 긴 기간
- 일반적인 선거법 위반은 6개월 공소시효지만, 공무원은 10년으로 20배 연장
- 외국에서는 이렇게 장기간의 공소시효를 두는 경우가 드묾

5. **사적 모임에서의 발언까지 규제**
- 안내집 12페이지에 언급된 "지방자치단체장의 특정인 지지 발언" 사례
- 대학생의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의 발언도 선거 관여로 간주
- 외국에서는 공식 자리가 아닌 사적 대화에서의 발언을 규제하지 않음

6. **정책협약 체결 금지**
- 13페이지에 명시된 "정책협약 체결" 금지
- 정당이나 후보자와 공동으로 정책을 추진하겠다는 협약 체결 불가
- 외국에서는 정책의 연속성 측면에서 이러한 협약이 일반적으로 허용됨

이 중에서도 특히 SNS에서의 '좋아요' 클릭이나 개인적 자리에서의 정치적 대화까지 규제하는 것은 외국 사례와 비교할 때 매우 제한적인 규제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제한은 표현의 자유와 정치적 기본권 측면에서 국제적 기준보다 훨씬 엄격한 수준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