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이주호)는 11월 19일(화), ‘신규 교원의 역량 강화 모델 개발’ 시범운영에 4개 교육청이 참여한다고 발표하였다.
지난 5월 ‘청년세대가 바라는 교육 현장의 미래’라는 주제로 실시한 제24차 함께차담회에서 신규 교원이 ‘교원의 수습 기간 필요성’에 대해 제안한 바 있다. 이를 계기로 교육부는 전문가 간담회(5.24), 함께차담회(제40차, 8.14.), (예비)교원 단체와의 협의회(10.22) 등 교육 현장과 소통하여 ‘신규교원 역량 강화 모델’ 개발 시범운영을 우선 시행하기로 하였다.
▸(목 적) 교원 생애주기에 걸쳐 체계적으로 전문성 개발을 할 수 있도록 신규 교원 단계의 역량 강화 지원 모델 개발 ▸(대 상 자) 2025학년도 임용대기자 중, 기간제 교원 등 교직 경력이 없는 인원을 대상으로 교육청의 선정 기준에 의거 선발 ▸(신분·역할) 한시적 기간제교원으로, 학교 내 지도·상담교사(멘토)와 함께하며, 실무 수습 기간 중 역량 강화 프로그램 등을 거쳐 단계적으로 역할 확대 ▸(프로그램) 학교 내 전담교사 밀착 지도·상담(멘토링), 거점형 수석교사 중심 상담·조언(컨설팅), 연수기관의 맞춤형 집중연수 등 |
이번 시범운영에 ‘대전·세종·경기·경북 4개 교육청이 참여한다. 시범운영 교육청은 2025학년도 교사(초등) 신규임용 대기자 중 희망 인원을 한시적 기간제 교원(가칭, 수습교사)으로 채용하여 2025학년도 3월부터 8월까지 각 교육청별로 수립한 ‘신규 교원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게 된다.
교육청 | 학교급 | 운영 인원 | 교육청별 역량 강화 프로그램 주요 내용 |
대전교육청 | 초등 | 20명 | 지도·상담체제(멘토 및 컨설팅단)를 구축하여 함께 하는 일상수업 나눔 프로그램 운영 및 현장성 강화 프로그램 지원 |
세종교육청 | 초등 | 10명 | 동일 학년, 유사 교과 중 고경력 교사 및 수석교사를 지도교사(멘토)로 지정하여 교수학습 및 교육활동 등 지원·지도 |
경기교육청 | 초등 | 90명 | 수석교사의 지도·조언 역량강화를 위한 연수과정을 운영하고 수석교사와 신규교원을 연결하여 필수 역량과정 운영 |
경북교육청 | 초등 | 20명 | 수석교사 등을 중심으로 지도·상담체제(컨설팅단)을 구성하여 수업활동, 학생 생활지도, 학부모 상담 등에 대한 지도·조언 |
※ 교육청별 운영 인원 및 프로그램 등은 추후 협의 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음
교육부와 시범운영 교육청은 신규 교원이 학교에 적응하고 교직 전문성을 제고할 수 있는 역량 강화 프로그램 등을 함께 마련하고, 운영 전반에 걸쳐 연구·분석을 병행하여 시범운영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개선 필요 사항 등을 도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교육부는 수습교사의 신분, 역할, 보수, 처우 등의 제도화와 단계적 확대 방안에 대해 교원, 예비교원, 교육청, 교원양성기관 등이 포함된 ‘사회적 협의체’와 논의할 계획이다.
고영종 책임교육정책실장은 “이번 시범운영이 신규 교원과 학교 구성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교육청과 함께 노력하겠다.”라고 말하며, “시범운영을 통해 도출된 성과가 향후 수습교사제 도입 논의의 밑거름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신규 교원 역량 강화 모델 개발을 위한 시범운영 개요
2. 시범운영 가이드라인(안)
3. 기존 정책과의 차이점
'교육정책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럽 2016년 11월 4주 자료와 2024 12월 2주 자료 비교분석 (1) | 2024.12.23 |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 2주기 주요 결과 (0) | 2024.12.11 |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도입 로드맵 조정 보도자료 (1) | 2024.11.29 |
주요 OECD국 청소년(15-19세)과 노인(65세 이상) 자살률을 비교 (1) | 2024.11.29 |
경기도 초등학령인구 추계 분석 (2025-2050) (0) | 2024.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