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끌로드 3.7쏘넷이 짜준 자료입니다.
1. 사업 개요
사업명: 초등교육 학습지원 전문교사제도 도입
사업기간: 2026년 ~ 2030년 (5개년)
사업목적:
- 난독, 난산 등 학습장애 및 경계선 지능 학생에 대한 전문적 지원 강화
- 학생 수 감소에 따른 과원교사 활용을 통한 학습지원 전문교사 배치
- 학습지원 시스템 구축을 통한 초등교육의 질 향상
2. 소요예산 총괄표
(단위: 백만원)
구분 | 2026년 | 2027년 | 2028년 | 2029년 | 2030년 | 합계 |
전문교사 양성 | 2,200 | 2,200 | 2,200 | 2,200 | 2,200 | 11,000 |
교육환경 구축 | 4,000 | 3,000 | 2,000 | 1,000 | 1,000 | 11,000 |
교육 프로그램 개발 | 1,500 | 1,000 | 800 | 500 | 500 | 4,300 |
운영비 | 1,500 | 2,000 | 2,500 | 3,000 | 3,500 | 12,500 |
총 계 | 9,200 | 8,200 | 7,500 | 6,700 | 7,200 | 38,800 |
3. 사업별 세부 예산
3.1 전문교사 양성 (11,000백만원)
세부항목 | 산출내역 | 금액(백만원) |
교사 연수 프로그램 | 연간 500명 × 5년 × 4백만원 | 10,000 |
전문교사 자격 연수 교재 개발 | 학습지원 분야 × 50백만원 | 50 |
대학 연계 전문 연수 과정 | 5개 대학 × 5년 × 30백만원 | 750 |
해외 선진사례 연수 | 연간 20명 × 5년 × 2백만원 | 200 |
3.2 교육환경 구축 (11,000백만원)
세부항목 | 산출내역 | 금액(백만원) |
학습지원실 구축 | 2,500개교 × 3백만원 | 7,500 |
학습지원 교구 및 자료 구입 | 2,500개교 × 1백만원 | 2,500 |
진단평가 시스템 구축 | 종합 진단평가 시스템 개발 및 운영 | 1,000 |
3.3 교육 프로그램 개발 (4,300백만원)
세부항목 | 산출내역 | 금액(백만원) |
학습지원 프로그램 개발 | 학년별/영역별 10개 프로그램 × 200백만원 | 2,000 |
진단도구 개발 | 분야별 5개 도구 × 100백만원 | 500 |
교수학습 자료 디지털화 | 연간 300백만원 × 5년 | 1,500 |
효과성 검증 연구 | 연간 60백만원 × 5년 | 300 |
3.4 운영비 (12,500백만원)
세부항목 | 산출내역 | 금액(백만원) |
전문교사 직무수당 | 500명(누적) × 1백만원 × 5년(연차별 증가) | 7,500 |
전문교사 연구활동비 | 500명(누적) × 0.5백만원 × 5년(연차별 증가) | 2,500 |
학습지원 운영비 | 2,500개교 × 0.2백만원 × 5년 | 2,500 |
4. 연도별 배치 계획
연도 | 신규 배치 인원 | 누적 인원 |
2026년 | 500명 | 500명 |
2027년 | 500명 | 1,000명 |
2028년 | 500명 | 1,500명 |
2029년 | 500명 | 2,000명 |
2030년 | 500명 | 2,500명 |
합계 | 2,500명 | - |
5. 재원 조달 방안
- 중앙정부 예산: 총 소요예산의 60% (23,280백만원)
- 교육부 특별교부금: 15,280백만원
- 국가시책사업: 8,000백만원
지방교육재정: 총 소요예산의 40% (15,520백만원)
- 시도교육청별 학생 수 감소 비율에 따른 차등 지원
- 지방교육재정교부금 활용
6. 기대효과
- 난독, 난산 등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들에 대한 조기 진단 및 효과적 지원
- 경계선 지능 학생들의 학습 격차 해소 및 기초학력 향상
- 교사의 전문성 강화 및 새로운 교육 서비스 제공을 통한 공교육의 질 향상
- 학부모 만족도 제고 및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력 향상
- 학생 수 감소에 따른 과원교사의 효율적 활용
7. 향후 과제
- 학습지원 전문교사 자격 기준 및 연수 체계 구체화
- 법령 정비 및 관련 제도 개선을 통한 안정적 운영 기반 마련
- 학교별 적정 배치 기준 마련 및 순회교사 운영 방안 수립
- 성과평가 체계 구축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 실시
이 예산계획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단계적으로 학습지원 전문교사 제도를 도입하여 한국 초등교육의 질적 도약을 이루기 위한 재정 계획입니다.
728x90
'교육정책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석열 탄핵후 대선 일정 (0) | 2025.04.01 |
---|---|
3~5세 유아 인구와 유치원 학급당/교사당 학생 수 변화 분석(2019~2024) (0) | 2025.03.30 |
전문교사 제도 도입을 위한 예산계획서 (0) | 2025.03.30 |
2024 한국의 사회지표 초등교육부분 (0) | 2025.03.29 |
2024 한국의 사회지표 분석 보고서 (0)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