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K21 플러스 사업」최종 선정결과
08-16(금)조간보도자료(BK21플러스사업_선정결과_발표).hwp
교육부(장관 서남수)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은 ‘13.8.16일「BK21플러스(Brain Korea 21 Program for Leading Universities & Students)사업」중 미래기반창의인재양성형의 최종 선정결과를 발표하였다.
◦ 교육부는 과학기술, 인문사회 등 사업 전 분야에 걸쳐 전국 총 108개 대학에서 신청한 345개 사업단(대형)과 866개 사업팀(소형)에 대한 엄정한 심사를 통해 이 중 64개 대학 총 195개 사업단 및 280개 사업팀을 최종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 글로벌인재양성형에 신청한 23개 사업단은 8월말 해외동료평가(International Peer Review)를 추가로 거쳐 9월말 최종 선정결과를 발표할 예정임
□ ‘13년부터 ’19년까지 7년간 진행될 BK21 플러스사업은 매년 과학기술분야 1만 5,700명, 인문사회분야 2,800명 등 석박사급 창의인재 약 1만 8,500명을 지원함으로써 창조경제를 이끌어나갈 핵심 인재로 키워나가고,
◦ 대학원 교육 및 연구력의 획기적 제고를 통해 국내 우수대학들이 세계수준의 대학으로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토양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BK21 플러스사업의 선정과정 및 선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정과정]
□ 교육부는 선정평가시 제기될 수 있는 공정성 시비를 사전에 차단하고 보다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평가를 추진하기 위해 심사원칙을 투명성, 공정성, 질 관리에 두고 사업단(팀) 선정을 추진하였다.
◦ 특히, 사업총괄관리위원회와 선정평가실무위원회를 각각 구성․운영함으로써 심사패널 구성, 심사기준 마련 등 심사에 관한 중요사항에 대해 각계 각층의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추진하였다.
◦ 평가에는 총 104개 패널에 총 788명의 평가위원들이 참여하였다.
□ 선정심사는 요건심사, 사업계획서 심사(정성 및 정량평가), 사업단장 면접심사 등 다단계 심사절차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객관적이고 정밀한 심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 특히, 사업단(팀) 선정의 질 관리를 위하여 과락제를 도입(총점 300점의 60%(180점) 미만일 경우 과락처리)하여, 9개 사업단과 215개 사업팀이 과락에 의해 탈락 조치되는 등 선정 사업단에 대한 질 관리를 엄정하게 실시하였다.
[선정결과]
① 신청현황
□ 신청 접수 결과, 대학원 학부․학과 단위로 지원하는 과학기술분야 사업단(대형)에는 36개 대학에서 총 190개 사업단이 신청하여 1.5대1의 경쟁률이었으며, 교수 팀 단위로 지원하는 사업팀분야(소형)의 경우에는 108개 대학에서 866개 사업팀이 신청하여 높은 경쟁률(3.15대1)을 보였다.
② 선정결과
□ 과학기술분야에서는 총 144개 사업단(기초과학 39개, 응용 및 기타 중점 86개, 융복합 19개)이 선정되었으며, 연간 1,490억원의 지원을 통해 연간 약 1만 2,300명의 대학원 석박사과정 학생들이 안정적으로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 특히, 2단계 BK21사업에 비해 지역 우수대학원에 대한 지원 비중이 크게 확대*됨에 따라 수도권과 지방간 연구력의 격차가 해소되고, 지역 특화산업을 이끌어 나갈 창의인재를 육성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사업단(팀) 수 및 사업비 중 지역대학의 비율(미래기반창의인재양성형 전체)
구분 | 2단계 BK21 및 WCU | BK21 플러스 사업 | 비고 |
사업단(팀) 수 비중 | 35% | 약 44% | 9%p 상승 |
사업비 비중 | 24% | 약 35% | 10%p 상승 |
◦ 한편, 창조경제의 핵심인 학문간, 산업과 기술간 융합을 통해 신산업을 창출하는데 기여하게 될 융복합분야의 인력양성에 연간 약 107억원을 지원하게 될 예정이다.
분 야 | 전 국 | 지 역 | ||||
사업단수 | 대학명(가나다순) | 사업단수 | 대학명(가나다순) | |||
기초 과학 | 물리 | 6 | 고려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포항공대, 한국과기원 | 3 | 경북대, 울산대, 전남대 | |
생물 | 7 | 고려대, 광주과기원, 서울대, 연세대, 중앙대, 포항공대, 한국과기원 | 3 | 경북대, 부산대, 충남대 | ||
화학 | 6 | 고려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 포항공대 | 3 | 경북대, 부산대, 전남대 | ||
수학 | 4 | 서울대, 성균관대, 포항공대, 한국과기원 | 2 | 경북대, 부산대 | ||
지구과학 | 3 | 고려대, 서울대, 연세대 | 2 | 부산대, 충남대 | ||
소 계 | 26 |
| 13 |
| ||
응용과학 | 정보기술 | 9 | 경희대(컴퓨터), 고려대(전기전자), 서울대(전), 성균관대(전), 연세대(전), 연세대(컴), 포항공대(컴), 한국과기원(전), 한양대(전) | 7 | 경북대(전), 경북대(컴), 부산대(컴), 울산대(전), 전남대(전), 전북대(전), 충북대(전) | |
기계 | 6 | 고려대, 서울대, 성균관대, 인하대, 포항공대, 한국과기원 | 4 | 경북대, 경상대, 부산대, 전남대 | ||
화공 | 6 | 고려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포항공대, 한국과기원 | 4 | 경북대, 부산대, 영남대, 전북대 | ||
재료 | 6 | 고려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포항공대, 한국과기원 | 3 | 부산대, 전남대, 충남대 | ||
건설 | 4 | 고려대, 연세대, 한국과기원, 한양대 | 2 | 경북대, 부산대 | ||
응용생명 | 약학/ 수의학 | 4 | 서울대(수의학), 서울대(약학), 성균관대(약학), 이화여대(약학) | 3 | 충남대(약학), 충북대(수의학), 충북대(약학) | |
농생명 등 | 4 | 건국대(생물공학), 경희대(농학), 고려대(생물학), 서울대(농학) | 3 | 경북대(농학), 경상대(농학), 충북대(식품과학) | ||
기초 의․치․ 한의학 | 7 | 고려대(의학), 경희대(한의학), 서울대(의학), 서울대(치의학), 성균관대(의학), 연세대(의학), 연세대(치의학) | 7 | 건국대 GLOCAL(의학), 경북대(의학), 경북대(치의학), 부산대(의학), 전남대(의학), 전북대(의학), 한림대(의학), | ||
소 계 | 46 |
| 33 |
| ||
기타중점 | 5 | 고려대(정보보호), 고려대(환경공학), 광주과기원(환경공학), 서울대(산업공학), 서울대(조선공학) | 2 | 부산대(조선공학), 연세대원주(환경공학) | ||
융 복합 | 과기융복합1 | 5 | 경희대, 고려대, 서울대, 아주대, 한국과학기술원 | 2 | 부경대, 전남대 | |
과기융복합2 | 4 | 서울대, 아주대, 인하대, 한양대 ERICA | 2 | 전북대, 충북대 | ||
과기융복합3 | 3 | 경희대, 성균관대, 한국과기원 | 3 | 부산대, 인제대, 제주대 | ||
소 계 | 12 |
| 7 |
| ||
계 | 89 |
| 55 |
|
<과학기술분야 선정결과(과기융복합 포함)>
□ 인문사회분야는 총 51개 사업단을 선정하였으며, 매년 약 1,800여명의 대학원생 및 신진연구인력 육성에 연간 250억원을 지원하게 된다.
◦ 아울러, 지역 단위의 인문사회분야에 18개 사업단을 선정하여 매년 500여명의 연구 인력을 지원할 예정이다.
패널 | 전국 | 지역 | ||
사업단수 | 대학명(가나다순) | 사업단수 | 대학명(가나다순) | |
한국어와 문학 | 2 | 고려대, 연세대 | 2 | 경북대, 전남대 |
외국어와 문학 | 4 | 고려대(중문), 연세대(영문), 중앙대(영문), 한국외대(중문) | 2 | 부산대(통번역), 전북대(중문) |
역사/철학/종교 | 3 | 고려대(역사), 성균관대(역사), 성균관대(철학) | 2 | 경북대(역사), 전남대(철학) |
법/정치/행정 | 3 | 고려대(정치외교), 서울대(행정), 연세대(행정) | 1 | 동아대(법학) |
경제/무역 | 2 | 고려대, 서울대 | 1 | 부산대 |
경영 | 3 | 고려대, 성균관대, 연세대 | 1 | 경북대 |
교육 | 2 | 고려대, 서울대 | 2 | 경북대, 부산대 |
사회/인류/심리 | 3 | 고려대(심리), 연세대(사회), 연세대(심리) | 2 | 전북대(인류), 충북대(심리) |
복지/신방 | 3 | 성균관대(신방), 연세대(복지), 이화여대(복지) | 1 | 대구대(복지) |
관광/지리/ 지역개발/체육 | 2 | 경희대(관광), 서울대(지리) | 1 | 제주대(관광) |
디자인/영상 | 2 | 중앙대, 한국과학기술원 | 1 | 인제대 |
인사융복합1 | 2 | 성균관대(동아시아학), 성균관대(예술) | 1 | 전북대 |
인사융복합2 | 2 | 고려대(보건과학), 고려대(지역개발) | 1 | 전남대 |
계 | 33 |
| 18 |
|
<인문사회분야 선정결과(인문사회융복합 포함)>
□ 소규모 팀단위 지원사업인 사업팀분야(소형)의 경우에는 과학기술분야에 208팀, 인문사회분야 72팀 등 총 280개 사업팀을 선정하였으며, 4,300여명의 대학원생 및 신진연구인력 지원에 연간 550억원이 투입된다.
<사업팀 선정결과>
분 야 | 전 국 | 지 역 | |||
사업팀수 | 대학명(가나다순) | 사업팀수 | 대학명(가나다순) | ||
기초 과학 | 물리 | 5 | 경희대(2), 광운대, 동국대, 이화여대 | 2 | 고려대세종, 부경대 |
생물 | 7 | 세종대, 울산과기대, 인하대, 차의과학대(2), 한양대(2) | 6 | 강원대, 공주대, 전남대, 조선대, 충북대, 한림대 | |
화학 | 4 | 경희대, 국민대, 서강대, 중앙대 | 6 | 부경대, 부산대, 울산대, 창원대, 충북대, 한남대 | |
수학 | 5 | 고려대, 서강대, 이화여대(2), 인하대 | 2 | 부경대, 충남대 | |
지구과학 | 1 | 한양대 ERICA | 2 | 경북대, 전남대 | |
소 계 | 22 |
| 18 |
| |
응용과학 | 전자/정보통신 | 10 | 경희대(2), 광운대(2), 광주과기원(2), 국민대, 서강대(2), 한양대 | 6 | 고려대세종, 동아대, 부경대, 연세대원주, 영남대, 호서대 |
컴퓨터학 | 12 | 고려대, 건국대, 단국대, 동국대, 서강대, 세종대, 아주대(2), 인하대, 중앙대, 한양대, 한양대 ERICA | 5 | 고려대세종, 경상대, 동서대, 영남대, 조선대 | |
전기/제어계측 | 4 | 한양대(2), 한양대 ERICA(2) | 5 | 경성대, 영남대, 전남대, 전북대, 조선대 | |
기계 | 5 | 건국대, 경희대, 울산과기대, 한국항공대, 한양대 | 8 | 강원대, 고려대세종, 동아대, 부산대, 안동대, 울산대, 인제대, 한국해양대 | |
화공 | 6 | 건국대, 경희대, 단국대, 인하대, 중앙대, 한양대ERICA | 5 | 울산대, 전남대, 전북대, 충남대, 한남대 | |
재료 | 4 | 경희대, 세종대, 인하대, 한양대ERICA | 3 | 공주대, 영남대, 전북대 | |
건설 | 8 | 경희대(2), 서울대, 성균관대, 세종대(2), 연세대, 홍익대 | 7 | 공주대, 군산대, 부경대, 전남대, 전북대, 충남대(2) | |
환경/자원/원자력 | 5 | 경희대(2), 명지대, 세종대, 포항공대 | 4 | 연세대원주, 울산대, 전남대, 전북대 | |
식품과학 | 5 | 동국대, 세종대, 연세대, 이화여대(2) | 6 | 건국대GLOCAL, 경북대(2), 전북대, 한남대, 한림대 | |
응용생명 | 7 | 가톨릭대, 서울대(2), 성균관대, 울산과기대, 전남대, 한양대 | 10 | 강원대, 경북대, 고려대세종, 대구대, 안동대, 영남대, 전남대, 제주대(3) | |
수의/축산 | 3 | 건국대(3) | 5 | 단국대천안, 전북대(2), 충남대(2) | |
간호/생활 | 1 | 연세대 | 1 | 전남대 | |
약학 | 4 | 가톨릭대, 덕성여대, 동국대, 한양대ERICA | 4 | 대구가톨릭대, 부산대(2), 조선대 | |
의치한 | 1 | 중앙대 | 7 | 강원대(2), 대구한의대, 연세대 원주, 원광대, 전북대, 제주대 | |
산업공학 | 2 | 고려대, 아주대 | 1 | 부산대 | |
소 계 | 77 |
| 77 |
| |
인문사회 | 한국어와 언어학 | 2 | 동국대, 서울대 | 2 | 부산대, 조선대 |
서양언어와 문학 | 3 | 건국대, 고려대, 서울대 | 1 | 한남대 | |
동양언어와 문학 | 1 | 한양대 ERICA | 1 | 단국대 천안 | |
역사/철학/종교 | 3 | 경희대(철학), 서강대(철학), 이화여대(역사) | 3 | 경북대(철학), 안동대(역사), 연세대원주(역사) | |
법/정책/행정 | 2 | 서울대(정책학), 성균관대(법학) | 1 | 연세대 원주(행정학) | |
정치외교 | 2 | 서강대, 이화여대 | 1 | 경북대 | |
경제 | 1 | 고려대 | 2 | 전남대, 충북대 | |
무역 | 1 | 중앙대 | 2 | 부산대, 충남대 | |
경영 | 3 | 경희대, 국민대, 한양대 ERICA | 4 | 경상대, 동아대, 조선대, 충북대 | |
교육 | 3 | 이화여대(교육공학), 이화여대(언어병리학), 중앙대 | 4 | 공주대, 대구대, 부산대(유아), 부산대(특수) | |
사회/간호/심리 | 2 | 중앙대(사회), 중앙대(심리) | 2 | 계명대(사회), 충남대(심리) | |
복지/신방 | 2 | 서울대(사회복지), 연세대(신방) | 2 | 대구대(사회복지), 한림대(사회복지) | |
관광/지리/ 지역개발 | 1 | 서울대(지역개발) | 3 | 경상대(지역개발), 동아대(관광), 부산대(관광컨벤션) | |
예술/체육 | 2 | 서울대, 성균관대 | 1 | 부산대 | |
아동/소비자/ 문헌정보 | 2 | 성균관대, 연세대 | 1 | 계명대 | |
디자인/영상 | 3 | 국민대(2), 한양대 | 2 | 동서대, 부산대 | |
소계 | 33 |
| 32 |
| |
융복합 | 과기융복합1 | 2 | 서울대(바이오엔지니어링), 서울대(환경보건) | 3 | 건국대 GLOCAL, 경상대, 전북대 |
과기융복합2 | 1 | 인하대 | 1 | 전남대 | |
과기융복합3 | 1 | 세종대 | 1 | 부경대 | |
과기융복합4 | 1 | 한국과학기술원 | 1 | 전북대 | |
과기융복합5 | 2 | 서울대(2) | 1 | 충북대 | |
인사융복합1 | 1 | 이화여대 | 1 | 전남대 | |
인사융복합2 | 2 | 서울시립대, 인하대 | 1 | 한림대 | |
인사융복합3 | 2 | 중앙대, 한국과학기술원 | - | - | |
소계 | 12 |
| 9 |
| |
계 | 144 |
| 136 |
|
[기대효과]
① 창조경제를 이끌 핵심분야의 고급 전문인력을 연간 1만 8,500명 이상 육성
◦ 매년 약 2,500억원이 지원되는 BK21 플러스사업을 통해 연간 1만 6,800명 이상(과학기술분야 14,300명, 인문사회분야 2,500명)의 대학원생을 집중 지원하게 되며,
- 박사후과정생, 계약교수 등 연간 약 1,700명의 신진연구인력도 지원을 받게 된다.
<BK21 플러스사업 인력양성 계획> ▪기초과학분야 : 연간 3,244명(신진연구인력 336명) ▪응용과학분야 : 연간 11,347명(신진연구인력 992명) ▪인문사회분야 : 연간 2,455명(신진연구인력 224명) ▪융복합분야 : 연간 1,518명(신진연구인력 137명) |
◦ 또한, 2단계 BK21 사업에 비해 대학원생 지원비를 상향 조정함으로써 대학원생들이 마음 놓고 연구에 몰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였다.
※ 석사 월50만원→월60만원, 박사 월90만원→월100만원,
신진연구자 월200만원→월250만원
② 지방 대학원에 대한 지원 강화로 지역산업을 이끌 첨단 기술인력 양성
◦ 기존 BK21 및 WCU사업에 비해 지방대학에 대한 지원비중을 약 24%에서 35%로 크게 확대함으로써 지역대학에 73개 사업단, 136개 사업팀이 지원될 예정이다.
- 지역대학의 경우, 과학기술분야 연간 4,340명, 인문사회분야 연간 880명, 융복합분야 연간 380명이 지원을 받게 되며, 이로써 수도권과 지역의 연구 경쟁력 격차도 점차 해소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 특히, BK21 플러스사업 선정결과 선정 사업단과 지역별 특화산업이 적절히 연계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 이를 통해 지역산업을 이끌 첨단 기술인력이 양성되고, 지방대학이 지역산업의 첨병역할을 할 수 있도록 성장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③ 산학협력을 통한 현장밀착형 석박사급 인재 양성
◦ 그동안 2단계 BK21사업을 통해 마련된 대학원 수준의 산학협력 기반을 토대로 BK21 플러스사업에서는 이를 보다 실질화하여 현장밀착형 지식과 기술을 지원하고, 석박사급 고급 인재가 공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④ 연구중심대학으로서의 대학원 체제 구축
◦ 대학 차원의 체계적인 학사관리, 교육․연구여건 개선,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제도개선 추진 등을 통해 연구중심대학원으로서의 대학원 체제를 구축하고 교육․연구역량을 더욱 내실화하고자 하는 노력을 유도하였다.
◦ 또한, 연구실적의 양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도 함께 강조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논문의 IF(Impact Factor) 순위가 현재 30위(‘12)에서 향후 20위권으로 진입하는데 BK21 플러스사업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후관리 및 향후일정]
□ 교육부는 ‘13.9월 중 선정 대학과 협약을 체결하고, 대학별 협약사항 이행여부를 철저히 점검․평가해 나갈 계획이다.
◦ 이를 위해 우선 ’13.10~12월까지 선정 사업단에 대한 현장 실사를 실시할 계획이며,
◦ 당초 제출한 사업계획서에 중대한 허위사실이 나타날 경우, 사업단(팀) 선정 취소 등의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 또한, 교육부는 ‘15년에 전면 재평가방식의 중간평가를 실시하여, 성과가 미흡한 사업단을 반드시 탈락시키고, 공모경쟁방식에 의한 재선정과정을 거쳐 ’16년 지원 사업단을 새로이 확정할 계획이다.
◦ 이를 위해 향후 발표할 대학원 질 개선방안과 연계하여 평가지표 등을 ‘14년 상반기 중 발표하고, 대학들이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대학원 및 사업단 질 관리를 더욱 철저히 하도록 할 계획이다.
◦ 또한, 연차평가 대신 컨설팅 중심의 연차점검을 실시함으로써 사업단이 중장기적 비전을 가지고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를 통해 연구 성과의 질을 보다 높일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 한편, BK21 플러스사업의 세부유형 중 하나인 글로벌인재양성형은 8월말 해외동료평가를 거쳐 9월중에 최종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며,
- 특화전문인재양성형은 ‘13.8.20일 사업 공고를 실시하고, 신청서를 접수(’13.8.20~9.23)받은 후, 선정평가를 거쳐 9월말 최종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 특화전문인재양성형 사업 공고 등 자세한 사항은 BK21 플러스사업 누리집(http://bkplus.nrf.re.kr)을 통해 안내할 예정임
붙임 : 1. BK21 플러스사업 개요
2. BK21 플러스사업 주요 대학 지원 현황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교육부 대학재정지원과 안주란서기관(☎ 02-2100-6613), 한국연구재단 정혁 연구원(☎ 042-869-6449)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붙임 1]
BK21 플러스사업 개요
□ 기본방향
◦ 창조경제를 이끌어갈 “석박사급 창의인재” 양성
◦ 연구중심대학 기반강화 및 지역대학원의 교육․연구역량 강화
□ 사업개요(안)
◦ 사업기간 : 2013~2019년 (7년, 3+4)
※ 단, 2년간 지원 후 대학원 질 개선방안과 연계하여 ‘15년 기존 사업단과 신규진입 사업단의 전면 재평가를 통해 '16년 사업단 재선정
◦ 지원규모 : ‘13년 2,526억원
구분 | 예산 비중(안) | 사업단(팀) 수 | ||
세부 사업 유형 | 글로벌 인재양성형 | 전 국 | 112억 | 14개 내외 |
지 역 | 48억 | 6개 내외 | ||
소 계 | 160억 | 20개내외 | ||
특화전문인재양성 | 전 국 | 20억 | 3개 내외 | |
지 역 | 30억 | 5개 내외 | ||
소 계 | 50억 | 8개 내외 | ||
미래기반 창의인재양성 | 전 국 | 1,489억 | 266개 | |
지 역 | 788억 | 209개 | ||
소 계 | 2,277억 | 475개 | ||
사업평가관리비 | 39억 | - | ||
합 계 | 2,526억 | 500개 내외 |
◦ 사업유형
- 글로벌인재양성형 : 융합분야 중심 대학원 국제협력강화 등을 통한 “연구경쟁력 강화” 유도
- 특화전문인재양성형 : 특화분야 “고급 실용 전문인력 양성” 지원
- 미래기반창의인재양성형 : 학문 전분야 최우수 대학원 육성 및 대학원생 연구장학금 지원
◦ 지원내용
- 대학원생 연구장학금, 신진연구인력 인건비, 국제화 경비, 사업단 운영비 등
※ 석사 월60만원, 박사 월100만원, 신진연구자 월250만원
[붙임 2] 주요 대학 지원 현황
연번 | 대학명 | 선정결과 | 사업비 지원액 (백만원) | ||||
과학 기술 | 인문 사회 | 융복합 | 사업팀 | 합계 | |||
1 | 서울대학교 | 16 | 4 | 2 | 13 | 35 | 38,534 |
2 | 고려대학교 | 13 | 8 | 3 | 5 | 29 | 22,300 |
3 | 연세대학교 | 11 | 7 |
| 5 | 23 | 21,111 |
4 | 부산대학교 | 11 | 3 | 1 | 12 | 27 | 16,990 |
5 | 성균관대학교 | 9 | 4 | 3 | 5 | 21 | 15,271 |
6 | 경북대학교 | 12 | 4 |
| 6 | 22 | 13,690 |
7 | 포항공과대학교 | 8 |
|
| 1 | 9 | 8,378 |
8 | 경희대학교 | 3 | 1 | 2 | 14 | 20 | 7,119 |
9 | 전남대학교 | 6 | 2 | 2 | 12 | 22 | 7,077 |
10 | 한국과학기술원 | 8 | 1 | 2 | 2 | 13 | 6,531 |
11 | 전북대학교 | 3 | 2 | 2 | 11 | 18 | 6,208 |
12 | 충북대학교 | 4 | 1 | 1 | 5 | 11 | 5,880 |
13 | 한양대학교 | 2 |
|
| 8 | 10 | 5,308 |
14 | 충남대학교 | 4 |
|
| 8 | 12 | 3,951 |
15 | 이화여자대학교 | 2 | 1 |
| 10 | 13 | 3,810 |
16 | 경상대학교 | 2 |
|
| 4 | 6 | 3,469 |
17 | 중앙대학교 | 1 | 2 |
| 9 | 12 | 3,002 |
18 | 인하대학교 | 1 |
| 1 | 7 | 9 | 2,946 |
19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
|
| 1 | 10 | 11 | 2,778 |
20 | 아주대학교 |
|
| 2 | 3 | 5 | 2,469 |
21 | 울산대학교 | 2 |
|
| 4 | 6 | 2,460 |
22 | 건국대학교 | 1 |
|
| 7 | 8 | 2,106 |
23 | 서강대학교 |
|
|
| 7 | 7 | 1,675 |
24 | 영남대학교 | 1 |
|
| 5 | 6 | 1,641 |
25 | 제주대학교 |
| 1 | 1 | 4 | 6 | 1,504 |
26 | 부경대학교 |
|
| 1 | 6 | 7 | 1,468 |
27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 1 |
|
| 5 | 6 | 1,351 |
28 | 한림대학교 | 1 |
|
| 4 | 5 | 1,226 |
29 | 건국대학교 GLOCAL캠퍼스 | 1 |
|
| 2 | 3 | 1,162 |
30 | 조선대학교 |
|
|
| 6 | 6 | 1,122 |
31 | 동아대학교 |
| 1 |
| 4 | 5 | 1,108 |
32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
|
|
| 5 | 5 | 1,033 |
33 | 공주대학교 |
|
|
| 4 | 4 | 1,015 |
34 | 강원대학교 |
|
|
| 5 | 5 | 917 |
35 | 대구대학교 |
| 1 |
| 3 | 4 | 914 |
36 | 동국대학교 |
|
|
| 5 | 5 | 843 |
37 | 광주과학기술원 | 2 |
|
| 2 | 4 | 810 |
38 | 안동대학교 |
|
|
| 3 | 3 | 696 |
39 | 인제대학교 |
| 1 | 1 | 1 | 3 | 651 |
40 | 광운대학교 |
|
|
| 3 | 3 | 6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