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대상자 교육 여건, 데이터로 개선한다
행정안전부 |
보 도 자 료 |
보도 일시 | 2022. 4. 19.(화) 12:00 |
담당 부서 | 행정안전부 | 책임자 | 과 장 | 전한성 | (044-205-2281) |
<총괄> | 통합데이터분석센터 | 담당자 | 사무관 | 심규석 | (044-205-2286) |
<분석협업> | 교육부 | 책임자 | 과 장 | 김선미 | (044-203-6569) |
특수교육정책과 | 담당자 | 사무관 | 진창원 | (044-205-6563) |
특수교육대상자 교육 여건, 데이터로 개선한다 |
- 데이터 기반 수요 예측 결과를 특수교육정책 수립에 활용 - |
□ 행정안전부(장관 전해철)는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함께 지속 증가하고 있는 특수교육* 대상자 수를 데이터 기반으로 예측하고 특수교육 관련 정책 수립에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 및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교육
□ 이번 데이터 분석은 행정안전부와 교육부가 협업하여 진행했다.
○ 교육부는 17개 시도교육청과 협조하여 장애영역별 학생 수, 특수교사 현황 등의 데이터를 제공하였고, 행정안전부는 교육부 데이터와 특수교육대상자 교통비 지원 규모 및 금액, 편의시설 현황 등을 결합하여 분석을 수행했다.
□ 특수교육 현황 분석 결과(2011년~2021년), 학령인구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특수교육대상자는 지속 증가(2011년 82,665명 ⟶ 2021년 98,154명, +18.7%)하였다.
○ 특히 유·초등학교(123%, 27%)와 발달지체, 자폐성장애(176%, 63%) 등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단순 통계 기반의 기존 수요예측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데이터 기반의 특수교육 대상자 수 예측모델을 개발했다.
○ 이번에 개발한 예측모델은 지역·연령·장애영역 등으로 예측대상을 세분화하고 특수교육 관련 데이터와 다양한 외부 데이터를 결합하여 높은 예측 정확도를 확보하였다.
□ 2022년 특수교육 대상자 수를 예측한 결과, 전국 기준으로 전년 대비 1,483명(+1.5%)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 특수교육 지원정책 강화에 따른 교육여건 개선 및 특수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에 따른 수요 증가 등이 주요 요인으로 파악됐다.
○ 지역별로는 세종시(+7.7%), 경기도(+3.5%) 등 10개 지역은 증가, 부산시(-2.3%) 등 7개 지역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지역별 출생아 수 및 장애인 주차구역 비율 등 학습 여건에 따라 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교육부는 이번 분석결과를 특수교육정책 수립 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지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방안을 수립하고, 교육 여건을 적기에 개선함으로써 장애학생, 학부모, 교원 등 특수교육 현장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 행정안전부는 이번 분석 협업으로 장애학생의 특수교육 접근성과 교육 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교육당국에서 정책수립에 지속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 류혜숙 교육부 학생지원국장은 “데이터 기반 특수교육 수요 예측 모델 활용으로 교육 수요를 객관적으로 예측할 수 있게 되어 장애학생의 교육에 필요한 정책 과제를 발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박덕수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정책관은 “이번 분석은 데이터 기반으로 특수교육 수요를 예측하고 사회취약계층의 교육권 보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며, “행정안전부는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 행정이 모든 기관에 조기 정착할 수 있도록 데이터 활용 협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붙임 | 주요 분석결과 |
□ 연도별 특수교육 대상자 수 현황
□ 연도·연령대별 특수교육 대상자 현황
□ 장애영역별 특수교육 대상자 현황
□ 특수교육 수요 예측 영역
구분 | 단위 | 내용 |
시도교육청 (17개) |
장애영역 | 시각, 청각, 지적, 지체, 자폐성, 의사소통, 발달지체 등 (10영역) |
시설유형 | 특수학교, 일반학교_특수학급, 일반학교_일반학급 (3영역) | |
연령 | 유아 3개, 초등 6개, 중등 3개, 고등 3개 (15영역) | |
교육지원청 (177개) |
장애영역 | 지적+자폐 (1영역) |
연령 | 유아, 초등, 중등, 고등 (4영역) |
□ 2022년 지역(시도교육청)별 특수교육 대상자 수 예측 결과
구분 | 세종 | 경기 | 경북 | 광주 | 제주 | 인천 | 부산 | 대구 | 충북 | 충남 | 서울 | 대전 | 울산 | 전남 | 전북 | 경남 | 강원 | 전체 |
’21년 | 749 | 23,352 | 5,239 | 3,058 | 1,733 | 6,541 | 6,384 | 5,119 | 4,244 | 4,908 | 12,955 | 3,273 | 2,739 | 4,007 | 3,859 | 7,039 | 2,955 | 98,154 |
’22년 | 807 | 24,172 | 5,398 | 3,146 | 1,783 | 6,710 | 6,538 | 5,193 | 4,305 | 4,978 | 12,929 | 3,266 | 2,728 | 3,983 | 3,830 | 6,983 | 2,888 | 99,637 |
증감(%) | +7.7 | +3.5 | +3.0 | +2.9 | +2.9 | +2.6 | +2.4 | +1.5 | +1.4 | +1.4 | -0.2 | -0.2 | -0.4 | -0.6 | -0.8 | -0.8 | -2.3 | +1.5 |
※ 특수교육대상자 수요예측 결과는 외부 변인을 고려한 것으로, 실제 특수교육대상자 현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행정안전부 |
보 도 자 료 |
보도 일시 | 2022. 4. 19.(화) 12:00 |
담당 부서 | 행정안전부 | 책임자 | 과 장 | 전한성 | (044-205-2281) |
<총괄> | 통합데이터분석센터 | 담당자 | 사무관 | 심규석 | (044-205-2286) |
<분석협업> | 교육부 | 책임자 | 과 장 | 김선미 | (044-203-6569) |
특수교육정책과 | 담당자 | 사무관 | 진창원 | (044-205-6563) |
특수교육대상자 교육 여건, 데이터로 개선한다 |
- 데이터 기반 수요 예측 결과를 특수교육정책 수립에 활용 - |
□ 행정안전부(장관 전해철)는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함께 지속 증가하고 있는 특수교육* 대상자 수를 데이터 기반으로 예측하고 특수교육 관련 정책 수립에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 및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교육
□ 이번 데이터 분석은 행정안전부와 교육부가 협업하여 진행했다.
○ 교육부는 17개 시도교육청과 협조하여 장애영역별 학생 수, 특수교사 현황 등의 데이터를 제공하였고, 행정안전부는 교육부 데이터와 특수교육대상자 교통비 지원 규모 및 금액, 편의시설 현황 등을 결합하여 분석을 수행했다.
□ 특수교육 현황 분석 결과(2011년~2021년), 학령인구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특수교육대상자는 지속 증가(2011년 82,665명 ⟶ 2021년 98,154명, +18.7%)하였다.
○ 특히 유·초등학교(123%, 27%)와 발달지체, 자폐성장애(176%, 63%) 등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단순 통계 기반의 기존 수요예측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데이터 기반의 특수교육 대상자 수 예측모델을 개발했다.
○ 이번에 개발한 예측모델은 지역·연령·장애영역 등으로 예측대상을 세분화하고 특수교육 관련 데이터와 다양한 외부 데이터를 결합하여 높은 예측 정확도를 확보하였다.
□ 2022년 특수교육 대상자 수를 예측한 결과, 전국 기준으로 전년 대비 1,483명(+1.5%)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 특수교육 지원정책 강화에 따른 교육여건 개선 및 특수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에 따른 수요 증가 등이 주요 요인으로 파악됐다.
○ 지역별로는 세종시(+7.7%), 경기도(+3.5%) 등 10개 지역은 증가, 부산시(-2.3%) 등 7개 지역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지역별 출생아 수 및 장애인 주차구역 비율 등 학습 여건에 따라 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교육부는 이번 분석결과를 특수교육정책 수립 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지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방안을 수립하고, 교육 여건을 적기에 개선함으로써 장애학생, 학부모, 교원 등 특수교육 현장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 행정안전부는 이번 분석 협업으로 장애학생의 특수교육 접근성과 교육 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교육당국에서 정책수립에 지속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 류혜숙 교육부 학생지원국장은 “데이터 기반 특수교육 수요 예측 모델 활용으로 교육 수요를 객관적으로 예측할 수 있게 되어 장애학생의 교육에 필요한 정책 과제를 발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박덕수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정책관은 “이번 분석은 데이터 기반으로 특수교육 수요를 예측하고 사회취약계층의 교육권 보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며, “행정안전부는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 행정이 모든 기관에 조기 정착할 수 있도록 데이터 활용 협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붙임 | 주요 분석결과 |
□ 연도별 특수교육 대상자 수 현황
□ 연도·연령대별 특수교육 대상자 현황
□ 장애영역별 특수교육 대상자 현황
□ 특수교육 수요 예측 영역
구분 | 단위 | 내용 |
시도교육청 (17개) |
장애영역 | 시각, 청각, 지적, 지체, 자폐성, 의사소통, 발달지체 등 (10영역) |
시설유형 | 특수학교, 일반학교_특수학급, 일반학교_일반학급 (3영역) | |
연령 | 유아 3개, 초등 6개, 중등 3개, 고등 3개 (15영역) | |
교육지원청 (177개) |
장애영역 | 지적+자폐 (1영역) |
연령 | 유아, 초등, 중등, 고등 (4영역) |
□ 2022년 지역(시도교육청)별 특수교육 대상자 수 예측 결과
구분 | 세종 | 경기 | 경북 | 광주 | 제주 | 인천 | 부산 | 대구 | 충북 | 충남 | 서울 | 대전 | 울산 | 전남 | 전북 | 경남 | 강원 | 전체 |
’21년 | 749 | 23,352 | 5,239 | 3,058 | 1,733 | 6,541 | 6,384 | 5,119 | 4,244 | 4,908 | 12,955 | 3,273 | 2,739 | 4,007 | 3,859 | 7,039 | 2,955 | 98,154 |
’22년 | 807 | 24,172 | 5,398 | 3,146 | 1,783 | 6,710 | 6,538 | 5,193 | 4,305 | 4,978 | 12,929 | 3,266 | 2,728 | 3,983 | 3,830 | 6,983 | 2,888 | 99,637 |
증감(%) | +7.7 | +3.5 | +3.0 | +2.9 | +2.9 | +2.6 | +2.4 | +1.5 | +1.4 | +1.4 | -0.2 | -0.2 | -0.4 | -0.6 | -0.8 | -0.8 | -2.3 | +1.5 |
※ 특수교육대상자 수요예측 결과는 외부 변인을 고려한 것으로, 실제 특수교육대상자 현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행정안전부 |
보 도 자 료 |
보도 일시 | 2022. 4. 19.(화) 12:00 |
담당 부서 | 행정안전부 | 책임자 | 과 장 | 전한성 | (044-205-2281) |
<총괄> | 통합데이터분석센터 | 담당자 | 사무관 | 심규석 | (044-205-2286) |
<분석협업> | 교육부 | 책임자 | 과 장 | 김선미 | (044-203-6569) |
특수교육정책과 | 담당자 | 사무관 | 진창원 | (044-205-6563) |
특수교육대상자 교육 여건, 데이터로 개선한다 |
- 데이터 기반 수요 예측 결과를 특수교육정책 수립에 활용 - |
□ 행정안전부(장관 전해철)는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함께 지속 증가하고 있는 특수교육* 대상자 수를 데이터 기반으로 예측하고 특수교육 관련 정책 수립에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 및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교육
□ 이번 데이터 분석은 행정안전부와 교육부가 협업하여 진행했다.
○ 교육부는 17개 시도교육청과 협조하여 장애영역별 학생 수, 특수교사 현황 등의 데이터를 제공하였고, 행정안전부는 교육부 데이터와 특수교육대상자 교통비 지원 규모 및 금액, 편의시설 현황 등을 결합하여 분석을 수행했다.
□ 특수교육 현황 분석 결과(2011년~2021년), 학령인구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특수교육대상자는 지속 증가(2011년 82,665명 ⟶ 2021년 98,154명, +18.7%)하였다.
○ 특히 유·초등학교(123%, 27%)와 발달지체, 자폐성장애(176%, 63%) 등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단순 통계 기반의 기존 수요예측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데이터 기반의 특수교육 대상자 수 예측모델을 개발했다.
○ 이번에 개발한 예측모델은 지역·연령·장애영역 등으로 예측대상을 세분화하고 특수교육 관련 데이터와 다양한 외부 데이터를 결합하여 높은 예측 정확도를 확보하였다.
□ 2022년 특수교육 대상자 수를 예측한 결과, 전국 기준으로 전년 대비 1,483명(+1.5%)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 특수교육 지원정책 강화에 따른 교육여건 개선 및 특수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에 따른 수요 증가 등이 주요 요인으로 파악됐다.
○ 지역별로는 세종시(+7.7%), 경기도(+3.5%) 등 10개 지역은 증가, 부산시(-2.3%) 등 7개 지역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지역별 출생아 수 및 장애인 주차구역 비율 등 학습 여건에 따라 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교육부는 이번 분석결과를 특수교육정책 수립 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지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방안을 수립하고, 교육 여건을 적기에 개선함으로써 장애학생, 학부모, 교원 등 특수교육 현장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 행정안전부는 이번 분석 협업으로 장애학생의 특수교육 접근성과 교육 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교육당국에서 정책수립에 지속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 류혜숙 교육부 학생지원국장은 “데이터 기반 특수교육 수요 예측 모델 활용으로 교육 수요를 객관적으로 예측할 수 있게 되어 장애학생의 교육에 필요한 정책 과제를 발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박덕수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정책관은 “이번 분석은 데이터 기반으로 특수교육 수요를 예측하고 사회취약계층의 교육권 보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며, “행정안전부는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 행정이 모든 기관에 조기 정착할 수 있도록 데이터 활용 협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붙임 | 주요 분석결과 |
□ 연도별 특수교육 대상자 수 현황
□ 연도·연령대별 특수교육 대상자 현황
□ 장애영역별 특수교육 대상자 현황
□ 특수교육 수요 예측 영역
구분 | 단위 | 내용 |
시도교육청 (17개) |
장애영역 | 시각, 청각, 지적, 지체, 자폐성, 의사소통, 발달지체 등 (10영역) |
시설유형 | 특수학교, 일반학교_특수학급, 일반학교_일반학급 (3영역) | |
연령 | 유아 3개, 초등 6개, 중등 3개, 고등 3개 (15영역) | |
교육지원청 (177개) |
장애영역 | 지적+자폐 (1영역) |
연령 | 유아, 초등, 중등, 고등 (4영역) |
□ 2022년 지역(시도교육청)별 특수교육 대상자 수 예측 결과
구분 | 세종 | 경기 | 경북 | 광주 | 제주 | 인천 | 부산 | 대구 | 충북 | 충남 | 서울 | 대전 | 울산 | 전남 | 전북 | 경남 | 강원 | 전체 |
’21년 | 749 | 23,352 | 5,239 | 3,058 | 1,733 | 6,541 | 6,384 | 5,119 | 4,244 | 4,908 | 12,955 | 3,273 | 2,739 | 4,007 | 3,859 | 7,039 | 2,955 | 98,154 |
’22년 | 807 | 24,172 | 5,398 | 3,146 | 1,783 | 6,710 | 6,538 | 5,193 | 4,305 | 4,978 | 12,929 | 3,266 | 2,728 | 3,983 | 3,830 | 6,983 | 2,888 | 99,637 |
증감(%) | +7.7 | +3.5 | +3.0 | +2.9 | +2.9 | +2.6 | +2.4 | +1.5 | +1.4 | +1.4 | -0.2 | -0.2 | -0.4 | -0.6 | -0.8 | -0.8 | -2.3 | +1.5 |
※ 특수교육대상자 수요예측 결과는 외부 변인을 고려한 것으로, 실제 특수교육대상자 현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행정안전부 |
보 도 자 료 |
보도 일시 | 2022. 4. 19.(화) 12:00 |
담당 부서 | 행정안전부 | 책임자 | 과 장 | 전한성 | (044-205-2281) |
<총괄> | 통합데이터분석센터 | 담당자 | 사무관 | 심규석 | (044-205-2286) |
<분석협업> | 교육부 | 책임자 | 과 장 | 김선미 | (044-203-6569) |
특수교육정책과 | 담당자 | 사무관 | 진창원 | (044-205-6563) |
특수교육대상자 교육 여건, 데이터로 개선한다 |
- 데이터 기반 수요 예측 결과를 특수교육정책 수립에 활용 - |
□ 행정안전부(장관 전해철)는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함께 지속 증가하고 있는 특수교육* 대상자 수를 데이터 기반으로 예측하고 특수교육 관련 정책 수립에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 및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교육
□ 이번 데이터 분석은 행정안전부와 교육부가 협업하여 진행했다.
○ 교육부는 17개 시도교육청과 협조하여 장애영역별 학생 수, 특수교사 현황 등의 데이터를 제공하였고, 행정안전부는 교육부 데이터와 특수교육대상자 교통비 지원 규모 및 금액, 편의시설 현황 등을 결합하여 분석을 수행했다.
□ 특수교육 현황 분석 결과(2011년~2021년), 학령인구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특수교육대상자는 지속 증가(2011년 82,665명 ⟶ 2021년 98,154명, +18.7%)하였다.
○ 특히 유·초등학교(123%, 27%)와 발달지체, 자폐성장애(176%, 63%) 등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단순 통계 기반의 기존 수요예측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데이터 기반의 특수교육 대상자 수 예측모델을 개발했다.
○ 이번에 개발한 예측모델은 지역·연령·장애영역 등으로 예측대상을 세분화하고 특수교육 관련 데이터와 다양한 외부 데이터를 결합하여 높은 예측 정확도를 확보하였다.
□ 2022년 특수교육 대상자 수를 예측한 결과, 전국 기준으로 전년 대비 1,483명(+1.5%)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 특수교육 지원정책 강화에 따른 교육여건 개선 및 특수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에 따른 수요 증가 등이 주요 요인으로 파악됐다.
○ 지역별로는 세종시(+7.7%), 경기도(+3.5%) 등 10개 지역은 증가, 부산시(-2.3%) 등 7개 지역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지역별 출생아 수 및 장애인 주차구역 비율 등 학습 여건에 따라 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교육부는 이번 분석결과를 특수교육정책 수립 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지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방안을 수립하고, 교육 여건을 적기에 개선함으로써 장애학생, 학부모, 교원 등 특수교육 현장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 행정안전부는 이번 분석 협업으로 장애학생의 특수교육 접근성과 교육 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교육당국에서 정책수립에 지속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 류혜숙 교육부 학생지원국장은 “데이터 기반 특수교육 수요 예측 모델 활용으로 교육 수요를 객관적으로 예측할 수 있게 되어 장애학생의 교육에 필요한 정책 과제를 발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박덕수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정책관은 “이번 분석은 데이터 기반으로 특수교육 수요를 예측하고 사회취약계층의 교육권 보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며, “행정안전부는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 행정이 모든 기관에 조기 정착할 수 있도록 데이터 활용 협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붙임 | 주요 분석결과 |
□ 연도별 특수교육 대상자 수 현황
□ 연도·연령대별 특수교육 대상자 현황
□ 장애영역별 특수교육 대상자 현황
□ 특수교육 수요 예측 영역
구분 | 단위 | 내용 |
시도교육청 (17개) |
장애영역 | 시각, 청각, 지적, 지체, 자폐성, 의사소통, 발달지체 등 (10영역) |
시설유형 | 특수학교, 일반학교_특수학급, 일반학교_일반학급 (3영역) | |
연령 | 유아 3개, 초등 6개, 중등 3개, 고등 3개 (15영역) | |
교육지원청 (177개) |
장애영역 | 지적+자폐 (1영역) |
연령 | 유아, 초등, 중등, 고등 (4영역) |
□ 2022년 지역(시도교육청)별 특수교육 대상자 수 예측 결과
구분 | 세종 | 경기 | 경북 | 광주 | 제주 | 인천 | 부산 | 대구 | 충북 | 충남 | 서울 | 대전 | 울산 | 전남 | 전북 | 경남 | 강원 | 전체 |
’21년 | 749 | 23,352 | 5,239 | 3,058 | 1,733 | 6,541 | 6,384 | 5,119 | 4,244 | 4,908 | 12,955 | 3,273 | 2,739 | 4,007 | 3,859 | 7,039 | 2,955 | 98,154 |
’22년 | 807 | 24,172 | 5,398 | 3,146 | 1,783 | 6,710 | 6,538 | 5,193 | 4,305 | 4,978 | 12,929 | 3,266 | 2,728 | 3,983 | 3,830 | 6,983 | 2,888 | 99,637 |
증감(%) | +7.7 | +3.5 | +3.0 | +2.9 | +2.9 | +2.6 | +2.4 | +1.5 | +1.4 | +1.4 | -0.2 | -0.2 | -0.4 | -0.6 | -0.8 | -0.8 | -2.3 | +1.5 |
※ 특수교육대상자 수요예측 결과는 외부 변인을 고려한 것으로, 실제 특수교육대상자 현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