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정서행동 위기학생 지원에 관한 법률안

조은아빠9 2023. 12. 12. 16:09
728x90

정서행동 위기학생 지원을 위한 법률안.hwp
0.15MB

정서행동 위기학생 지원에 관한 법률안

(000의원 대표발의)

 

의 안
번 호


발의연월일 : 2023. . .
발 의 자 : 000 의원
찬 성 자 :






 

제안이유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다양한 정서행동 위기학생을 만난다. 한 교원단체의 조사에 따르면 가장 많은 위기학생 유형은 ADHD 증상(79.6%)이라고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제공하는 보건의료빅데이터 개방시스템 자료를 살펴본 결과 지난해 ADHD환자 중 5~19세 소아청소년 환자는 71469명으로 20206299명 대비 18.5%가 증가했다. 201749501명과 비교하면 44.4%가 증가한 것이다. 이 숫자는 같은 연령 국민의 1.03%ADHD환자로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적이 있다는 것이다. 2016년 세계보건기구 발표에 따르면 소아청소년 ADHD의 유병률은 5~7%이다. 우리나라의 ADHD소아청소년 환자 비율과 국제 통계를 비교해 보면 4~8%ADHD소아청소년들이 전문적인 의학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교에서 ADHD소아청소년들의 부적응 행동이 나타나고 있다.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에 따르면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품행장애 유병률은 평균 4%. 세계보건기구(WHO)는 품행장애(파괴적이거나 도전적인 행동의 증상 포함)10~14세의 3.6%15~19세의 2.4%에서 발생한다고 홈페이지를 통해 밝히고 있다. 2022년 기준 초··고 학생 수는 약 528만명이다. 유병률 4%를 적용해 보면 품행장애의 어려움을 갖고 있는 학생 수는 약 21만명으로 추정된다.

교실 안에 많은 갈등은 정서행동 위기학생으로 부터 시작된다. 교사들은 자신이 가진 전문성으로 도움을 줄 수 없는 학생들이 교실에 너무 많다. 학부모들은 자신의 아이가 개선되지 않거나 악화되는 원인을 교사들의 탓으로 쉽게 돌린다. 부모들의 많은 민원이 여기서 발생한다. 정서행동 위기학생을 위한 지원이 절실하다.

 

주요내용

. 이 법은 정서행동 위기학생을 지정하여 다양한 학교의 지원을 보장하여 미래사회를 위한 인재로 자라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안 제1).

. 교육부장관과 교육감이 협의하여 5년마다 정서행동 위기학생지원 종합계획을 수립하기로 함(51)

. 교육부장관 소속 정서행동위기학생지원위원회 설치하기로 함.(안 제6조 제1).

. 학교의 장은 정서행동 위기학생 진단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안 제71).

. 학교의 장은 정서행동 위기학생 선정에 있어서 보호자의 동의를 받아야 .(안 제10조제1).

. 정서행동 지원전문 교사 자격증 신설.(안 제10조 제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