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학교 운영 효율성 분석
### 고위험 지역 (6세 비율 5% 미만) 교육 인프라 현황
| 시도 | 행정구역 | 학교 수 | 학교당 학생 수 | 학급당 학생 수 | 교원 1인당 학생 수 |
|------|----------|----------|----------------|----------------|-------------------|
| 경남 | 합천군 | 17 | 47 | 7.9 | 4.0 |
| 전북 | 순창군 | 15 | 53 | 8.2 | 4.3 |
| 경남 | 의령군 | 12 | 49 | 8.0 | 4.3 |
| 전남 | 구례군 | 10 | 72 | 10.1 | 4.9 |
| 전북 | 진안군 | 13 | 50 | 7.8 | 4.1 |
| 전북 | 장수군 | 8 | 77 | 9.5 | 4.9 |
| 경북 | 울릉군 | 4 | 52 | 9.5 | 4.8 |
| 전남 | 신안군 | 19 | 35 | 6.2 | 2.9 |
| 부산 | 금정구 | 19 | 386 | 21.0 | 12.5 |
| 부산 | 동구 | 6 | 406 | 20.5 | 13.0 |
| 부산 | 수영구 | 10 | 589 | 22.0 | 14.1 |
## 2. 주요 발견점
### A. 도시-농촌 격차
1. **도시 지역 (부산)**
- 학교당 학생 수: 386~589명
- 학급당 학생 수: 20.5~22.0명
- 교원 1인당 학생 수: 12.5~14.1명
2. **농어촌 지역**
- 학교당 학생 수: 35~77명
- 학급당 학생 수: 6.2~10.1명
- 교원 1인당 학생 수: 2.9~4.9명
### B. 교육 인프라 활용도
1. **과소 활용 지역**
- 신안군: 학교당 35명, 교원 1인당 2.9명
- 합천군: 학교당 47명, 교원 1인당 4.0명
- 의령군: 학교당 49명, 교원 1인당 4.3명
2. **상대적 효율 지역**
- 장수군: 학교당 77명 (농촌 중 최고)
- 구례군: 학교당 72명
- 수영구: 학교당 589명 (도시 중 최고)
## 3. 위험 요인 분석
### A. 구조적 위험
1. **규모의 비효율**
- 교원 1인당 학생 수 5명 미만인 지역 다수
- 학교당 학생 수 50명 미만 지역 증가
- 학급당 학생 수 8명 미만 지역 존재
2. **지리적 제약**
- 도서 지역 (울릉군, 신안군)
- 산간 지역 (장수군, 구례군)
- 접경 지역 존재
### B. 운영상 위험
1. **교육의 질**
- 소규모 학급으로 인한 교육 활동 제한
- 교과 전담 교사 배치 어려움
- 학생 간 상호작용 부족
2. **재정 효율성**
- 높은 학생당 교육비
- 시설 유지비용 부담
- 프로그램 운영의 어려움
## 4. 정책 제언
### A. 단기 대책
1. **학교 운영 효율화**
- 통합 운영학교 확대
- 교원 순환 근무제 강화
- 공동 교육과정 운영
2. **교육 프로그램 혁신**
- 소규모 학교 특화 프로그램 개발
- 원격 교육 인프라 구축
- 복식학급 운영 모델 개선
### B. 중장기 대책
1. **인프라 재구조화**
- 학교 규모의 적정화
- 지역 거점학교 육성
- 학교 간 네트워크 구축
2. **지역 특성화**
- 도서·산간 지역 특화 모델
- 통학 구역 유연화
- 학교-지역사회 연계 강화
이 분석은 교육 인프라 데이터를 통해 고위험 지역의 구조적 문제를 더 명확히 보여줍니다. 특히 교원 1인당 학생 수와 학교당 학생 수의 극심한 지역 간 격차는 향후 교육 정책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카테고리 없음
교육 인프라 및 학생 수 감소 위험도 종합 분석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