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난임 시술지원으로 태어난 아이의 비율은 2018년 8973명.(2.8%), 2019년 2만 6362명 (8.8% ), 2020년 2만 8699명(10.6% ), 2021년 5월 1만 3640명(12.3%)이었다. (자료출처: https://medigatenews.com/news/1321276407)
서울의 경우 '24년 난임시술 지원으로 태어난 아기는 서울 전체 출생아의 15.8%를 차지하고 있다.(자료출처:https://news.seoul.go.kr/welfare/archives/566133)
난임시술 지원의 경우 체외 수정을 통해 여러개의 난자에 수정하여 자궁에 착상하는데 착상이 된 수정란 중에 2개를 제외하고는 제거를 한다. 2023년 출생아중 다태아 비율은 5.5%이다. 2013년 다태아 비율은 3.3%였다. 2022년 5.8%로 가장 많았다.(자료출처: 통계청 2023년 출생통계)
2023년 난임시술 환자는 136,905명이고 불임환자는 243,212명이었다.
자료출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통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진료행위(검사/수술등)통계」(난임시술[보조생식술])
728x90
'교육정책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월 인구동향] (0) | 2025.01.31 |
---|---|
[30~44세 여성 불안장애 환자 현황(2019~2023)] (0) | 2025.01.24 |
[30~44세 여성 우울증 환자 현황(2019~2023)] (0) | 2025.01.24 |
[경기도 초등학생수 감소 상위 5개 지역] (0) | 2025.01.06 |
[갤럽 2016년 11월 4주 자료와 2024 12월 2주 자료 비교분석 (1) | 2024.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