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OECD, 윤석열 정부신뢰도 12%하락 보고서 발간]

by 조은아빠9 2024. 8. 25.
728x90

국가신뢰도 한국 OECD보고서.pdf
0.52MB

 

OECD의 'OECD Survey on Drivers of Trust in Public Institutions 2024 Results - Country Notes: Korea(2024.7.21)'에 의하면 정부신뢰도가 2021년 문재인 정부보다 2023년 윤석열 정부의 신뢰도가 많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를 얼마나 신뢰하십니까?'하는 질문에 2021년 문재인 정부 시절에는 '높음 또는 보통(6~10점)'에 응답율이 49%인데 반해 2023년 정부 신뢰한다는 응답은 37%에 불과하다. 12%가 감소했다. 이는 OECD 평균 39%보다 약간 낮다.
OECD 18개국의 평균 감소율 2.4% 포인트에 비해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2023년 조사에서 한국은 '높음 또는 보통(6~10점)' 37.15%, '중립(5점)' 18.07%, "낮거나 불신" 44.30%로 정부를 불신한다는 응답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조사국 30개국 중 우리나라는 15위를 차지했다.

참고: '높음 또는 보통'은 0~10점 척도에서 0은 전혀 신뢰하지 않고 10은 완전히 신뢰하는 경우 중 "정부를 얼마나 신뢰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응답 옵션 6~10의 집계에 해당한다. 중립은 옵션 5에 해당하고 "낮거나 불신"에 답 옵션 0~4에 해당한다.

관련 기사가 있기는 한데 지난 정부보다 하락했다는 내용은 기사에서 뺐다. 단독기사를 낸 후 다른 기자들이 추가 기사를 낼만도 한데 다른 기사가 없다.
언론이 제 기능을 못하고 있다.
https://www.g-enews.com/article/Global-Biz/2024/07/2024071412110834669a1f309431_1

이 보고서에는 교육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도 있는데 교육시스템에 대한 경험이 있는 한국인의 45%는 만족한다고 답했다. 만족 응답 비율은 45%는 OECD 평균인 57%보다 낮다. 반면 의료의 경우 최근 의료 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는 한국인의 대다수(72%)가 의료 시스템에 만족한다고 답했다.
OECD 평균 52%에 비해 높은 수치이다.
정부가 정당한 목적으로만 개인 데이터를 사용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은 43%이다. 이는 OECD 평균(각각 67%, 52%)보다 낮은 수치이다.

학습데이터 수집을 좋아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자료출처:https://www.oecd.org/en/publications/oecd-survey-on-drivers-of-trust-in-public-institutions-2024-results-country-notes_a8004759-en/korea_ab1a95c7-en.html

*왜 언론은 이런 기사 안내는지 모르겠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