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정책자료

2013년도 학생 정서행동특성검사 결과

조은아빠9 2013. 9. 24. 08:50
728x90


09-23(월)석간보도자료(2013년도_학생_정서행동특성검사_결과).hwp

교육부(장관 서남수)정서․행동 발달상의 문제를 발견하고 악화하는 것을 사전 예방하기 위해 실시한 ‘학생 정서행동특성검사’2013년 결과를 밝혔다.

[ 조사 개요 ]

▪ 실시대상 : 초1․4학년, 중1학년, 고1학년 총 2,119,962명

▪ 방법 : NEIS(교육행정정보시스템)의 온라인검사 또는 서면검사

▪ 내용 : 우울, 불안, 친구관계, 스트레스 등 주요 정서․행동 문제 전반

기간 : 2013년 5월~ 2013년 7월

’13년 특성검사 결과, 교육지원청의 Wee센터와 시․군․구 보건소․정신건강증진센터 등에서 상담이 필요할 것으로 분류되는 ‘관심군’ 학생은 152,640명(7.2%)이며,

관심군 학생(152,640명) 중에서 자살생각 등 위험수준이 높아 우선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된 학생은 46,104명(2.2%)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검사실시

학생수(명)

관심군

우선관리

학생수(명)

비율(%)

학생수(명)

비율(%)

898,585

30,685

3.4

6,529

0.7

597,489

65,840

11.0

20,744

3.5

623,888

56,115

9.0

18,831

3.0

합계

2,119,962

152,640

7.2

46,104

2.2

※ 관심군 : 검사결과 기준점 이상으로 학교 내에서 지속 관리와 전문기관(병의원ㆍWee센터ㆍ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의뢰 등 2차 조치가 필요한 학생 포함

우선관리 : 관심군 중 긴급 조치를 요하는 학생 등 문제 심각성이 상대적으로 높아 전문기관에 우선의뢰가 필요한 학생

초・중・고 학생 중 사춘기 시기인 중학생이 정서적 어려움을 가장 많이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심군 : 중11.0%(65천명) > 고9.0%(56천명) > 초3.4%(30천명)

우선관리 : 중3.5%(20천명) > 고3.0%(18천명) > 초0.7%(6천명)

성별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관심군 비율이 약간 높게 나왔다.

※ 관심군 : 여학생 7.6%(77천명) > 남학생 6.8%(74천명)

 

역별 관심군은 제주(8.4%), 대전(8.3%), 강원(8.1%), 충남(8.1%)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 대구의 경우, 타 시・도와 비교하여 관심군의 비율(관심군 4.5%)이 낮게 나타나고 있는데, 대구는 ‘11년부터 지역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폭넓은 예방교육위기 학생에 대한 지원을 적극 실시하여 오고 있다.

2012년 대구는 지역 차원에서 생명존중교육 및 자살예방 캠페인 (대구생명의 전화)을 실시하였고, 경북대 의대․계명대의대․대구가톨릭대의대 등 31개 ․의원과 상호 협력하여 학생들의 치료를 돕고, 치료비를 지원 (1,900여명, 7억3천만원 지원)

교육부에 따르면, 17개 시․도 교육청은 특성검사 결과 정서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학생에 대해서 학교 내 상담을 실시하고, 추가적 상담과 치료가 필요한 학생에 대해서는 지역 내 전문기관(Wee센터ㆍ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연계되도록 지원 중이다.

예) 1학년 Y의 경우, 초등학교 입학 후 등교거부 양상이 심했는데, 정서행동특성검사 상 ADHD 경향을 보여, 어머니와의 상담 후 병원 치료를 하고 있음. 2학기 개학 이후 등교 거부가 많이 호전됨

 

□ 또한, 교육부는 복지부와 협업으로 ‘학생 정신건강증진 학교-지역협력 모델* 사업을 추진 중으로,

○ 학교에 학생정신건강을 자문해 주는 마음건강 의사제도 운영, 지역 사회 내 위기 학생 관리를 위한 전문가 사례 회의 등을 통해, 학교와 지역사회의 정신건강 전문 자원을 연계․협력하여 학생들에게 필요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학교 역량 강화를 꾀하고 있다.

‘13년 6개 교육청(대구, 광주, 세종, 충북, 전남, 제주)에서 구축ㆍ운영지원 중이며 연차적 모든 교육청 확대 추진 예정(‘13년도 예산 35억원)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교육부 학생건강지원과 노진영 사무관, 민혜영 연구사(☎ 02-2100-6877)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붙임1

 

13년 학생정서ㆍ행동특성검사 결과

구분

학교수

대상

학생수

실시학생수

관심군

우선관리

학생수

백분율

학생수

비율

학생수

비율

11,397

2,139,243

2,119,962

99.1

152,640

7.2

46,104

2.2

서울

1,303

365,404

362,954

99.3

28,073

7.7

8,828

2.4

부산

615

127,183

126,785

99.7

8,290

6.5

2,438

1.9

대구

433

108,705

108,559

99.9

4,852

4.5

1,222

1.1

인천

493

120,456

120,131

99.7

8,003

6.7

2,329

1.9

광주

303

75,504

75,241

99.7

5,400

7.2

1,558

2.1

대전

292

71,309

70,823

99.3

5,877

8.3

1,907

2.7

울산

233

53,457

53,236

99.6

3,342

6.3

966

1.8

세종

39

4,872

4,848

99.5

370

7.6

123

2.5

경기

2,230

553,989

543,981

98.2

40,859

7.5

11,861

2.2

강원

631

63,628

62,408

98.1

5,059

8.1

1,607

2.6

충북

468

67,203

66,836

99.5

4,910

7.3

1,555

2.3

충남

707

88,157

87,448

99.2

7,119

8.1

2,249

2.6

전북

751

81,815

81,272

99.3

5,831

7.2

1,827

2.2

전남

821

78,191

77,566

99.2

5,415

7.0

1,648

2.1

경북

944

105,530

104,961

99.5

7,142

6.8

2,126

2.0

경남

950

145,131

144,399

99.5

9,708

6.7

3,031

2.1

제주

184

28,709

28,514

99.3

2,390

8.4

829

2.9

 

※ 관심군 : 검사결과 기준점 이상으로 학교 내 지속관리 및 전문기관(병의원ㆍWee센터ㆍ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의뢰 등 2차 조치가 필요한 학생

※ 우선관리 : 관심군 학생 중 긴급 조치를 요하는 학생 등 문제 심각성이 상대적으로 높아 전문기관에 우선 의뢰가 필요한 학생

 

붙임2

 

학생정신건강 학교-지역협력 모델 구축․지원 사업 개요

 

추진배경

근 우울․불안 등 학생 정신건강 문제가 심각하나, 정부․지역․학교차원의 체계적 대응관리 체계 미흡

특히, 특성검사로 선별된 우선관리 학생에 대한 단위학교별 대응에 한계, 선관리학생 사례관리를 위한 학교-지역사회 전문자원의 활용․연계 필요

- 우수 모델을 개발하여 향후 17개 시․도에 확산

지원 개요

○ (지원기간) ‘13. 3 ~ ’14. 12 (2년간)

연차별 확대: ('13) 6개 지역 → (’14) 12개 지역 → (’15) 시도별 1개 지역 이상

○ (지원대상) 대구, 광주, 세종, 충북, 전남, 제주 6개 지역(55개교)

관련 인프라(국립병원․응급의료센터, 전문기관 등) 구축, 복지부 관련 사업과의 연계가 가능한 지역 우선 지원

○ (지원단위) 교육지원청 및 기초자치단체(시․군․구) 컨소시엄

○ (지원분야) 정신건강 학교모델 발굴․육성, 지역단위 학생자살 위기대응 시스템 구축

학교모델 구축

【관심군 관리】

관심군 학생 사례관리

학교의사 위촉

전문인력 추가배치

위기대응 시스템 구축

저소득층 치료비 지원

지역 시스템【우선관리 학생】

 

 

 

 

 

 

 

 

 

 

 

 

 

 

(병의원 및 응급실 등)

살시도자 응급처치, 우선관리학생 치료 등

 

 

 

 

 

 

 

 

 

 

 

 

연계협력

 

 

 

 

 

 

 

(전문기관 : 정신보건센터․Wee센터 등)

고위험군 사례관리

▪ 단위학교 컨설팅, 전문가 지원

▪ 학생․교원․학부모 예방교육 지원

학생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운영․지원 등

 

복지기관 등

복지서비스제공

 

 

 

 

 


728x90