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정책자료

경기도 초등학령인구 추계 분석 (2025-2050)

by 조은아빠9 2024. 11. 28.
728x90

  1. 주요 변화 시점구간변화율특징 
    2025-2030 -28.1% 급격한 감소 구간
    2030-2035 -13.3% 감소세 완화
    2035-2040 17.1% 완만한 증가세
    2040-2045 6.4% 정체기
    2045-2050 -5.8% 감소 재개
  2. 단기 전망 (2025-2030)
  • 모든 연령대에서 급격한 감소세
  • 특히 6세의 경우 25% 이상 감소 예상
  • 가장 큰 폭의 감소가 예상되는 시기
  1. 중기 전망 (2030-2040)
  • 2032년경 감소세가 둔화되기 시작
  • 2035년 이후 점진적인 회복세
  • 연령별로 다른 회복 속도를 보임
  1. 장기 전망 (2040-2050)
  • 2040년대 초반까지 완만한 증가세
  • 2045년 이후 다시 감소세로 전환
  • 전반적으로 2025년 대비 낮은 수준 유지
  1. 특이사항
  • 2032-2033년이 대부분 연령대의 최저점
  • 연령별로 2-3년의 시차를 두고 변화가 전파됨
  • 2040년대의 일시적 회복 후 재감소 예상

이러한 추계를 고려할 때, 다음과 같은 정책적 고려가 필요해 보입니다:

  1. 단기적으로는 급격한 학령인구 감소에 대한 대응책 마련
  2. 2030년대 초반의 최저점에 대비한 학교 운영 계획 수립
  3. 2035년 이후의 완만한 회복기에 대비한 탄력적 운영 방안 준비
  4. 지역별 차이를 고려한 맞춤형 대응 전략 수립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